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02.05.28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조합과 관련된 대금 청구 소송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지구획정리조합과 관련된 복잡한 소송 이야기를 쉽게 풀어드리려고 합니다. 삼성건설이 신탄진제2지구토지구획정리조합(이하 '조합')을 상대로 낸 소송인데요, 쟁점이 여러 개라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1. 조합원들의 미납 청산금은 얼마일까?

삼성건설은 조합을 대신하여 조합원들에게 미납된 환지청산금을 청구했습니다. 조합원들이 돈을 다 내지 않았다는 사실은 확인되었지만, 정확히 얼마를 안 냈는지가 불분명했죠. 재판부는 삼성건설에게 구체적인 미납 금액을 입증하라고 요구했고, 입증하지 못하자 청구를 기각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이 부분을 문제 삼았습니다. 조합원들이 돈을 안 낸 것은 확실한데, 얼마를 안 냈는지 모른다고 해서 청구를 기각하는 것은 옳지 않다는 것이죠. 재판부는 적극적으로 나서서(석명권 행사) 조합원들에게 미납 금액을 밝히도록 요구하고, 필요하다면 직접 조사해서라도 미납 금액을 확정해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민사소송법 제126조, 제265조, 대법원 1987. 12. 22. 선고 85다카2453 판결 등 참조)

2. 조합의 경비 부과는 대위할 수 있을까?

삼성건설은 조합이 조합원들에게 부과해야 할 경비를 대신 받아내려고 했습니다(채권자대위권 행사). 그러나 대법원은 조합의 경비 부과는 행정처분과 같은 성격이라 채권자대위권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쉽게 말해, 행정적인 권한은 함부로 다른 사람에게 넘겨줄 수 없다는 뜻입니다. (민법 제404조, 구 토지구획정리사업법 제28조)

3. 조합 임원들의 행동은 불법행위일까?

삼성건설은 조합의 조합장과 이사들이 일부러 청산금을 적게 주려고 조합 결의를 유도했다고 주장하며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하지만 대법원은 환지처분 자체에 문제가 없다면, 삼성건설이 돈을 덜 받은 것은 간접적인 손해일 뿐, 조합 임원들의 행동을 불법행위라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민법 제750조) 즉, 조합 임원들의 의도가 어떻든 간에 결과적으로 이루어진 환지처분에 문제가 없다면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처럼 하나의 사건에도 다양한 법률적 쟁점이 숨어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린 내용이 토지구획정리조합 관련 소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도급계약과 부당이득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조합이 환지청산금을 시가보다 낮게 책정했더라도, 도급업체가 그 차액을 과도지 소유자들에게 부당이득으로 청구할 수는 없다는 판결입니다.

#토지구획정리사업#도급업체#부당이득반환청구#환지청산금

일반행정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과 관련된 소송에서 공사업체의 소송 자격

토지구획정리사업에서 공사를 맡은 업체는 단순히 공사대금 정산 때문에 사업시행자가 한 환지처분에 불만이 있다고 해서 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즉, 소송을 제기할 자격(원고적격)이 없다.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처분#원고적격#공사도급업체

일반행정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후 환지청산금, 이의 제기는 언제까지?

토지구획정리사업이 끝난 후, 사업 시행 허가 자체의 문제를 이유로 환지청산금 부과가 잘못됐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판결. 또한, 새로운 땅을 더 받았다고 해서 내는 청산금이 재산권 침해가 아니며, 사업비용이 청산금에 반영되어도 법 위반이 아니라는 판결.

#토지구획정리사업#환지청산금#사업시행허가#재산권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조합의 연대보증, 조합원 총회 동의 없으면 무효!

토지구획정리조합이 조합원 총회의 의결 없이 타인의 빚에 대한 연대보증을 서는 것은 법에 어긋나므로 무효입니다.

#토지구획정리조합#연대보증#무효#총회 의결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조합, 청산금 직접 청구 가능할까?

재개발 조합이 조합원에게 청산금을 받으려 할 때, 원칙적으로는 지자체에 징수를 위탁해야 하지만, 지자체가 위탁을 거부하면 조합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재개발#청산금#징수위탁#소송

민사판례

토지구획정리사업 체비지 분쟁과 조합원 책임에 관하여

토지구획정리조합이 체비지를 이중매매하고 법원의 명의변경 금지 가처분을 어긴 경우, 조합장과 이에 가담한 임원들은 책임을 져야 하지만, 단순히 매각에 찬성한 대의원이나 권한 없는 이사들은 책임지지 않는다. 또한, 이중매매로 인한 계약 불이행 책임은 체비지 명의가 변경된 시점에 발생한다.

#토지구획정리사업#체비지#이중매매#조합장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