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3.06.29

민사판례

회사 회생절차 중 분할과 부당이득 반환

어려움에 처한 회사를 돕는 회생절차! 그러나 분할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 발생?!

회사가 경영난에 빠졌을 때, 법원의 관리하에 회사를 정상화하는 제도가 바로 회생절차입니다. 회생절차의 일환으로 회사를 분할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과정에서 자산이 인출되거나 채무가 예상치 못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사례는 바로 이러한 회생절차 중 분할 과정에서 발생한 부당이득 반환 청구에 관한 내용입니다.

사건의 개요

대우자동차판매(주)(이하 '분할 전 회사')는 회생절차를 진행하면서 버스판매 사업부문(자일자동차(주), 이하 '원고')와 건설사업 부문(대우산업개발(주))을 분할 신설하고, 나머지 사업부문은 존속시키는 회생계획을 인가받았습니다. 회생계획에 따라 원고에게 이전될 자산이 정해졌지만, 실제 원고 설립 전후로 일부 자산이 인출되거나 상계되었고, 원고 설립 후에는 분할 전 회사의 미지급 임금 채권이 추심되었습니다. 원고는 이에 대해 분할존속회사의 파산관재인(이하 '피고')을 상대로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주요 쟁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생계획에 따라 회사가 분할될 때, 신설회사는 분할 전 회사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하는가?
  2. 손실을 보지 않는 것이 부당이득의 '이익'에 해당하는가? 채권 취득도 '이익'에 해당하는가?
  3. 회생계획의 내용이 불명확할 경우, 신설회사에 어떤 권리와 의무가 승계되는지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4. 이 사건에서 원고는 부당이득반환을 청구할 수 있는가?

법원의 판단

대법원은 다음과 같이 판단했습니다.

  1. 회생회사의 분할로 설립되는 신설회사는 회생계획에 따라 회생회사의 권리와 의무를 승계한다. (구 상법 제530조의10,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72조 제1항, 제4항)
  2. 당연히 발생하였을 손실을 보지 않는 것, 채권의 취득은 모두 부당이득의 '이익'에 해당한다. (민법 제741조)
  3. 회생계획의 내용이 불명확한 경우, 회생계획의 목적, 분할 경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해석해야 한다. (민법 제105조, 상법 제530조의10,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272조 제1항, 제4항)
  4. 원고는 이전받을 것으로 예정되었던 자산을 수익하지 못하는 손해를 입었고, 피고는 해당 자산에 대한 이익을 얻었으므로 부당이득반환책임이 인정될 여지가 있다. 또한, 회생계획의 해석상 분할 전 회사의 미지급 임금 채권을 원고가 부담한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원심의 판단에는 부당이득 성립에 관한 법리 오해가 있다.

핵심 참조 판례:

  • 대법원 2017. 7. 18. 선고 2016두41781 판결
  • 대법원 2011. 8. 25. 선고 2010다44002 판결
  • 대법원 1996. 11. 22. 선고 96다34009 판결
  • 대법원 2017. 12. 5. 선고 2017다225978, 225985 판결

결론적으로, 회생절차 중 회사 분할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자산 변동 및 채무 발생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명확한 회생계획 수립이 중요함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회생계획의 해석에 따라 부당이득반환책임이 인정될 수 있으므로, 회생절차 진행 시 관련 법리와 판례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회생절차 중 회사분할과 제2차 납세의무 승계

회생절차를 진행 중인 회사가 분할될 경우, 분할 전 회사가 가지고 있던 과점주주로서의 제2차 납세의무도 신설회사에 승계될 수 있다.

#회생절차#회사분할#과점주주#제2차 납세의무

민사판례

회생절차 중 회사 분할 시 공익채권(임금 등)은 어떻게 될까?

회생절차 중 회사가 분할되더라도, 분할 전 회사의 공익채권(예: 임금, 세금)에 대해서는 분할된 회사들이 모두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 회생계획에서 이러한 연대책임을 면제하는 내용을 정했더라도, 공익채권자의 동의 없이는 효력이 없다.

#회생절차#회사분할#공익채권#연대책임

민사판례

회사분할 시 채무 관계, 쟁점과 판결 정리

회사가 분할될 때 신설회사는 원칙적으로 기존 회사의 모든 채무에 대해 연대 책임을 지지만, 예외적으로 특정 영업과 관련된 채무만 부담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 분할 사실을 알고 있던 채권자에게는 개별 최고 절차를 생략하더라도 신설회사의 연대 책임이 부활하지 않습니다.

#회사분할#신설회사#채무#연대책임

민사판례

회사분할 시 연체 임대료 채무 승계에 관하여

회사가 분할되어 새로운 회사(신설회사)가 설립될 때, 기존 회사의 모든 채무를 신설회사가 자동으로 떠안는 것은 아닙니다. 특히, 기존 회사가 신설회사에 출자한 재산과 관련된 채무(출자 재산 관련 채무)가 아닌 경우, 분할계획서와 관련 계약 내용을 꼼꼼히 살펴봐야 신설회사가 어떤 채무를 승계하는지 정확히 알 수 있습니다. 계약서에 "모든 권리와 의무를 포괄승계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면, 특별한 반증이 없는 한 그 문구대로 해석해야 합니다.

#회사분할#신설회사#채무승계#포괄승계

민사판례

회생절차와 손해배상 청구권, 알아두면 좋은 상식

회사가 회생절차를 밟는 중이라도, 그 전에 발생한 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청구는 회생채권으로 인정될 수 있다. 다만, 채권자가 회생절차를 몰라 채권 신고를 못 했더라도, 회사 측에서 채권 존재를 알았거나 알 수 있었다면 채권은 소멸되지 않는다.

#회생절차#손해배상청구권#회생채권#채권신고

민사판례

돈을 돌려받아야 하는데 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갔다면?

회생절차 개시 전에 이루어진 영업권 양도에 대한 부인 결정 이후, 매수인만 항소한 사건에서 항소심이 매수인에게 더 불리하게 판결을 변경할 수 있는지, 그리고 양도대금이 현존이익으로 추정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항소심이 매수인에게 불리하게 판결을 변경한 것은 불이익변경금지 원칙에 위배되며, 양도대금은 현존이익으로 추정된다고 판시했습니다.

#회생절차#영업권 양도#부인권#불이익변경금지 원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