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세금계산서와 관련된 복잡한 세금 문제, 특히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을 때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그리고 부정행위로 간주되어 불이익을 받게 되는 기준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사건의 개요
이 사건의 원고는 실제로 A라는 회사(국일방적)로부터 원사를 공급받았지만, B라는 회사(아스텍스) 명의의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습니다. B회사는 이 세금계산서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모두 신고하고 납부했습니다. 하지만 원고는 일부 매출 신고를 누락했습니다. 이에 세무서에서는 원고에게 부가가치세와 가산세를 부과했습니다.
쟁점 1: 형사판결과 행정재판의 관계
원고는 이 건과 관련된 형사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습니다. 그렇다면 행정재판에서도 이 형사판결의 사실인정에 구속될까요? 대법원은 행정재판은 형사재판의 사실인정에 반드시 구속되는 것은 아니지만, 확정된 형사판결의 사실인정은 유력한 증거자료가 된다고 판시했습니다 (대법원 2012. 5. 24. 선고 2011두28240 판결). 즉,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형사판결과 반대되는 사실을 인정하기는 어렵다는 것입니다.
쟁점 2: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와 부정행위
원고처럼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받아 매입세액을 공제받는 행위가 부정행위로 인정되려면 어떤 요건을 충족해야 할까요? 단순히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를 받았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대법원 판례(대법원 2014. 2. 27. 선고 2013두19516 판결, 대법원 2015. 1. 15. 선고 2014두11618 판결)에 따르면, 납세자가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로 인해 국가의 조세수입 감소가 발생할 것을 인식해야 부정행위로 인정됩니다. 이 사건에서는 B회사가 세금계산서상의 매출세액을 모두 납부했기 때문에 원고가 조세수입 감소를 인식했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이 대법원의 판단입니다.
쟁점 3: 부정행위의 의미
구 국세기본법(2011. 12. 31. 법률 제11124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의2 제1항 제1호, 제47조의3 제2항 제2호 등에서 말하는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 또는 ‘부정행위’는 조세 부과와 징수를 어렵게 하는 적극적인 행위를 말합니다. 단순히 신고를 하지 않거나 허위 신고를 하는 것만으로는 부정행위로 보기 어렵습니다(대법원 2017. 4. 13. 선고 2015두44158 판결).
다른 사람 명의의 계좌를 사용하는 행위 역시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판단해야 합니다. 단순히 차명계좌를 사용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적극적인 은닉 의도가 있어야 부정행위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대법원 2016. 2. 18. 선고 2014도3411 판결).
이 사건에서는 원고가 배우자 명의 계좌를 사용하여 매출 신고를 누락한 행위가 부정행위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판단이 필요했지만, 원심은 이 부분을 충분히 심리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되었습니다.
결론
세금 문제는 복잡하고 어려운 부분이 많습니다. 특히 사실과 다른 세금계산서와 관련된 문제는 부정행위 인정 여부에 따라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관련 법리와 판례를 꼼꼼히 살펴보고 대처해야 합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세금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세무판례
세금을 부과하려면 과세 당국이 충분한 증거를 제시해야 하며, 납세자와 관련 없는 제3자의 진술만으로는 세금을 부과할 수 없습니다. 특히 그 진술의 신빙성을 뒷받침할 증거가 없거나 납세자에게 확인도 하지 않았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형사판례
실제 거래 상대방이 아닌 다른 사람에게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것은 조세범 처벌법 위반이며, 거래 금액을 부풀려 세금계산서를 발급하는 것 역시 조세범 처벌법 위반입니다. 또한, 실제 거래 상대방에게 세금계산서를 발급하지 않는 것도 별도의 죄가 됩니다.
형사판례
허위 세금계산서 발급과 허위 합계표 제출은 별개의 범죄이므로,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각각의 공급가액을 합산해야 한다.
형사판례
한 사람이 여러 사업체를 운영하며 허위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고 받았을 때, 가중처벌 기준 금액을 계산할 때 발급액과 수취액을 모두 합산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세무판례
세금 부과가 정당한지에 대한 소송에서, 세금을 부과한 세무서가 세금 부과의 근거가 되는 사실들을 입증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다만, 여러 정황상 세금 부과 사실이 추정되는 경우에는 납세자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입증해야 합니다. 또한 관련된 형사 판결에서 확정된 사실은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중요한 증거로 사용됩니다.
세무판례
납세자가 거짓 세금계산서를 받아 부가가치세를 적게 신고했더라도, 그 세금계산서가 거짓인지 몰랐다면 '부당과소신고 가산세'를 물지 않을 수 있다. 단, 세금계산서가 거짓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매입세액 공제를 받았거나, 그 세금계산서 발급자가 세금을 내지 않을 것을 알고 있었다면 가산세를 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