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5.11

세무판례

합병 시 결손금을 영업권으로 처리해도 세금 혜택은 없다?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인수합병(M&A)을 고려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특히, 같은 그룹 내 계열사를 합병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때 세금 문제는 굉장히 중요한 고려 사항입니다. 오늘은 합병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업권'과 관련된 세금 문제, 특히 결손금을 영업권으로 처리했을 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판례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사례 소개

A 회사는 같은 그룹 내 계열사인 B 회사를 흡수합병했습니다. B 회사는 당시 결손금이 누적된 상태였습니다. A 회사는 회계 처리상 이 결손금을 영업권으로 계상했습니다. 일반적으로 회계상 영업권은 미래에 얻을 수 있는 초과 이익에 대한 가치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세법상 영업권은 좀 더 엄격한 기준을 적용합니다. A 회사는 세법상 이 결손금이 영업권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법인세 신고 시 스스로 영업권 감가상각을 부인하는 세무조정을 했습니다.

그러나 세무서는 A 회사가 계상한 금액이 세법상 영업권에도 해당한다고 주장하며, 이를 합병평가차익으로 보고 세금을 부과했습니다. 이에 A 회사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 회사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즉, A 회사가 회계상 영업권으로 처리한 결손금은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합병평가차익에 포함되어 과세될 수 없다는 것입니다.

법원은 세법상 영업권은 피합병법인의 상호, 거래관계, 영업상 비밀 등 사업상 가치가 있는 무형자산에 대해 대가를 지급한 경우에만 인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구 법인세법 제17조 제1항 제3호, 구 법인세법 시행령 제15조 제2항, 제12조 제1항 제1호, 제24조 제4항. 현행 법인세법 제17조 제1항 제5호 참조) 단순히 회계 기준에 따라 영업권을 산출했다는 사실만으로는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될 수 없다고 명확히 했습니다.

이 사건에서 A 회사는 B 회사의 결손금을 회계상 영업권으로 처리했지만, B 회사의 상호 등 사업상 가치를 평가하여 대가를 지급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되지 않았습니다.

핵심 정리

  • 회계 기준과 세법 기준은 다릅니다. 회계상 영업권으로 인정되더라도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합병 시 영업권으로 인정받으려면 피합병법인의 상호, 거래관계 등 사업상 가치를 평가하고 그에 대한 대가를 지급해야 합니다.
  • 결손금을 영업권으로 처리했다고 해서 자동으로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이번 판례는 합병 과정에서 영업권과 관련된 세금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합병을 계획하고 있다면 세무 전문가와 충분히 상의하여 불필요한 세금 부담을 피하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합병 시 영업권, 세금 폭탄 피하려면? 회계 기준만으론 부족!

코스닥 상장회사가 적자 기업을 합병하면서 회계상 결손금을 영업권으로 처리했는데, 세무서는 이를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하여 세금을 부과했습니다. 법원은 회계상 영업권과 세법상 영업권은 다르며, 이 경우 세법상 영업권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으므로 세금 부과는 부당하다고 판결했습니다.

#합병#결손금#영업권#세금부과

세무판례

회사 합병 시 영업권, 세금 폭탄 피하려면?

코스닥 상장기업(A)이 비상장기업(B)을 합병하면서 회계상 영업권을 인식했는데, 세무서가 이를 합병평가차익으로 보고 법인세를 부과한 사건에서, 대법원은 세무서의 손을 들어주었습니다. 회계상 영업권이라고 해서 무조건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합병#영업권#합병평가차익#법인세

세무판례

회계상 영업권과 세법상 영업권, 같을까요? 다를까요?

회사 합병 시 회계 장부에 기록된 영업권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세법상 영업권으로 인정받으려면 피합병 회사의 상호, 거래 관계 등이 실제로 초과 수익을 낼 수 있는 가치가 있다고 평가되어야 합니다. 단순히 회계 기준에 따라 영업권이 계산되었다고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잘못입니다.

#영업권#회계#세법#합병

세무판례

회사 합병 시 주식 교체로 인한 손실, 비용처리 가능할까? (feat. 가산세)

회사 합병으로 주식이 교체될 때, 새로 받은 주식의 가치가 이전 주식보다 낮더라도 그 차액을 손실로 인정하여 세금을 줄일 수 없다. 또한, 세법 해석에 대한 의문이 있더라도 명확한 법적 근거 없이 잘못 신고하면 가산세를 면제받을 수 없다.

#합병#주식교체#차액#손금불산입

민사판례

동업 관계에서 발생하는 상속과 세금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요?

이 판결은 동업 관계에서 한 사람이 사망했을 때, 남은 동업자가 사망한 동업자의 상속인에게 지분을 얼마나 돌려줘야 하는지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판례입니다. 특히 영업권 평가, 세금 공제 등 쟁점에 대해 구체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동업#사망#지분평가#영업권

세무판례

합병 전 주식 매입과 청산소득, 그리고 가산세

합병할 회사의 주식을 미리 전부 사들인 후 합병하면, 그 주식 매입 금액은 합병 과정의 일부로 보아 세금 계산에 영향을 미칩니다. 또한, 청산소득에 대해서는 지급조서 미제출 가산세를 부과할 수 없습니다.

#합병#주식매입#청산소득#지급조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