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유권이전등기말소등기

사건번호:

2001다78416

선고일자:

200203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를 마친 자가 취득원인에 관하여 보증서나 확인서에 기재된 것과 다른 주장을 한다는 사유만으로 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지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 실효)에 따라 등기를 마친 사람이 보증서나 확인서에 기재된 취득원인과 다른 취득원인에 따라 권리를 취득하였다고 주장하는 때에도, 그 주장 자체에서 위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를 마칠 수 없음이 명백하거나 그 주장하는 내용이 구체성이 전혀 없다든지 그 자체로서 허구임이 명백한 경우 등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지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 실효) 제7조, 제10조 , 민법 제186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0. 10. 27. 선고 2000다33775 판결(공2000하, 2413), 대법원 2001. 11. 22. 선고 2000다71388, 71395 전원합의체 판결(공2002상, 129)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양도문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기욱) 【피고,피상고인】 양영복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동권) 【원심판결】 대구지법 200 1. 10. 19. 선고 2001나8040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구 부동산소유권이전등기등에관한특별조치법(1977. 12. 31. 법률 제3094호, 실효)에 따라 등기를 마친 사람이 보증서나 확인서에 기재된 취득원인과 다른 취득원인에 따라 권리를 취득하였다고 주장하는 때에도, 그 주장 자체에서 위 특별조치법에 따른 등기를 마칠 수 없음이 명백하거나 그 주장하는 내용이 구체성이 전혀 없다든지 그 자체로서 허구임이 명백한 경우 등과 같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등기의 추정력이 깨어지지 아니한다(대법원 2001. 11. 22. 선고 2000다71388, 71395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원심은, 피고가 이 사건 토지를 그의 아버지인 양태일로부터 증여받고 양태일이 사망한 뒤인 1980. 8. 25. 위 특별조치법에 따라 1951. 5. 10. 매매를 원인으로 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 명의의 등기가 허위의 서류에 따른 것으로서 무효라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는 판단하지 아니한 채, 피고가 이 사건 토지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마친 뒤 10년간 소유의 의사로 과실 없이 이를 점유하여 소유권을 취득하였으므로 그 명의의 등기가 실체권리관계에 부합하여 유효하다고 판단하였다. 원심이 피고가 허위의 서류를 이용하여 등기를 마쳤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판단을 하지 아니한 것은 잘못이나, 이러한 원고의 주장을 인정할 수 없는 이 사건에서, 피고 명의 등기는 위에서 본 법리에 따라 유효한 것으로 추정되므로, 원심이 피고 명의의 등기가 실체권리관계에 부합하여 유효하다고 판단한 것은 결과적으로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심리미진 또는 법리오해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소송비용의 부담을 정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옛날 법으로 등기한 땅, 쉽게 무효 안 된다?!

과거 토지 소유권 정리 목적으로 시행되었던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가 된 경우, 그 등기는 실제 소유권과 일치한다고 추정됩니다. 이 추정을 뒤집으려면 단순히 등기 과정에서의 절차상 오류나 보증서 내용과 실제 취득 경위가 다르다는 주장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등기가 **명백히 잘못되었다는 것을 의심할 만한 충분한 증거**가 필요합니다.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번복 요건#충분한 증거

민사판례

옛날 법으로 등기했는데, 취득 사유가 다르다고 문제 삼을 수 있을까?

옛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를 마친 사람이 나중에 등기에 적힌 취득 원인과 다른 주장을 한다고 해서 바로 등기의 효력이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 다른 증거들을 통해 새 주장이 거짓임이 밝혀져야 등기의 효력이 부정된다.

#부동산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취득 원인#증거

민사판례

옛날 땅 등기, 쉽지 않네!

옛날 특별조치법에 따라 토지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할 때, 보증인 자격이나 등기 원인에 약간 문제가 있어도 등기 자체는 유효하다는 판결입니다.

#특별조치법#토지#소유권이전등기#보증인자격

민사판례

옛날 땅 문서 없을 때 등기한 땅, 함부로 무효라고 못한다?!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소유권보존등기는 특별한 반증이 없는 한 유효하며, 등기 서류에 매도인이나 매수 날짜가 잘못 기재되었다고 해서 그 자체만으로는 등기가 무효가 되지 않는다.

#부동산 특별조치법#소유권보존등기#추정력#등기 무효

민사판례

옛날 방식으로 등기할 때 서류가 잘못됐다고 무조건 등기가 잘못된 건 아니에요!

옛날 부동산 특별조치법에 따라 등기가 된 경우, 등기 내용은 실제 소유권과 일치한다고 추정됩니다. 등기할 때 필요한 보증서나 확인서 내용이 사실과 다르더라도, 등기 자체가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단, 보증서나 확인서가 거짓으로 만들어졌거나 다른 이유로 등기 절차에 문제가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있어야 등기의 효력이 부정됩니다. 단순히 등기 당사자가 나중에 "사실 취득 원인은 달랐다"라고 주장하는 것만으로는 등기가 무효가 되지 않습니다.

#구 부동산 특별조치법#등기 추정력#보증서#확인서

민사판례

특별조치법에 의한 등기의 효력, 진실 앞에 무너지다!

과거 임야나 토지 소유권 정리 과정에서 사용된 특별조치법에 따라 만들어진 등기는 원칙적으로 유효하다고 추정되지만, 허위 서류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경우에는 그 효력을 잃는다.

#특별조치법#등기#추정력#허위보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