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산업기본법위반

사건번호:

2001도2423

선고일자:

2001113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 소정의 '입찰행위'의 의미(=형법상 입찰방해죄에 있어 입찰과 동일)

판결요지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는, 건설공사의 입찰에 있어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제3호에서 "위계 또는 위력 기타의 방법으로 다른 건설업자의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를 들고 있는바, 건설공사의 적정한 시공과 건설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건설산업기본법의 목적과 위와 같은 처벌규정을 두게 된 입법 취지를 종합하여 볼 때, 이는 같은 조 제1호와 제2호에서 들고 있는 사유 이외에도 건설공사의 입찰에 있어 입찰의 공정을 해치는 행위를 하는 건설업자들을 특별히 가중 처벌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법 제315조 소정의 입찰방해죄의 특별규정이라 할 것이고, 여기서 '입찰행위'를 방해한다 함은 형법상의 입찰방해죄의 구성요건을 충족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 소정의 '입찰행위'의 개념은 형법상의 입찰방해죄에 있어 '입찰'과 동일한 개념이다.

참조조문

형법 제315조 ,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도4700 판결(공2001상, 684)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변호인】 법무법인 화백 담당변호사 양삼승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4. 24. 선고 2001노168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유】 1. 피고인 2 주식회사 의 사실오인 주장에 대하여 원심이 적법히 채택한 증거들에 의하면, 원심공동피고인은 피고인 2 주식회사로부터 입찰에 관한 대리권을 수여받아 그 대리인으로서 이 사건 입찰에 참가한 사실을 넉넉히 인정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의 위법이 없다. 2. 피고인들의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에 관한 법리오해 주장에 대하여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는, 건설공사의 입찰에 있어 다음 각 호의 1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고 규정하고, 제3호에서 "위계 또는 위력 기타의 방법으로 다른 건설업자의 입찰행위를 방해한 자"를 들고 있는바, 건설공사의 적정한 시공과 건설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건설산업기본법의 목적과 위와 같은 처벌규정을 두게 된 입법 취지를 종합하여 볼 때, 이는 같은 조 제1호와 제2호에서 들고 있는 사유 이외에도 건설공사의 입찰에 있어 입찰의 공정을 해치는 행위를 하는 건설업자들을 특별히 가중 처벌하기 위한 것으로서 형법 제315조 소정의 입찰방해죄의 특별규정이라 할 것이고(대법원 2001. 2. 9. 선고 2000도4700 판결 참조), 여기서 '입찰행위'를 방해한다 함은 형법상의 입찰방해죄의 구성요건을 충족함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 소정의 '입찰행위'의 개념은 형법상의 입찰방해죄에 있어 '입찰'과 동일한 개념이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건설산업기본법 제95조 제3호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손지열(재판장) 조무제 유지담(주심)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건설공사 입찰방해, 뭘까요?

이 판례는 건설산업기본법에서 말하는 '입찰행위 방해'가 형법상 입찰방해죄와 같은 의미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재개발 사업 시공자 선정 과정에서 금품을 제공하여 입찰의 공정성을 해친 행위를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으로 판단한 사례입니다.

#건설산업기본법 위반#입찰방해#금품제공#양벌규정

형사판례

입찰 방해? 그냥 훼방 놓으면 처벌받아요!

입찰장소 주변을 봉쇄하여 다른 사람의 입찰 참여를 방해하는 행위는 입찰방해죄에 해당한다. 실제로 입찰 결과가 바뀌지 않았더라도, 입찰의 공정성을 해치는 행위 자체만으로도 범죄가 성립한다.

#입찰방해죄#위력#입찰장소 봉쇄#공정성

형사판례

담합으로 낙찰? 입찰방해죄로 처벌될 수 있습니다!

여러 업체가 서로 짜고 경쟁 입찰인 것처럼 가장하여 실질적으로 한 업체만 낙찰받도록 조작한 경우, 비록 입찰 주최 측에 금전적 손해를 끼치지 않았더라도 입찰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담합#실질적 단독입찰#입찰방해죄#형법 제315조

형사판례

학교 공사 입찰, 비리로 얼룩지다!

학교 공사 입찰에서 이사장과 직원이 특정 업체에 예정가격을 알려주고, 그 업체가 다른 업체들과 담합하여 낙찰받도록 도와준 경우, 모두 입찰방해죄로 처벌받는다. 법적 의무가 없는 입찰이라도 부정하게 진행하면 처벌 대상이 된다.

#입찰방해죄#예정가격 유출#담합#공정성

일반행정판례

공사 기간 못 지키면 입찰 참여 제한될 수 있습니다!

공사 준공을 약정 기한보다 한 달 이상 지연한 건설회사에 대해 입찰 참가 자격을 제한한 처분은 정당하다.

#공사지연#입찰자격제한#처분정당#계약불이행

형사판례

담합으로 위장한 단독입찰, 입찰방해죄 될까?

여러 업체가 서로 짜고 경쟁하는 척하며 실제로는 한 업체만 입찰에 참여하는 것은 입찰방해죄에 해당한다.

#담합#단독입찰#입찰방해죄#경쟁입찰 위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