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계약무효확인및부당임대료반환·건물명도

사건번호:

2000다32055,32062

선고일자:

2000101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임대사업자와 임차인 간에 체결된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이 임대주택법 제16조, 제18조 및 같은법시행령 제14조 등에 위반된 경우, 그 임대차계약의 사법상의 효력 여부(유효)

판결요지

임대주택법 및 같은법시행령에 의하면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임대보증금, 임대료, 임대차계약기간 등'이 기재된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하고(같은 법 제18조 제1항, 제2항), 위 임대조건에 관한 사항(변경내용 포함)을 관할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며(같은 법 제16조 제1항, 제3항, 같은법시행령 제14조 제1항),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신고내용이 인근의 유사한 임대주택에 비하여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나 관계 법령에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의 조정을 권고할 수 있고(같은 법 제16조 제2항, 같은법시행령 제14조 제2항), 만일 임대사업자가 임대조건을 신고하지 않는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금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에 각 처하도록(같은 법 제23조 제2호, 제25조 제1항 제1호) 각 규정하고 있으나, 임대사업자와 임차인 간에 체결된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이 같은 법 제16조, 제18조, 같은법시행령 제14조 등에 위반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사법적 효력까지 부인된다고 할 수는 없다.

참조조문

민법 제103조 , 제618조 , 임대주택법 제16조 , 제18조 , 제23조 제2호 , 제25조 제1항 제1호 , 임대주택법시행령 제1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원고(반소피고),상고인】 【피고(반소원고),피상고인】 주식회사 장백건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울산종합법률사무소 담당변호사 안현 외 4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0. 5. 12. 선고 99나1871, 1888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임대주택법(이하 '법'이라고만 한다) 및 동법시행령(이하 '법시행령'이라 한다)에 의하면, 임대사업자가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임대보증금, 임대료, 임대차계약기간 등'이 기재된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여야 하고(법 제18조 제1항, 제2항), 위 임대조건에 관한 사항(변경내용 포함)을 관할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며(법 제16조 제1항, 제3항, 법시행령 제14조 제1항), 시장, 군수 또는 구청장은 그 신고내용이 인근의 유사한 임대주택에 비하여 현저히 부당하다고 인정되는 경우나 관계 법령에 부적합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그 내용의 조정을 권고할 수 있고(법 제16조 제2항, 법시행령 제14조 제2항), 만일 임대사업자가 임대조건을 신고하지 않는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금 1천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표준임대차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경우에는 금 500만 원 이하의 과태료에 각 처하도록(법 제23조 제2호, 제25조 제1항 제1호) 각 규정하고 있으나, 임대사업자와 임차인 간에 체결된 임대주택에 대한 임대차계약이 법 제16조, 제18조, 법시행령 제14조 등에 위반되었다고 하더라도 그 사법적 효력까지 부인된다고 할 수는 없다.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추가임대차계약이 위 법령을 위반하여 무효라는 원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는 이 사건 추가임대차계약이 민법 제103조 소정의 반사회질서의 법률행위에 해당하여 무효라는 원고들의 주장을 배척한 취지도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므로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법리오해 또는 심리미진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원심은 채택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추가임대차계약이 민법 제104조 소정의 불공정한 법률행위에 해당하거나 신의칙에 반하여 무효라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그 판시와 같은 이유로 이를 각 배척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와 같은 사실인정 및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또는 심리미진의 위법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유지담(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소유권 없어도 임대차계약은 유효! 전대차는 어떨까?

소유권이 없는 사람과 맺은 임대차 계약도 유효하지만, 진짜 소유자가 나타나 사용을 막으면 임대인의 의무는 이행불능이 되고 임차인은 차임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 이 판례는 기부채납된 점포를 무상사용하던 사람으로부터 다시 임차한 경우, 무상사용 기간 종료 후 진짜 소유주 측에서 명도를 요구하자 이행불능을 이유로 차임 지급을 거절할 수 있다고 판단한 사례이다.

#소유권 없는 임대인#임대차 계약#이행불능#차임 지급 거절

민사판례

남의 땅을 빌려줬는데, 세입자가 월세를 안 내요!

소유권이 없는 사람이 타인의 땅을 빌려준 경우에도 임대차 계약은 유효하게 성립하며, 임차인은 차임을 지급하고 계약 종료 시 땅을 돌려줘야 한다. 임차인이 차임을 연체하면 임대인은 계약을 해지하고 밀린 차임과 부당이득금을 청구할 수 있다.

#무권리자 임대차#계약 유효#차임 지급 의무#명도 의무

상담사례

임대차 계약 시 유치권 포기 특약, 효력 있을까요? 🤔

임대차 계약 시 유치권 포기 특약은 유효하며, 특약이 있으면 나중에 유치권을 주장할 수 없다.

#임대차 계약#유치권 포기 특약#효력#유치권 불성립 특약

민사판례

임대주택, 마음대로 계약 갱신 거절 못한다?!

임대주택법 적용을 받는 임대주택은 일반적인 주택과 달리, 임대인이 계약 갱신을 거절하려면 표준임대차계약서에 명시된 사유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계약 기간 만료만으로는 갱신 거절이 불가능합니다.

#임대주택#계약갱신거절#표준임대차계약서#갱신거절사유

상담사례

농지 임대차 계약, 불법이면 임대료 돌려받을 수 있을까?

농지 임대차 계약이 불법이더라도 임대료 반환은 원칙적으로 어려우며, 임대인의 반사회적 의도가 명백한 예외적인 경우에만 가능하다.

#농지 임대차#불법 계약#임대료 반환#불법원인급여

생활법률

내 집 마련 전 꼭 알아야 할 주택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세입자의 주거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 대항력, 우선변제권, 최우선변제권, 임차권등기명령, 계약갱신요구권 등을 통해 보증금 보호와 주거권을 보장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주거안정#세입자#임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