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이의

사건번호:

2002다21554

선고일자:

2004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특허권침해금지 가처분이의사건이 상고심에 계속중인 상태에서 특허권이 무효로 확정된 경우, 가처분신청사건의 피보전권리 유무(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특허법 제135조, 구 민사소송법(2002. 1. 26. 법률 제6626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402조(현행 제432조 참조) 제404조(현행 제434조 참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2. 4. 23. 선고 2000후2439 판결

판례내용

【채권자, 피상고인】 채권자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율촌 담당변호사 신성택) 【채무자, 상고인】 길상산업 주식회사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여운길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2002. 3. 20. 선고 2001나38373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제1심판결 중 채무자들 패소 부분을 취소한다. 채권자들과 채무자들 사이의 서울지방법원 99카합2291 특허권침해금지가처분 신청사건에 관하여 위 법원이 2000. 4. 8.에 한 가처분결정 중 제1심판결에서 가처분신청이 인가된 부분을 취소하고, 그 취소 부분에 해당하는 채권자들의 채무자들에 대한 가처분신청을 기각한다. 소송총비용은 채권자들이 부담한다. 【이 유】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채무자들이 동양개발 주식회사에 주문하여 그 회사로부터 공급받은 이 사건 특허발명(특허등록번호 생략)과 같은 제품에 무가치한 수단의 부가에 불과한 폐타이어 또는 폐고무 섬유만을 첨가하여 유색(有色) 투수(透水) 콘크리트를 제조·시공하여 온 행위는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권을 침해하는 행위에 해당하며 채무자들이 이 사건 특허의 무효를 주장하고 있는 이상 그 특허권을 침해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어 이 사건 가처분신청은 피보전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이 있으므로 위 당사자들 사이의 서울지방법원 99카합2291 특허권침해금지가처분 신청사건에 관하여 같은 법원이 2000. 4. 8.에 한 가처분결정을 일부 인가한 제1심판결이 정당하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상고심 계속중인 2003. 12. 26. 이 사건 특허발명의 특허를 무효로 하는 심결이 확정됨으로써 그 특허권은 처음부터 없었던 것으로 보게 되었고, 따라서 이 사건 가처분신청은 피보전권리가 부존재하게 되었으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은 그대로 유지할 수 없어 이를 파기하되, 이 사건은 이 법원이 직접 재판하기에 충분하므로 위와 같은 이유로 제1심판결 중 채무자들의 패소 부분과 위 가처분결정 중 가처분신청이 인가된 부분을 각 취소하고, 그 취소 부분에 해당하는 채권자들의 채무자들에 대한 이 사건 가처분신청을 기각하며, 소송총비용은 채권자들이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이강국 김용담(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특허 무효되면 특허침해 고소도 무효!

특허가 무효로 확정되면, 그 특허를 근거로 이전에 제기된 특허권 침해 고소는 효력을 잃고, 이에 따라 진행된 형사소송 역시 무효가 된다는 판결입니다.

#특허 무효 확정#특허권 침해 공소 무효#공소기각#소급효

민사판례

가처분과 본안소송, 꼭 똑같아야 효력이 있을까?

가처분 신청 당시의 청구와 본안소송의 청구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더라도, 둘 다 동일한 목적을 위한 것이라면 가처분의 효력은 본안소송에도 미친다는 대법원 판결.

#가처분#본안소송#효력#동일 목적

민사판례

특허권 침해 가처분과 손해배상, 그리고 계약 해석에 대한 이야기

특허권 침해를 주장하며 가처분 신청을 했지만, 나중에 그 주장이 잘못된 것으로 드러난 경우, 가처분 신청을 한 측에 고의나 과실이 없었다면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는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계약 내용에 대한 해석은 계약서 문구뿐만 아니라 계약 당시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무혐의 처분을 받은 고소 건은 권리 남용에 해당하는 고의나 중과실이 없다면 불법행위로 보기 어렵다는 내용도 포함됩니다.

#특허권 침해#가처분#손해배상#계약 해석

민사판례

특허권 지분의 일부 양도와 가처분, 그리고 전용실시권 설정에 관하여

특허권의 일부 지분에 대해서만 가처분이 된 상태에서, 전체 특허권이 제3자에게 이전되거나 전용실시권이 설정된 경우, 가처분의 효력은 어디까지 미치는가?

#특허권#지분#가처분#제3자 이전

민사판례

가처분, 그리고 제3자의 권리

소유권 이전 관련 가처분 후 본안소송에서 이긴 사람의 권리는, 설령 본안소송 과정에 문제가 있었더라도,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제3자에게도 효력이 있다.

#가처분#본안소송 승소#제3자 대항력#제척기간

민사판례

가처분 취소, 본안소송 패소가 결정적?

가처분을 받은 사람이 본안소송에서 패소하고, 그 판결이 뒤집힐 가능성이 낮다면, 상황 변화를 이유로 가처분 결정을 취소할 수 있다.

#가처분#본안소송#패소#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