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차 운전을 하다 보면 과적 단속에 걸리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컨테이너 화물 운송의 경우, 운전자가 직접 화물의 무게를 확인하기 어려워 억울하게 단속되는 경우도 발생하는데요, 오늘은 관련된 법원 판결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한 화물차 운전기사가 컨테이너를 운송하다가 축하중(차량의 각 바퀴 축에 가해지는 무게) 초과로 적발되었습니다. 운송회사는 화주에게 받은 정보(18톤)와 자체 컨테이너 무게(3톤)를 합산하여 총 21톤의 화물을 운송하도록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실제 화물의 무게는 24.21톤(컨테이너 무게 포함)으로, 축하중 제한 기준(10톤)을 초과했습니다. 1심과 2심 법원은 운전기사에게 화물의 무게를 확인하지 않은 책임을 물어 '미필적 고의'에 의한 도로법 위반을 인정했습니다.
대법원의 판단
그러나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했습니다. 대법원은 다음과 같은 점을 지적했습니다.
관련 법조항 및 판례
결론
이 판결은 화물차 운전기사가 과적에 대한 고의가 없었음에도 부당하게 처벌받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판례입니다. 특히 컨테이너 화물 운송과 같이 운전자가 화물의 무게를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 운전자의 고의성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더욱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형사판례
덤프트럭 운전자가 출발 전 총중량을 측정했고, 실제 과적량도 크지 않다면, 고의로 과적 운행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도로의 안전을 위해 제한된 하중보다 무거운 차량의 운행은 금지되는데, 이때 '제한하중 초과' 여부는 **차량 무게를 포함한 전체 무게**를 기준으로 판단해야 하며, **어느 하나의 축(바퀴)이라도 제한하중을 초과하면 위반**입니다.
형사판례
화물트럭 운전사가 같은 날 과적 운행으로 두 개의 고속도로 톨게이트(A, B)에서 적발되어 각각 재판에 넘겨졌는데, 법원은 이를 하나의 범죄로 보아 나중에 기소된 사건은 무효라고 판결했습니다.
민사판례
야간에 고속도로에서 과적 화물트럭이 앞차 사고로 정차해 있다가 뒤따르던 차에 추돌당한 사고에서, 과적 트럭 운전자에게는 과실이 없다고 판단한 사례.
일반행정판례
화물차 교통사고로 1명만 중상을 입었을 경우, 운행정지 처분을 내릴 수 있도록 한 시행령 규정은 법률의 위임 범위를 벗어나 무효라는 대법원 판결.
형사판례
과적 차량 검문소 앞 전광판에 '화물차량 우측진입'이라는 문구가 켜졌다는 사실만으로는 운전자에게 적재량 측정 요구가 있었다고 보기 어렵다는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