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양의무효

사건번호:

2003므2411

선고일자:

200404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가사

사건종류코드:

400103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입양의 실질적 요건 및 호적상 형식적으로만 입양한 것처럼 가장하기로 하여 이루어진 입양신고의 효력(소극) [2] 진실로 양자로 입양할 의사 없이 다른 사람의 호적부로 전적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양자로 입양하는 것처럼 가장하는 입양신고를 함으로써 이루어진 입양은 당사자 사이에 입양의 합의가 없는 때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883조 제1호 / [2] 민법 제883조 제1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5. 9. 29. 선고 94므1553, 1560 판결(공1995하, 3625), 대법원 2000. 6. 9. 선고 99므1633, 1640 판결(공2000하, 1654)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사건본인】 【원심판결】 대구지법 2003. 9. 16. 선고 2003르215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 1. 입양의 실질적 요건이 구비되어 있다고 하기 위하여는 입양의 합의가 있을 것, 15세 미만자는 법정대리인의 대낙이 있을 것, 양자가 양부모의 존속 또는 연장자가 아닐 것 등민법 제883조 각 호 소정의 입양의 무효사유가 없어야 하며, 민법 제883조 제1호의 입양무효사유인 '당사자 간에 입양의 합의가 없는 때'라 함은 당사자 간에 실제로 양친자로서의 신분적 생활관계를 형성할 의사를 가지고 있지 아니한 경우를 말하므로, 입양신고가 호적상 형식적으로만 입양한 것처럼 가장하기로 하여 이루어진 것일 뿐 당사자 사이에 실제로 양친자로서의 신분적 생활관계를 형성한다는 의사의 합치가 없었던 것이라면 이는 당사자 간에 입양의 합의가 없는 때에 해당하여 무효라고 보아야 한다( 대법원 1995. 9. 29. 선고 94므1553, 1560 판결, 2000. 6. 9. 선고 99므1633, 1640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그 채용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가 사건본인의 호적을 원고의 호적부로 옮기는 것을 계속 거절하자 소외 1은 원고에게 전화를 걸어 "사건본인을 일단 소외 2의 부모에게 입양시키면 나중에 협의파양하기가 쉽고 사건본인의 호적을 원고의 호적부로 옮기는 것도 쉬우니 사건본인을 소외 2의 부모에게 잠정적으로 입양시키겠다."고 일방적으로 통보한 다음 원고의 승낙을 받지 아니한 채 입양신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으므로, 이 사건 입양은 원고의 승낙이 없었다는 점에서 무효이고, 가사 그러한 승낙이 있었다 하더라도, 이는 원고가 사건본인의 호적을 원고의 호적부로 전적할 때까지 해제조건부 또는 기한부로 승낙한다는 것으로서 친족관계의 명확성을 중시하는 친족법상 무효일 뿐만 아니라, 소외 3과 피고는 진실로 사건본인을 양자로 입양할 의사가 없이 오로지 소외 1이 사건본인의 호적을 원고의 호적부로 전적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사건본인의 호적만을 자신들의 호적부로 전적할 의사로 마치 사건본인을 양자로 입양하는 것처럼 가장하는 입양신고를 하였다고 보아야 하고, 그러한 입양은 당사자 사이에 입양의 합의가 없는 때에 해당하여 당사자들의 진의를 중시하는 친족법상 무효라고 판단하였는바,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와 같은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은 옳은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입양의 무효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윤재식(재판장) 변재승 강신욱 고현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가사판례

입양은 마음대로 되는 게 아니에요! - 진짜 가족처럼 살아야 인정!

단순히 서류상으로 입양을 추인했더라도 실제로 양부모-자녀 관계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입양은 무효다.

#입양#추인#무효#실질적 양육

가사판례

형식적인 입양은 무효! 진짜 가족이 아니면 인정할 수 없어요!

처벌 피하려고 거짓으로 입양한 것은 무효이고, 이미 파양되었더라도 그 입양이 후속 분쟁의 원인이라면 무효 확인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거짓 입양#무효#확인소송#파양

상담사례

아이 낳은 것처럼 출생신고 했는데, 생모가 나타났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불법적인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입양 의사가 있었다면 입양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있으나, 법 개정으로 확실한 답변을 위해 전문가 상담이 필수적이다.

#출생신고#생모#친생자#입양

가사판례

입양 의사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했지만… 진짜 입양 효력이 있을까?

단순히 입양할 생각으로 친생자 출생신고를 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로 부모-자식처럼 생활하는 등 입양의 조건을 갖춰야 진짜 입양으로 인정됩니다. 나중에 입양 사실을 인정(추인)하는 것도 실제 양육 등의 조건이 갖춰졌을 때만 효력이 있습니다.

#입양#친생자 출생신고#양육#추인

상담사례

곤경에 빠진 친구, 입양으로 구할 수 있을까?

친구를 돕기 위한 형식적 입양은 진정한 부모-자식 관계 형성 의사가 없으므로 법적 효력이 없다.

#입양#효력#진정한 입양 의사#법적 테두리

상담사례

16살 아이 입양, 법원 허가 없이 진행했는데… 괜찮을까요? 😱

법원 허가 없이 16세 미성년자를 입양했으므로 입양은 무효이며, 법적 효력을 위해서는 허가 절차를 다시 밟아야 한다.

#입양#미성년자#법원 허가#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