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장등직무집행정지및출입금지가처분

사건번호:

2000다45020

선고일자:

2001011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성의 소는 법률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는지 여부(적극) 및 조합의 이사장이나 이사에 대한 해임청구의 소를 본안으로 하는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이 허용되는지 여부(소극) [2] 조합원이 법인인 경우, 그 법인의 대표자가 조합의 이사장, 이사 및 감사의 피선출권을 갖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기존 법률관계의 변경·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형성의 소는 법률에 명문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기할 수 있는바, 조합의 이사장 및 이사가 조합업무에 관하여 위법행위 및 정관위배행위 등을 하였다는 이유로 그 해임을 청구하는 소송은 형성의 소에 해당하는데, 이를 제기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조합의 이사장 및 이사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은 허용될 수 없다. [2] 조합의 정관에서 이사장, 이사 및 감사는 총회에서 조합원 중에서 선출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더라도, 그 조합원이 법인인 경우에는 그 대표자가 이사장, 이사 및 감사의 피선출권을 갖는다.

참조조문

[1] 민사소송법 제226조[소의 제기] , 제714조 제2항 / [2] 민법 제70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9. 14. 선고 92다35462 판결(공1993하, 2752), 대법원 1997. 10. 27.자 97마2269 결정(공1997하, 3742)

판례내용

【신청인,상고인】 【피신청인,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0. 7. 7. 선고 99나5 1700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신청인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1. 이 사건 기록과 변론의 전취지에 비추어 볼 때, 원심이 이 사건 이사장 및 이사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신청의 피보전권리를 서울중앙기계부품상협동조합(중소기업협동조합법에 의하여 설립된 조합이다. 다음부터는 '이 사건 조합'이라고 한다)의 이사장 및 이사인 피신청인들의 조합 업무집행에 관한 위법행위 및 정관위배행위 등을 이유로 하는 피신청인들에 대한 이사장 및 이사 해임청구권과 새로운 이사장 및 이사의 선임에 따른 피신청인들에 대한 이사장 및 이사 지위부존재확인청구권으로 본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나 판단유탈 등의 잘못이 없다. 2. 법률관계의 변경·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형성의 소는 법률에 명문의 규정이 있는 경우에 한하여 제기할 수 있는바, 이 사건 조합의 이사장 및 이사가 조합업무에 관하여 위법행위 및 정관위배행위 등을 하였다는 이유로 그 해임을 청구하는 소송은 형성의 소에 해당하는데, 이를 제기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으므로, 이 사건 이사장 및 이사 직무집행정지 가처분은 허용될 수 없다(대법원 1997. 10. 27.자 97마2269 결정 참조). 따라서 같은 결론에 이른 원심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나 이유불비 등의 잘못이 없다. 3. 이 사건 조합의 정관 제44조 제1항은 이사장, 이사 및 감사는 총회에서 조합원 중에서 선출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그 조합원이 법인인 경우에는 그 대표자가 이사장, 이사 및 감사의 피선출권을 갖는다고 보아야 하므로, 같은 취지의 원심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4. 또 원심이 이 사건 조합의 1999. 4. 14.자 임시총회는 그 개회정족수 및 의결정족수가 충족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것도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등의 잘못이 없다. 5. 따라서 상고는 이유 없으므로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유지담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조합 청산인 해임과 직무대행자 선임 가처분, 가능할까?

법에서 정한 해임 사유 없이 조합 청산인을 해임하고 직무대행자를 선임해달라는 가처분 신청은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조합#청산인#해임#직무대행자

민사판례

해고된 조합원도 선거에 나갈 수 있을까? 노동조합 규약과 선거 이야기

해고되었지만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한 조합원은 여전히 조합원 자격을 유지하며, 선거에 출마할 권리가 있다. 또한, 모든 대의원이 참석하여 만장일치로 규약을 개정했다면 절차상 약간의 하자가 있어도 개정은 유효하다.

#해고자 선거권#조합 규약 개정#임원 자격 제한#부당해고 구제신청

상담사례

재개발·재건축 조합 이사가 조합 상대로 소송?! 특별대리인 선임은 안 돼요!

재건축/재개발 조합 이사가 조합을 상대로 소송 시, 조합장 부재시에도 감사가 조합을 대표하며 특별대리인 선임은 불필요하고, 법원은 피고를 감사로 정정하는 보정명령을 내려야 한다.

#재건축#재개발#조합#이사

민사판례

재건축조합 대표의 자격 문제, 소송은 어떻게 될까?

재건축조합 대표가 법적으로 완벽한 대표권을 갖추지 못했더라도, 법원은 대표권을 보완할 기회를 줘야 하며, 소송은 계속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보완은 항소심에서도 가능합니다.

#재건축조합#대표권 하자#소송 진행#보완 기회

민사판례

법인 대표 부재 시 법원의 임시 대표 선임 가능성

법인의 이사장 등 대표자가 없거나, 있어도 제대로 역할을 못해서 법인에 손해가 생길 우려가 있을 경우, 법원이 임시로 대표자를 선임할 수 있다.

#법인#임시대표자#법원선임#대표자부재

민사판례

조합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 누구를 상대로 해야 할까?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에서 이긴 원고는 그 판결에 불복하여 상고할 수 없으며, 이런 소송에서는 조합만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면 충분하고, 굳이 이사장 개인을 상대로 소송할 필요는 없다.

#이사장 선임 무효 확인 소송#상고이익#피고적격#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