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산)

사건번호:

2000다7301

선고일자:

200211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건설기계관리법 및 같은법시행령상의 종합건설기계대여업 또는 단종건설기계대여업 신고대표자가 연명신고자 소유의 건설기계에 대하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운행자책임을 지는지 및 그 건설기계의 조종사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지휘·감독할 관계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 방법 [2] 건설기계의 조종사를 지휘·감독할 사용자의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사업신고대표자는 그 조종사에 대하여 안전배려의무가 있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1] 건설기계관리법(1993. 6. 11. 법률 제4561호로 전문 개정된 것) 및 같은법시행령(1993. 12. 31. 대통령령 제14063호로 전문 개정된 것)에 의하여 2인 이상의 법인 또는 개인이 종합건설기계대여업 혹은 단종건설기계대여업을 공동으로 운영할 경우에는 대표자의 명의로 신고서를 제출하고 이에 각 구성원이 연명하여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 경우 대표자가 그 건설기계에 대한 운행을 지배하여 그 이익을 향수하는 책임주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 또 그 건설기계의 조종사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지휘·감독할 관계에 있는지 여부는 건설기계관리법 및 같은법시행령이 공동운영을 허용한 취지 및 같은법시행령에 따라 대표자와 연명신고자 사이에 체결된 관리계약상의 사업협동관계 내지 지휘·감독관계 등 실질관계를 따져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2] 건설기계의 조종사를 지휘·감독할 사용자의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사업신고대표자는 그 조종사에 대하여도 직접 근로계약상의 책임을 지는 사용자로서 그 조종사가 근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신체·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물적 환경을 정비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보호의무 내지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소정의 안전상의 조치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보호의무를 위반함으로써 피용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참조조문

