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고일자: 2021.01.14

민사판례

회생절차 중 물품공급계약과 보증금 반환, 공익채권일까 회생채권일까?

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면 기존 채권자들의 권리관계가 복잡해집니다. 특히 회생절차 개시 전에 맺었던 계약에 대한 권리는 어떻게 될까요? 이번 판례는 회생절차 중 물품공급계약과 관련된 보증금 반환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이 보증금이 '공익채권'으로 인정된 사례입니다.

사건의 개요

건축자재 도소매업체 A사는 건축자재 수출입업체 B사와 물품공급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 조건에는 A사가 B사에 1억 원의 보증금을 지급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이후 B사는 경영 악화로 회생절차에 들어갔고, 관리인은 A사와 물품 공급을 지속하기로 협의했습니다. 계약 기간이 만료된 후, A사는 B사에 보증금 반환을 요청했습니다.

쟁점

이 사건의 핵심은 A사의 보증금반환채권이 '회생채권'인지 아니면 '공익채권'인지 여부였습니다. 회생채권은 회생절차 개시 전에 발생한 채권으로, 회생계획에 따라 변제됩니다. 반면 공익채권은 회생절차 진행 중에 발생한 채권으로, 회생채권보다 우선적으로 변제됩니다.

법원의 판단

법원은 A사의 보증금반환채권을 공익채권으로 판단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쌍무계약: 채무자회생법 제119조 제1항은 회생절차 개시 당시 쌍방이 모두 이행을 완료하지 않은 쌍무계약에 대해 관리인이 계약을 해제/해지하거나 채무를 이행하고 상대방의 채무이행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이때 '쌍무계약'이란 서로 대가관계에 있는 채무를 부담하는 계약으로, 양측 채무 사이에 성립·이행·존속상 견련성이 있어 서로 담보로서 기능하는 계약을 말합니다.

  2. 보증금의 성격: 이 사건에서 A사가 지급한 보증금은 계약 조건에 따라 물품대금 지급에 충당될 수 있는 선급금의 성격을 가집니다. 따라서 A사의 보증금반환채권은 B사의 물품대금채권과 서로 견련성을 가지며 담보로서 기능합니다.

  3. 공익채권: 채무자회생법 제179조 제1항 제7호는 관리인이 쌍무계약에 따라 채무를 이행할 때 상대방이 갖는 청구권을 공익채권으로 규정합니다. 따라서 A사의 보증금반환채권은 공익채권에 해당합니다.

결론

이 판례는 회생절차 중 쌍무계약과 관련된 보증금 반환 문제에 대한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계약서의 내용과 보증금의 성격을 면밀히 검토하여 회생채권인지 공익채권인지 판단해야 함을 보여줍니다.

관련 법조항: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19조 제1항
  •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제179조 제1항 제7호
※ 이 글은 법적 자문이나 효력을 갖지 않습니다. 최신 법률 정보는 반드시 재확인해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전문가와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회생절차 중 변경된 보증보험, 공익채권으로 인정된 사례

회생절차 개시 전에 체결된 보증보험계약을 기초로 회생절차 개시 후 변경된 보증보험계약에 따라 보험금을 지급한 보증보험회사의 구상금채권은 회생채권이 아닌 공익채권으로 본 판례

#회생절차#보증보험계약 변경#구상금채권#공익채권

민사판례

회생절차 개시 전 공급대금, 언제까지 공익채권일까? 그리고 이미 확정된 회생채권, 다시 소송할 수 있을까?

회생절차 시작 전 20일 이내에 공급한 물품대금은 공익채권으로 계산해야 하며, 이미 회생절차에서 확정된 채권에 대해서는 일반 소송으로 다시 청구할 수 없다.

#공익채권#회생채권#회생절차#소의 이익

민사판례

회생절차와 공익채권, 그리고 회사분할

회사가 회생절차를 밟을 때, 세금처럼 회사의 회생과 관계없이 지급해야 하는 공익채권은 회생계획으로 함부로 줄이거나 없앨 수 없다는 내용입니다. 회생계획에서 공익채권에 대한 감면 등의 내용이 있더라도, 공익채권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효력이 없습니다.

#회생계획#공익채권#권리#감면

민사판례

회생절차 중 소송비용, 언제까지 공익채권일까?

회사가 회생절차에 들어가기 전에 진행 중이던 소송에서 회사 측이 패소하여 소송비용을 물어줘야 하는 상황이라면, 이 소송비용은 회생절차 개시 전후에 발생했는지 관계없이 모두 '공익채권'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회생절차#소송비용#공익채권#회생채권

민사판례

보증인이 회생절차 중인 채무자에게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

회사가 부도 위기에 처했을 때 법원의 화의 결정을 통해 채무를 조정하는 경우, 채권자가 보증인으로부터 돈을 받았더라도 채무 전액을 변제받지 못했다면 보증인은 채무자에게 바로 돈을 청구할 수 없지만, 채권 전액이 어떤 이유로든 소멸하면 보증인은 채무자에게 돈을 청구할 수 있다는 판결.

#화의채권#전액소멸#보증인#구상권

민사판례

회생담보권과 회생채권, 둘 다 인정될 수 있을까?

돈을 받아야 할 채권자가 회생절차에 들어간 채무자에게 담보가 있는 돈(회생담보권)을 신고할 때, 같은 돈을 담보 없는 돈(회생채권)으로 중복 신고해서는 안된다는 판결.

#회생담보권#회생채권#중복신고#유치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