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등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1두2638

선고일자:

20020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신축건물의 원시취득자가 건축허가 명의자인 제3자 명의로 취득세를 신고납부한 후 자신 앞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경료한 경우, 원시취득자 자신의 취득세 납세의무는 소멸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취득세는 신고납세 방식의 조세로서 이러한 유형의 조세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납세의무자가 스스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하여 신고하는 행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조세채무가 확정되고, 그 납부행위는 신고에 의하여 확정된 구체적 조세채무의 이행으로 하는 것이므로, 신축건물의 원시취득자가 건축허가 명의자인 제3자 명의로 취득세 등을 신고한 이상 제3자의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가 확정되었고, 원시취득자가 이를 사실상 납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제3자의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를 이행한 것에 불과하며, 그 후 자신 앞으로 소유권보존등기를 경료한 경우 그 자신이 건물을 원시취득한 데 따른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는 소멸하지 않는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구 지방세법(1998. 12. 31. 법률 제56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05조 , 제120조 , 구 지방세법시행령(1998. 12. 31. 대통령령 제159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6. 4. 12. 선고 96다3807 판결(공1996상, 1531), 대법원 1996. 8. 23. 선고 95다44917 판결(공1996하, 2829), 대법원 1997. 11. 11. 선고 97다8427 판결(공1997하, 3758), 대법원 1997. 12. 12. 선고 97다20373 판결(공1998상, 26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황광민 (소송대리인 변호사 박두환) 【피고,상고인】 서울특별시 강북구청장 (소송대리인 변호사 전욱)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 1. 3. 21. 선고 2000누12401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유】 1. 원심은, 그 내세운 증거들에 의하여, 원고가 이 사건 건물에 대하여 1996. 10. 11. 그 명의로 건축허가를 받아 건축공사를 하던 중 1998. 10. 11. 이 사건 건물에 대한 권리를 소외 주식회사 원지실업(이하 '소외 회사'라 한다)에게 양도하여 같은 달 13일 그 건축허가 명의가 소외 회사 명의로 변경된 사실, 그 후 위 양도가 소급적으로 무효가 되어 원고가 그의 자금으로 이 사건 건물을 완공하였으나, 그 건축허가 명의가 소외 회사로 되어 있어 피고는 1998. 11. 4. 이 사건 건물에 대하여 소외 회사에게 사용승인을 하고 원고는 1998. 12. 3. 피고에게 소외 회사 명의로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이하, '이 사건 제1차 신고납부'라 한다)한 사실, 한편 원고는 위 양도가 소급적으로 무효라는 이유로 소외 회사를 상대로 서울지방법원 99가합25667호로 소유권확인소송을 제기하여 1999. 6. 4. 승소판결을 받고 그 때쯤 그 판결이 확정되어 이에 기하여 같은 해 7월 19일 이 사건 건물에 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한 후, 같은 달 22일 피고에게 그 명의로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이하 '이 사건 제2차 신고납부'라 한다)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그의 자금으로 이 사건 건물을 신축하였으므로 이 사건 건물은 원고가 원시취득한 것이라 할 것이나, 이 사건 건물의 원시취득자인 원고가 위와 같이 제1차 신고납부를 한 이상, 이로써 이 사건 건물의 원시취득에 따른 취득세 등은 이미 적법하게 납부된 것이라고 보는 것이 실질적인 이중과세를 막고 조세공평의 원칙에도 부합하는 해석이라 할 것이므로, 이 사건 제2차 신고납부는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이 사건 취득세 등은 신고납세 방식의 조세로서 이러한 유형의 조세에 있어서는 원칙적으로 납세의무자가 스스로 과세표준과 세액을 정하여 신고하는 행위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조세채무가 확정되고, 그 납부행위는 신고에 의하여 확정된 구체적 조세채무의 이행으로 하는 것이므로(대법원 1996. 4. 12. 선고 96다3807 판결 등 참조), 원고가 소외 회사 명의로 이 사건 취득세 등을 신고한 이상 소외 회사의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가 확정되었고, 원고가 이를 사실상 납부하였다고 하더라도 이는 소외 회사의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를 이행한 것에 불과하므로, 이로써 원고의 이 사건 건물의 원시취득에 따른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가 소멸하였다고 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이와 달리 판단한 원심판결에는 취득세 등의 납세의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유지담(재판장) 조무제 강신욱 강신욱 강신욱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건물 신축 중 건축주 명의 변경, 세금은 누가 낼까?

땅 주인이 땅값을 못 받을까 봐 건물 짓는 사람과 함께 공동건축주로 이름을 올렸더라도, 단순히 이름만 올린 것이라면 실제 건물 소유주로 인정되지 않아 취득세와 재산세를 낼 필요가 없다는 판결입니다.

#공동건축주#담보#명의#소유권

민사판례

취득세 이중납부, 돌려받을 수 있을까?

무상으로 부동산을 취득했음에도 유상취득으로 오인하여 더 많은 취득세와 등록세를 납부한 경우, 초과 납부한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무상취득#유상취득#취득세#등록세

세무판례

내 집 마련했는데, 내 명의가 아니라고? 그래도 취득세 내야 하나요?

다른 사람 이름으로 등기된 부동산(명의신탁)이라도 실제로 매매대금을 지불하고 소유권을 행사하는 사람이 취득세를 내야 한다.

#명의신탁#부동산#취득세#사실상 취득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 명의 변경, 진짜 건축주는 누구?

건축허가 당시 진짜 건축주가 아닌 다른 사람 이름으로 허가를 받았더라도, 나중에 진짜 건축주가 허가받은 사람을 진짜 권리자로 인정하는 합의를 했다면, 행정청은 단순히 최초 건축허가 신청서의 건축주 명의가 잘못됐다는 이유만으로 건축주 명의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건축허가#명의변경#한계#진짜 건축주

상담사례

억울한 내 집, 이중매매 당했어요! 무허가 건물이라도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무허가 건물 이중매매 피해자는 건물대장에 등재된 다른 매수인에게 직접 소유권 이전을 요구할 수는 없지만, 최초 매도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하거나, 두 번째 매수인이 이중매매 사실을 알았다면 그를 상대로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무허가 건물#이중매매#소유권#손해배상

세무판례

이중계약서와 양도소득세, 허위계약서로 보는 이유는?

부동산을 실제 거래 내용과 다르게 이중계약서를 작성하고, 실제 매수인이 아닌 다른 사람 명의로 등기하면 소득세법상 허위계약서 작성에 해당하여, 실제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계산한다.

#이중계약서#소득세법#허위계약서#양도소득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