[1]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 건설기계관리법(1993. 6. 11. 법률 제4561호로 전문 개정된 것) 제21조 , 건설기계관리법시행령(1993. 12. 31. 대통령령 제14063호로 전문 개정된 것) 제13조 제3항 , 제4항 , 건설기계관리법시행규칙 제58조 / [2] 민법 제655조 , 제750조 ,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 구 근로기준법(1997. 3. 13. 법률 제5305호로 폐지) 제64조(현행 제76조 참조) , 건설기계관리법(1993. 6. 11. 법률 제4561호로 전문 개정된 것) 제21조 , 건설기계관리법시행령(1993. 12. 31. 대통령령 제14063호로 전문 개정된 것) 제13조 제3항 , 제4항 , 건설기계관리법시행규칙 제58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30455 판결(공1998하, 1863), 대법원 1998. 6. 26. 선고 98다3306 판결, 대법원 1998. 10. 20. 선고 98다34058 판결(공1998하, 2685). 대법원 2001. 5. 15. 선고 2001다18643 판결(공2001하, 1390)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합자회사 관서건설기계 【원심판결】 대전지법 1999. 12. 16. 선고 99나5857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대전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건설기계관리법(1993. 6. 11. 법률 제4561호로 전문 개정된 것) 및 같은법시행령(1993. 12. 31. 대통령령 제14063호로 전문 개정된 것)에 의하여 2인 이상의 법인 또는 개인이 종합건설기계대여업 혹은 단종건설기계대여업을 공동으로 운영할 경우에는 대표자의 명의로 신고서를 제출하고 이에 각 구성원이 연명하여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이 경우 대표자가 그 건설기계에 대한 운행을 지배하여 그 이익을 향수하는 책임주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 또 그 건설기계의 조종사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지휘·감독할 관계에 있는지 여부는 건설기계관리법 및 같은법시행령이 공동운영을 허용한 취지 및 같은법시행령에 따라 대표자와 연명신고자 사이에 체결된 관리계약상의 사업협동관계 내지 지휘·감독관계 등 실질관계를 따져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대법원 1998. 6. 12. 선고 97다30455 판결, 1998. 6. 26. 선고 98다3306 판결, 1998. 10. 20. 선고 98다34058 판결 참조). 그리고 건설기계의 조종사를 지휘·감독할 사용자의 지위에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사업신고대표자는 그 조종사에 대하여도 직접 근로계약상의 책임을 지는 사용자로서 그 조종사가 근로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생명·신체·건강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물적 환경을 정비하고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보호의무 내지는 산업안전보건법 제23조 소정의 안전상의 조치의무를 부담하고, 이러한 보호의무를 위반함으로써 피용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그런데 원심이 인정한 사실과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덤프트럭의 실제 소유자인 소외 1과 피고 회사는 건설기계대여업을 공동으로 영위하기로 하고 건설기계관리법 등 관계 법령에 따라 이 사건 덤프트럭의 등록명의자인 소외 2를 연명신고자로, 피고 회사를 사업신고대표자로 하여 신고하면서 건설기계대여업관리계약서(을 제2호증, 이하 '이 사건 관리계약서'라 한다)를 작성하여 이를 그 신고서에 첨부하여 제출하였는바, 이 사건 관리계약서에 의하면, 위 소외 1은 이 사건 덤프트럭을 이용한 영업, 그 영업수익의 귀속, 조종사의 급여 등 이 사건 덤프트럭의 운행과 관련한 비용의 주체로서, 피고 회사와는 관계없이 독자적으로 타인과 계약을 체결하고 이 사건 덤프트럭을 사용하여 영업활동을 하고 자신 명의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며 피고 회사와는 별도로 부가가치세를 납부하도록 되어 있어 위 소외 1이 자신의 영업에 관하여 피고 회사로부터 어느 정도 독립적인 것으로 보이기는 하나, 반면에 위 관리계약상 위 소외 1과 피고 회사는 상호 동의 없이 이 사건 덤프트럭에 관한 처분행위를 할 수 없고, 위 소외 1은 피고 회사의 사무실 및 주기장 등 시설을 이용하고 피고 회사로부터 회계처리 등 행정편의를 제공받되 그 대가로 매월 일정액의 관리료를 피고 회사에 납부하도록 약정하였으며, 위 소외 1은 이 사건 덤프트럭과 조종사의 관리에 있어 관계 법규 등을 성실히 준수하고, 피고 회사의 지시에 따라 조종사에 대하여 각종 교육을 철저히 이행하여야 하며, 이 사건 덤프트럭에 대하여 반드시 종합보험에 가입하여야 하고, 조종사에 대하여 소정의 근로계약서 및 임금표를 작성 비치하고 근로기준법에 의한 노무관리를 하기로 약정한 점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위 소외 1이 이 사건 관리계약을 체결한 후 이 사건 덤프트럭에 대한 건설기계등록을 하면서 그 등록원부에 '사용본거지 또는 소속 대여회사명'을 피고 회사의 상호인 '(자) 관서건설기계'라고 기재하였고, 위 소외 1이 자신의 이름으로 사업자등록을 하면서도 상호를 피고 회사명인 '관서건설기계'로 하였으며, 실제로도 관리계약을 체결한 모든 덤프트럭의 적재함에 피고 회사의 명칭을 기재하고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이 사건 관리계약은 위 소외 1이 그 영업에 있어 피고 회사의 상호를 사용하는 것을 예정하고 있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정에다가 위 법령이 규정하는 대표자와 연명신고자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종합건설기계대여업 혹은 단종건설기계대여업은 대표자와 연명신고자의 '공동운영'을 전제로 하고 있는 것으로서 위 제도가 반드시 대표자 책임과 연명신고자의 책임을 분리하려는 취지에서 나온 것은 아니라고 보여지고, 오히려 위와 같이 개인과 법인이 공동사업형태를 취함으로써 종래 지입회사를 통하여 영업을 할 때와 같이 대규모 공사를 수주할 수 있는 이 점을 누릴 수 있다고 보이는 점을 종합하면, 이 사건 덤프트럭의 운행이 이 사건 관리계약에 따라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실질관계상 피고 회사는 이 사건 트럭의 운행을 간섭하거나 그에 대하여 지배관리할 책무가 있어 그 운행지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리료를 지급받는 등의 운행이익도 누리고 있어 그 운행자라 할 수 있고, 또 객관적으로 이 사건 트럭의 조종사를 지휘·감독할 사용자의 지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이와 다른 전제하에서 이 사건 관리계약의 성격을 일종의 용역계약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고, 피고 회사가 이 사건 사고 당시 이 사건 덤프트럭의 운행자 혹은 객관적으로 그 조종사인 망 소외 3을 지휘·감독할 지위에 있지 아니하다고 판단한 나머지, 위 망인의 부모들인 원고들이 이 사건 덤프트럭 운행중의 위 망인의 사망과 관련한 피고 회사에 대한 이 사건 손해배상청구의 근거로 주장하는 점들에 대하여 나아가 심리하지 아니한 채 이 사건 청구를 기각하고만 조치는 결국 건설기계대여업의 공동운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나머지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을 저지른 것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재윤(재판장) 서성 이용우(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기계 공동 대여업, 대표자에게 모든 책임이 있을까?

