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1.01.13

형사판례

초록입홍합 추출물 건강기능식품, 상표 유사성 논란 종결!

혹시 초록입홍합 추출물로 만든 건강기능식품 드시나요? 최근 이와 관련된 상표권 분쟁이 있었는데, 대법원에서 최종 판결이 나왔습니다. 어떤 내용인지 쉽게 풀어드리겠습니다.

사건의 발단은?

A사는 '리프리놀(Lyprinol)'이라는 상표로 초록입홍합 추출물 건강기능식품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B사와 C사가 각각 '리프놀', 'Lipfeel', '리프트머셀'이라는 이름으로 유사한 상품을 판매하기 시작했습니다. A사는 이들이 자신의 상표와 유사한 상표를 사용하여 부정경쟁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쟁점은 무엇이었나?

이 사건의 핵심 쟁점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1. '리프리놀'과 '리프놀', 'Lipfeel', '리프트머셀'이 서로 유사한 상표인가?
  2. 유사하다면 부정경쟁 행위에 해당하는가?

대법원의 판단은?

대법원은 '리프리놀'과 다른 상표들은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상품표지 유사성 판단 기준: 상품표지가 유사한지 판단할 때는 외관, 호칭, 관념을 전체적·객관적·이격적으로 관찰해야 합니다. 그리고 일반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에 대해 혼동할 우려가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구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호 (가)목, (나)목) 이 기준은 상품표지뿐 아니라 영업표지에도 똑같이 적용됩니다.

  • '리프리놀' vs. '리프놀', 'Lipfeel', '리프트머셀': 대법원은 '리프리놀'과 다른 상표들을 비교했을 때, 외관, 호칭, 관념 모두에서 차이가 뚜렷하다고 보았습니다. 글자 수, 발음, 의미 모두 달라서 일반 소비자들이 상품 출처를 혼동할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했습니다.

따라서 B사와 C사의 상표는 A사의 상표와 유사하지 않으므로 부정경쟁 행위에도 해당하지 않는다고 결론지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 구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2007. 12. 21. 법률 제87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조 제1호 (가)목, (나)목, (바)목, 제18조 제3항 제1호, 제19조
  •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3도3906 판결
  • 대법원 2007. 4. 12. 선고 2006다10439 판결
  •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7도10914 판결

결론적으로, 이번 판결은 상품표지의 유사성 판단에 있어서 일반 소비자의 인식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확인시켜준 사례입니다. 비슷한 상품을 판매하더라도 상표가 충분히 구별된다면 부정경쟁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줍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특허판례

'DEPRENYL'과 '디프레닐' 상표, 유사할까요?

'DEPRENYL'과 '디프레닐'은 발음이 거의 같아서, 일반인뿐만 아니라 전문가도 혼동할 수 있기 때문에 유사한 상표로 판단되었습니다.

#상표 유사#DEPRENYL#디프레닐#발음 유사

특허판례

상표 유사성 판단, '세원'이 들어가면 다 같은 걸까?

'세원셀론텍'이라는 회사가 새로운 상표를 출원했는데, 기존에 등록된 상표와 유사하다는 이유로 거절당했습니다. 법원은 두 상표가 모두 '세원'으로 읽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혼동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세원#혼동

특허판례

'프로우틴 테크날리지스 인터내셔날' 상표, 'INTERNATIONAL' 상표와 유사하지 않아!

"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이라는 상표와 "INTERNATIONAL" 상표는 비슷해 보이지만, 법원은 두 상표가 서로 유사하지 않다고 판결했습니다. 주된 이유는 앞에 붙은 "PROTEIN TECHNOLOGIES"라는 부분 때문에 충분히 구별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입니다.

#상표#유사성#PROTEIN TECHNOLOGIES INTERNATIONAL#INTERNATIONAL

특허판례

상표권 침해? 비슷한 상표는 안돼요!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상표유사성#상표등록거절#지정상품유사#혼동가능성

특허판례

상표권 분쟁, 결국 핵심은 '오인혼동' 가능성!

도형과 문자가 결합된 두 상표에서, 공통적인 문자 부분이 상표의 핵심 요소로 판단되어 유사 상표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습니다.

#유사상표#도형+문자 결합상표#핵심요소#소비자 혼동

특허판례

타퍼플라워, 터퍼웨어? 유사상표란 무엇일까요?

'TAFFERFLOWER' 상표와 'TUPPER', 'TUPPERWARE' 등의 상표가 유사한지 여부를 다루는 판례로, 상표의 일부만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면 그 부분의 유사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명시했습니다.

#TAFFERFLOWER#TUPPER#상표유사#부분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