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스크림에 새롭고 멋진 상표를 붙여서 팔고 싶은 A씨가 있었습니다. 심혈을 기울여 만든 상표였지만, 특허청에서는 이미 등록된 다른 상표들과 너무 비슷하다며 등록을 거부했습니다. 억울한 A씨는 법원에까지 가서 다퉜지만, 결국 패소하고 말았습니다. 대체 왜 그랬을까요?
이 사건의 핵심은 바로 상표의 유사성입니다. 상표는 상품의 출처를 나타내는 중요한 표시이기 때문에, 비슷한 상품에 비슷한 상표를 사용하면 소비자들이 헷갈릴 수 있습니다. A씨의 상표는 기존에 등록된 다른 아이스크림, 과자 등의 상표와 '하얀 눈'이라는 공통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상품의 출처를 오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것입니다.
법원은 상표의 유사 여부를 판단할 때, 단순히 글자나 그림이 똑같은지 다른지만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느낌과 관념까지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즉, 상표를 보고 듣고 떠올리는 이미지가 비슷하다면, 설령 일부분이 다르더라도 유사한 상표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마치 하얀 눈을 표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지만, 결국 모두 '하얀 눈'으로 인식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A씨의 상표와 기존 상표들이 모두 '백색의 눈'이라는 관념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비록 표현 방식은 조금씩 달랐지만, 소비자들이 상품을 고를 때 '하얀 눈'이라는 이미지를 떠올리면서 상품의 출처를 혼동할 우려가 있다고 본 것입니다.
이 판결은 구 상표법(1990.1.13. 법률 제4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9조 제1항 제7호를 근거로 하고 있으며, 대법원 1987.2.24. 선고 86후132 판결, 1991.3.27. 선고 90후1093 판결, 1991.9.24. 선고 91후608 판결 등 기존 판례와 같은 맥락입니다. 즉, 새로운 상표를 만들 때는 기존 상표와의 유사성을 꼼꼼히 검토하여 소비자들의 혼동을 방지해야 한다는 중요한 교훈을 주는 판결입니다.
특허판례
두 외국 회사의 주류 관련 상표가 유사한지 여부를 다툰 사건에서, 대법원은 외관상 일부 유사하더라도 전체적으로 보아 상품 출처에 대한 오인·혼동 가능성이 없다면 유사 상표로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허판례
"SNOW BRAND" 상표 등록을 거절한 특허청의 결정이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결. 두 상표는 외관상 차이가 있지만, 의미와 발음이 유사하여 소비자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
특허판례
새로운 상표에 그림이 들어가 있어도, 핵심 단어가 기존 상표와 같다면 유사 상표로 판단될 수 있습니다.
특허판례
출원상표 ""가 기존 상표 ""와 유사하며, 지정상품도 유사하여 상표 등록이 거절된 사례입니다. 단순히 앞에 다른 단어가 추가되었다고 해서 유사하지 않다고 볼 수 없으며, 지정상품이 기계류라는 큰 범주에서 유사하다면 세부적인 용도 차이가 있어도 혼동을 일으킬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특허판례
'아르멕스'라는 상표를 페인트 제거제에 사용하려는 출원이 기존에 등록된 비슷한 상표('아멕스')와 유사하고, 지정 상품도 유사하여 거절되었습니다.
특허판례
발음이 비슷한 상표는 상품 종류가 같거나 비슷할 경우, 소비자가 상품 출처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유사상표로 본다는 대법원 판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