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사례

회사 인수 계약, 중간에 그만둬도 될까요? - 위임계약 해지 이야기

회사 인수는 복잡하고 섬세한 과정입니다. 때로는 인수 과정을 전문가에게 위임하기도 하는데요, 만약 위임받은 사람이 중간에 그만두겠다고 하면 어떻게 될까요? 오늘은 위임계약 해지와 관련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사례:

A씨는 B씨에게 C회사 인수에 관한 업무를 위임했습니다. 그런데 B씨는 C회사 인수 과정에서 법적인 문제(배임, 공정거래법 위반 등)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위임계약을 해지했습니다. A씨는 계약 해지로 인해 손해를 입었다며 B씨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했습니다. B씨는 손해배상 책임이 있을까요?

위임계약의 해지

민법 제689조 제1항에 따르면, 위임계약은 당사자들이 특별한 이유 없이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습니다. 즉, 계약 해지 사유가 정당한지 여부와 관계없이 해지 의사표시만으로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B씨가 계약 해지 사유로 주장한 내용이 사실과 다르거나 법적으로 타당하지 않더라도, 해지 의사표시 자체는 유효합니다.

손해배상 책임

위임계약은 당사자 간의 신뢰를 바탕으로 합니다. 따라서 위임계약을 해지하더라도 상대방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이 원칙입니다. 다만, 상대방에게 불리한 시기에 해지한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손해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불리한 시기"란 위임계약의 목적 달성이 어려워지거나 위임인이 더 큰 손해를 입게 되는 시점을 말합니다.

그렇다면 B씨가 위임받은 업무를 완료하기 전에 계약을 해지한 것은 A씨에게 불리한 시기에 해지한 것일까요? 대법원은 이와 유사한 사례(대법원 2015. 12. 23. 선고 2012다71411 판결)에서 위임계약은 언제든지 해지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단순히 업무 완료 전에 해지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불리한 시기에 해지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즉, 위임계약에서는 업무 완료 전 계약 해지 가능성이 당연히 예정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결론

B씨가 C회사 인수 과정에서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을 이유로 위임계약을 해지한 것은, 비록 그 주장이 타당하지 않더라도 유효한 해지 의사표시로 인정됩니다. 또한, 업무 완료 전에 계약을 해지했다는 사실만으로는 A씨에게 불리한 시기에 해지했다고 볼 수 없으므로, B씨는 A씨에게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관련 법조항: 민법 제689조 제1항

참고 판례: 대법원 2015. 12. 23. 선고 2012다71411 판결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상담사례

회사 인수 위임, 중간에 그만둘 수 있을까? 해지와 손해배상에 대해 알아보자!

회사 인수 위임은 언제든 해지 가능하지만, 상대방에게 불리한 시기에 해지하면 해지 시점과 인과관계 있는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이 발생할 수 있다.

#회사인수#위임계약#해지#손해배상

상담사례

회사 인수합병, 중간에 계약 파기하면 어떻게 될까요? 🤯

인수합병 위임 계약에서 중도 파기 시, 위약금 약정 없이 단순 수수료만 정해진 경우, 파기한 측은 상대방에게 '불리한 시기의 해지'로 인한 구체적인 손해 발생을 입증해야 배상 책임이 있다.

#인수합병#계약파기#위임계약#손해배상

민사판례

위임계약 해지, 언제든 가능할까? 손해배상은 어떻게?

위임계약은 특별한 이유 없이 언제든지 해지할 수 있다. 채무불이행을 이유로 해지했더라도 실제로 채무불이행이 없었다면 임의해지로 본다. 또한, 상대방에게 불리한 시기에 해지한 경우가 아니라면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 단순히 사무처리가 완료되기 전에 해지했다는 사실만으로는 불리한 시기의 해지로 보지 않는다.

#위임계약#임의해지#손해배상#불리한 시기

민사판례

위임계약 해지와 법인 대표의 책임

재개발조합이 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와 맺은 용역계약을 해지할 때는 계약서에 정해진 해지 사유와 절차를 따라야 하며, 조합 대표자 개인의 불법행위 책임은 더 엄격한 기준으로 판단해야 한다.

#재개발조합#용역계약 해지#정비사업전문관리업자#대표자 책임

민사판례

부동산 중개 계약, 마음대로 해지해도 될까?

건물 임대 중개를 의뢰받은 중개인이 중개를 완료하기 전에 의뢰인이 계약을 해지한 경우, 중개인은 기대했던 중개수수료를 손해배상으로 청구할 수 없다.

#중개수수료#계약해지#손해배상#위임계약

민사판례

위임계약 해지, 바로 할 수 있을까요?

대리인(수임인)이 계약 내용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고 해서 의뢰인(위임인)이 바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대리인이 여전히 계약 내용을 이행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의뢰인은 대리인에게 상당한 기간을 주고 이행을 요구(최고)해야 합니다. 대리인이 그 기간 내에 이행하지 않을 경우에만 계약을 해지할 수 있습니다.

#위임계약#해제#채무불이행#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