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금

사건번호:

2002다24935

선고일자:

200211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농지개량조합이 농림부장관의 승인 없이 노동조합과 사이에 체결한 임직원의 보수 인상 약정의 효력(무효)

판결요지

구 농지개량조합법(1999. 2. 5. 법률 제5759호로 폐지) 제40조, 제54조에 따라 농지개량조합의 임직원의 보수는 농림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조합장이 정하고, 농지개량조합은 회계연도마다 사업계획과 수지예산을 작성하여 총회의 의결을 거쳐 농림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그 수지예산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농지개량조합이 농림부장관의 승인 없이 노동조합과 사이에 임직원의 보수를 종전보다 인상하기로 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 그 보수 인상 약정은 효력이 없다.

참조조문

구 농지개량조합법(1999. 2. 5. 법률 제5759호로 폐지) 제40조, 제54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농업기반공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현철)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2. 3. 29. 선고 2001나40543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구 농지개량조합법(1999. 2. 5. 법률 제5759호로 폐지) 제40조, 제54조에 따라 농지개량조합의 임직원의 보수는 농림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조합장이 정하고, 농지개량조합은 회계연도마다 사업계획과 수지예산을 작성하여 총회의 의결을 거쳐 농림부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며 그 수지예산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같은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농지개량조합이 농림부장관의 승인 없이 노동조합과 사이에 임직원의 보수를 종전보다 인상하기로 하는 내용의 단체협약을 체결한 경우 그 보수 인상 약정은 효력이 없다 .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전북농지개량조합이 전국농지개량조합노동조합과 사이에 퇴직금 지급기준을 농림부장관이 정한 농지개량조합보수규정준칙이 정한 것보다 인상하는 내용의 이 사건 보충협약을 체결하였으나, 인상된 퇴직금 지급을 위한 예산에 대하여 농림부장관의 승인을 얻지 아니한 이상 이 사건 보충협약은 효력이 없으므로, 전북농지개량조합의 채무를 포괄적으로 승계한 피고가 그 직원인 원고들에게 이 사건 보충협약에 따라 인상된 퇴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고 판단한 것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배, 심리미진, 법리오해 또는 판단누락 등의 잘못이 없다. 따라서 상고이유는 모두 받아들일 수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소송비용의 부담을 정하여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배기원(재판장) 서성(주심) 이용우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농지개량조합 직원의 징계와 조합장 선거 출마, 그 숨겨진 이야기

농지개량조합 직원이 파면 징계를 받은 후 퇴직금을 수령하고 조합장 선거에 출마했다가 낙선한 경우, 이러한 행위가 징계처분에 대한 이의를 포기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가 쟁점이 되었습니다. 법원은 이 부분에 대한 심리가 부족했다고 판단하여 원심 판결을 파기했습니다.

#징계처분#퇴직금 수령#조합장 선거 출마#이의 포기

일반행정판례

농지개량조합 직원 징계처분 취소소송, 퇴직금 수령 및 조합장 선거 출마는 소송 유지에 영향 없다!

농지개량조합 직원이 징계처분을 받고 소송을 제기한 후 퇴직금을 받고 조합장 선거에 출마했다고 해서 소송을 유지하는 것이 신의칙에 위배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징계처분의 적정성은 단순히 내부 규정만이 아니라 비위사실의 내용, 징계 목적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해야 한다.

#농지개량조합#징계처분#취소소송#퇴직금

민사판례

회사가 취업규칙을 바꿀 때 꼭 알아야 할 것들!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취업규칙을 바꿀 때는 노조 동의를 얻어야 하지만, 회사 내부 절차(예: 이사회 결의) 전에 노조 동의를 받아도 유효하며, 노조원 개별 동의로는 부족합니다. 또한, 노조 동의가 없더라도 사회통념상 합리적이면 변경된 취업규칙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취업규칙#불리한 변경#노조 동의#합리성

민사판례

회사가 맘대로 퇴직금 규정 바꿀 수 있을까?

회사가 직원들에게 불리한 방향으로 취업규칙(예: 퇴직금 규정)을 바꾸려면 직원들의 동의를 받아야 합니다. 단순히 직원들이 반대하지 않았다고 해서 동의한 것으로 볼 수 없으며, 직원 과반수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설령 개별 직원이 동의했더라도 과반수 동의가 없다면 그 변경은 효력이 없습니다.

#퇴직금#취업규칙 변경#직원 동의#과반수 동의

민사판례

농지개량조합장의 허위 계약과 채권 양도, 그리고 그 무효성에 대하여

농지개량조합 조합장이 공사업체와 짜고 허위 공사계약을 맺고, 그 대금을 은행에 넘기는 것을 승낙한 행위는 조합 총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아 무효입니다.

#농지개량조합#조합장#허위 공사계약#채권양도

민사판례

퇴직금 규정 변경, 회사 마음대로 안 돼요!

정부투자기관이 이사회 결의와 정부 인가만으로 퇴직금 규정을 불리하게 바꾼 것은 무효다. 근로자 동의 없이 퇴직금 지급률을 낮춘 것은 사회통념상 합리적이지 않다.

#정부투자기관#퇴직금#규정 개정#근로자 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