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방자치단체장이 위임받은 권한을 다시 다른 기관에 위임할 수 있는지, 즉 권한 재위임의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대법원 판결을 바탕으로 알기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핵심은?
한 시민이 용인군수의 자동차 정류장 사업 면허 취소 처분에 불복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은 용인군수에게 면허 취소 권한이 있었는지였습니다. 원래 이 권한은 교통부장관에게 있었는데, 도지사에게 위임되었고, 다시 용인군수에게 재위임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원심 법원은 이러한 재위임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은?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고 용인군수에게 재위임이 가능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그 근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핵심 포인트!
참고 판례: 대법원 1989.9.26. 선고 89누12127 판결, 1990.2.27. 선고 89누5287 판결
이번 판결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주민들에게 더욱 편리한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권한 재위임 제도가 적절히 활용되기를 기대합니다.
일반행정판례
도지사가 장관으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을 다시 군수에게 재위임할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된 사건에서, 대법원은 정부조직법에 따라 재위임이 가능하다고 판결했습니다.
일반행정판례
도지사는 상급기관(동력자원부 장관)으로부터 위임받은 석유판매업 정지 권한을, 상급기관의 승인과 규칙에 따라 군수에게 다시 위임할 수 있다.
일반행정판례
구청장에게 건설업 영업정지 처분 권한을 재위임한 근거 조례가 무효인 경우, 그 조례에 따라 이루어진 영업정지 처분은 당연 무효인가, 취소 사유인가에 대한 판결입니다. 다수의견은 해당 처분이 당연 무효는 아니라고 보았고, 반대의견은 당연 무효라고 보았습니다.
일반행정판례
시·도지사가 구청장에게 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권한을 위임할 수 있는지, 잘못된 위임으로 이루어진 인가처분이 무효인지, 그리고 인가처분 고시의 하자와 행정심판 청구기간에 대한 판결입니다.
일반행정판례
하급 지방자치단체장이 불법파업에 참가한 공무원들을 징계하지 않고 승진시킨 처분을 상급 지방자치단체장이 취소한 것이 적법한지에 대한 판결. 다수의견은 상급 단체장의 취소가 적법하다고 판단했으나, 지방자치권 침해 우려 등을 이유로 반대의견도 제시됨.
민사판례
도지사가 조례로 지방도 관리를 군수에게 위임한 경우, 해당 도로의 관리 책임은 군에 있으며, 군이 도로 관리로 이득을 얻었다면 부당이득 반환 의무가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