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18.07.12

민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와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인과관계 인정될까?

오늘은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이 신용보증기금의 손해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대법원 판결을 살펴보겠습니다. 복잡해 보이는 사건이지만, 차근차근 풀어보면 그 핵심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사건의 개요

A 회사는 B 회사가 발행한 허위 세금계산서를 이용해 C 은행에서 기업구매자금 대출을 받았습니다. C 은행은 A 회사와 신용보증기금이 맺은 신용보증약정을 담보로 B 회사 계좌에 대출금을 입금했고, B 회사는 곧바로 그 돈을 A 회사에 보냈습니다. 결국 A 회사가 대출금을 갚지 못하게 되자, 신용보증기금이 대신 돈을 갚았습니다(대위변제). 이에 신용보증기금은 B 회사와 그 대표이사에게 A 회사의 사기 대출에 대한 책임을 물었습니다.

쟁점

B 회사의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과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는지가 핵심 쟁점입니다. 쉽게 말해, B 회사의 행동이 신용보증기금의 손해에 영향을 미쳤는지 따져보는 것입니다.

원심 판결

원심 법원은 B 회사가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한 것은 맞지만, 신용보증기금의 손해는 A 회사가 대출금을 갚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므로, B 회사의 행동과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사이에는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대법원 판결

대법원은 원심 판결을 뒤집었습니다. 대법원은 B 회사가 발행한 허위 세금계산서가 없었다면 C 은행은 A 회사에 대출을 해주지 않았을 것이고, 결과적으로 신용보증기금이 돈을 대신 갚는 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즉, B 회사의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이 신용보증기금의 손해에 중요한 원인이 되었다고 본 것입니다.

대법원의 판단 근거

  • 기업구매자금 대출은 신용보증기금의 보증을 전제로 이루어집니다.
  • 은행은 허위 세금계산서를 알았다면 대출을 승인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 B 회사는 허위 세금계산서가 대출에 사용될 것임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것입니다.
  • 따라서 B 회사의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과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사이에는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됩니다.

관련 법 조항 및 판례

  • 민법 제760조 제1항, 제3항: 공동불법행위 책임 규정
  • 대법원 2012. 4. 26. 선고 2010다102755 판결: 불법행위 손해배상책임 요건으로서 위법한 행위와 손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 필요
  • 대법원 2012. 11. 15. 선고 2010다92346 판결: 불법행위 손해배상책임 요건으로서 위법한 행위와 손해 사이에 상당인과관계 필요
  • 대법원 2014. 9. 4. 선고 2014다37675 판결: 상당인과관계 판단 기준

이번 판결은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이 금융기관뿐 아니라 신용보증기관에도 손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고, 그 책임을 묻는 중요한 판례입니다.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판결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과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인과관계 인정될까?

A회사가 B회사의 부탁으로 C회사에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행해주었고, C회사는 이를 이용해 은행에서 대 fraudulently loan을 받았습니다. C회사가 부도나자 신용보증기금이 대출금을 갚았고, A회사에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대법원은 A회사의 허위 세금계산서 발행과 신용보증기금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허위세금계산서#신용보증기금#손해배상#인과관계

민사판례

분식회계와 금융기관의 손해, 인과관계는?

기업이 분식회계를 통해 재무상태를 속여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이나 보증을 받았을 경우, 설령 담보가 제공되었더라도 분식회계와 금융기관의 손해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회사채를 새 회사채 발행으로 차환하는 경우, 새 회사채 보증으로 인한 금융기관의 손해는 인정되지 않을 수 있다.

#분식회계#금융기관 손해배상#인과관계#회사채 차환

민사판례

신용금고의 대출한도 초과와 제3자 손해배상 책임: 인과관계는 어디까지?

상호신용금고가 법으로 정해진 대출 한도를 넘어 대출했더라도, 그 때문에 다른 사람이 손해를 입었다고 해서 무조건 배상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닙니다. 손해와 대출 한도 초과 사이에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어야 합니다.

#상호신용금고#여신한도 초과#대출#손해배상

세무판례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 부가가치세, 그리고 부정행위

이 판례는 납세자가 실제 거래처와 다른 업체 명의의 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공제받은 경우, 이를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로 볼 수 있는지, 그리고 부가가치세 부과처분의 제척기간 및 가산세 부과의 정당성에 대해 다룹니다. 핵심은 단순히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정행위로 보기 어렵다는 것입니다. 납세자가 국가의 조세수입 감소를 초래할 것을 인식했어야 부정행위로 인정됩니다.

#세금계산서#부가가치세#부정행위#제척기간

형사판례

대출 사기, 은행도 속을 수 있다? 인과관계가 중요한 이유!

돈을 빌릴 때 갚을 의사나 능력이 없다는 사실을 숨기고 대출을 받으면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대출을 받는 행위와 은행의 대출 실행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어야 합니다.

#대출사기#변제의사#변제능력#인과관계

민사판례

인감증명서 위조와 손해배상 책임 - 담당 공무원의 과실은?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위조된 인감증명서가 발급되어 금전적 손해를 입었을 경우, 인감증명서 발급 방식이 '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으로 바뀌었다 하더라도 국가에 배상 책임이 있다.

#인감증명서#위조#국가배상#공무원 과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