여러 명이 함께 건설기계 대여업을 할 때, 단순히 함께 사업자 등록을 했다는 이유만으로 대표자가 구성원의 교통법규 위반에 대해 책임을 지는 것은 아니다. 대표자와 구성원 사이에 실질적인 고용 관계 등이 있어야 책임을 물을 수 있다.

#건설기계#공동대여#대표자#양벌규정

민사판례

건설기계 대여업에서 사고 발생 시 책임은 누구에게?

여러 사람이 함께 건설기계 대여업을 할 때, 명의만 빌려준 대표가 아니라 실제로 운영에 관여하고 이익을 얻는 사람도 사고 책임을 져야 한다.

#건설기계#대여업#공동운영#운행자 책임

민사판례

건설기계 대여업, 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여러 사람이 공동으로 건설기계 대여업을 할 때, 명의만 빌려준 대표자가 아니라 실제로 운행을 지배하고 이익을 얻는 사람이 사고 책임을 져야 한다.

#건설기계#대여업#운행지배#책임주체

민사판례

건설기계 대여업, 사고 책임은 누구에게?

건설기계 대여업에서 단순히 서류상 대표자로 등록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질적으로 건설기계 운행을 지배하고 이익을 얻는다면 사고 발생 시 운행자로서 책임을 져야 한다.

#건설기계대여업#신고대표자#운행자책임#실질적 지배

민사판례

중장비 대여업, 사고 나면 누가 책임질까?

여러 명이 함께 건설기계 대여업을 할 때, 대표자로 등록한 사람도 다른 사람 소유의 건설기계에 대해 사고 책임을 질 수 있다.

#건설기계#공동대여업#대표자#운행자책임

민사판례

건설기계 임대차 계약과 사용자 책임, 그리고 구상권

## 제목: 건설기계 임대차 계약에서 발생한 사고에 대한 책임 소재는? 건설기계를 빌려 쓰다가 사고가 났을 때, 기계를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모두에게 책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 책임의 정도는 각자의 과실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구체적인 내용:** * 건설회사 A는 크레인 회사 B로부터 크레인과 운전기사를 빌렸습니다. * A회사 현장에서 크레인 작업 중 운전기사의 실수로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 이 경우, A회사와 B회사 모두에게 책임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A회사는 현장 감독을 소홀히 했고, B회사는 운전기사 교육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법원은 A회사와 B회사가 각자 책임져야 할 비율을 정하고, 피해자에게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판결 내용:** * 크레인 회사 B는 크레인 임대인으로서, 운전기사 교육 및 관리 책임을 집니다. * 건설회사 A는 크레인 임차인으로서, 현장 안전 관리 및 감독 책임을 집니다. * 양측 모두 책임이 있으므로, 법원은 과실 비율에 따라 책임을 나누어 배상하도록 판결했습니다. **참조조문:** * 민법 제2조 (권리의 행사와 의무의 이행) * 민법 제750조 (불법행위의 내용) * 민법 제756조 제3항 (사용자의 책임) * 민법 제425조 (부진정연대채무의 내용) * 민법 제760조 (공동불법행위자의 책임) **참조판례:** * 대법원 1996. 4. 9. 선고 95다52611 판결 * 대법원 2017. 4. 27. 선고 2016다271226 판결 * 대법원 1992. 3. 31. 선고 91다39849 판결 * 대법원 1994. 12. 27. 선고 94다4974 판결 * 대법원 1980. 8. 19. 선고 80다708 판결 * 대법원 1994. 10. 25. 선고 94누9498 판결 **쉬운 설명:** 이 판례는 건설 현장에서 크레인 같은 기계를 빌려 쓸 때 사고가 나면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판례에 따르면 기계를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모두에게 책임이 있으며, 책임의 정도는 각자의 잘못에 따라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크레인 회사는 운전기사를 제대로 교육하지 않은 책임이 있고, 건설회사는 현장에서 안전 관리를 소홀히 한 책임이 있습니다. 법원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누가 얼마만큼 책임을 져야 할지 판단합니다. 이 판례는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안전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건설기계#임대차#사고#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