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문서변조·변조공문서행사·사문서위조·위조사문서행사·사문서변조·변조사문서행사·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행사

사건번호:

2004도2767

선고일자:

20040820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권한 없는 자가 임의로 인감증명서의 사용용도란의 기재를 고쳐 쓴 경우, 공문서변조죄 및 변조공문서행사죄의 성립 여부(소극)

판결요지

인감증명법 제12조 제1항, 동법시행령(2002. 12. 31. 대통령령 제178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등 인감증명의 신청과 인감증명서의 발급에 관한 법령의 규정에 의하면, 인감의 증명을 신청함에 있어서 그 용도가 부동산매도용일 경우에는 부동산매수자란에 매수자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법인명),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여 신청하여야 하지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신청 당시 사용용도란을 기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신청인이 직접 기재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용도에 따른 인감증명서의 유효기간에 관한 종전의 규정도 삭제되어 유효기간의 차이도 없으므로 인감증명서의 사용용도란의 기재는 증명청인 동장이 작성한 증명문구에 의하여 증명되는 부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할 것이므로, 권한 없는 자가 임의로 인감증명서의 사용용도란의 기재를 고쳐 썼다고 하더라도 공무원 또는 공무소의 문서 내용에 대하여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증명력을 작출한 경우라고 볼 수 없으므로 공문서변조죄나 이를 전제로 하는 변조공문서행사죄가 성립되지는 않는다.

참조조문

형법 제225조 , 제229조 , 인감증명법 제12조 제1항 , 구 인감증명법시행령(2002. 12. 31. 대통령령 제178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고인】 【상고인】 피고인들 및 검사 【변호인】 변호사 김승구(피고인 1을 위하여)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4. 4. 20. 선고 2003노3382 판결 【주문】 각 상고를 기각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피고인 1의 변호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에 명시된 증거들을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 1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판시 사문서위조, 위조사문서행사, 사문서변조, 변조사문서행사, 공정증서원본불실기재, 불실기재공정증서원본행사의 각 점에 대하여 범죄의 증명이 있다고 보아 유죄로 처단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로 인한 사실오인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검사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인감증명법 제12조 제1항, 동법시행령(2002. 12. 31. 대통령령 제17867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3조 등 인감증명의 신청과 인감증명서의 발급에 관한 법령의 규정에 의하면, 인감의 증명을 신청함에 있어서 그 용도가 부동산매도용일 경우에는 부동산매수자란에 매수자의 성명(법인인 경우에는 법인명), 주소 및 주민등록번호를 기재하여 신청하여야 하지만 그 이외의 경우에는 신청 당시 사용용도란을 기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필요한 경우에 신청인이 직접 기재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용도에 따른 인감증명서의 유효기간에 관한 종전의 규정도 삭제되어 유효기간의 차이도 없으므로 인감증명서의 사용용도란의 기재는 증명청인 동장이 작성한 증명문구에 의하여 증명되는 부분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고 할 것이다 . 따라서 권한 없는 자가 임의로 인감증명서의 사용용도란의 기재를 고쳐 썼다고 하더라도 공무원 또는 공무소의 문서 내용에 대하여 변경을 가하여 새로운 증명력을 작출한 경우라고 볼 수 없으므로 공문서변조죄나 이를 전제로 하는 변조공문서행사죄가 성립되지는 않는다고 볼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인들이 공모하여 정일철의 승낙 없이, 서울 서초구 서초 제2동장이 정일철에게 발행한 이 사건 인감증명서 2통의 사용용도란에 기재된 토지사용승인용(70㎡)의 '70'을 지운 후 '135'로 기재하여 공문서인 위 각 인감증명서를 변조하고, 이를 성남시 분당구청 공무원에게 일괄 제출하여 행사하였다."는 취지의 이 사건 공문서변조, 변조공문서행사의 공소사실은 죄가 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공문서변조죄에 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 1985. 9. 24. 선고 85도1490 판결은, 인감증명을 받으려는 자는 용도를 기재한 원서를 증명청에 제출하여야 하고, 그 기재한 용도에 따른 인감증명서가 발급되면, 그 용도기재의 여하에 따라 인감증명서의 유효기간이 달라지도록 규정하고 있던 구 인감증명법시행령(1985. 6. 29. 대통령령 제1171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이 시행될 때의 사안에 관한 것으로,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는 적절치 아니하므로, 원심판결에 판례위반의 위법이 있다고도 할 수 없다. 3. 피고인 2의 상고에 대하여 피고인 2는 법정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하였고 상고장에 상고이유의 기재도 없으므로 형사소송법 제380조에 의하여 결정으로 상고를 기각할 것이나, 피고인 1에 대한 사건과 일괄하여 판결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한다. 4. 그러므로 각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변재승(재판장) 윤재식 강신욱(주심) 고현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짜이 있는 인감증명서, 그 위험성에 대하여

공무원의 잘못으로 허위 인감증명서가 발급되어 금전적 손해를 입었다면, 국가는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단, 피해자에게도 과실이 있다면 손해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허위 인감증명서#국가배상#공무원 과실#피해자 과실

형사판례

인감증명서 첨부 문서의 증명력

본인이 특정 용도를 명시하여 직접 발급받은 인감증명서가 첨부된 문서는, 그 용도에 맞게 인감도장이 찍혀 있다면 본인이 작성했거나 위임한 사람이 작성한 것으로 추정되어 위조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인감증명서#용도#증명력#위조

민사판례

인감증명서 발급, 공무원의 책임은 어디까지?

타인의 인감증명서를 부정하게 발급받아 금전적 피해를 입은 사건에서, 대법원은 담당 공무원이 본인 확인을 소홀히 한 과실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단순히 주민등록증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주민등록표의 사진과 대조하는 등 적극적인 본인 확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감증명서#본인확인#공무원#과실

형사판례

공공기관 문서에 멋대로 점선 긋기, 범죄일까?

공문서에 첨부된 도면에 점선을 추가하는 행위는 그 자체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 한 공문서 변조에 해당하지 않는다.

#공문서#도면#점선#변조

형사판례

신원증명서, 함부로 사용해도 괜찮을까? 공문서부정행사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다른 사람의 신원증명서를 그 사람 허락 없이 사용했더라도, 사용 목적이 신원증명서 본래의 용도에 맞다면 공문서부정행사죄로 처벌할 수 없다.

#신원증명서#타인사용#공문서부정행사죄#무죄

형사판례

세금 담당 공무원의 인사이동 후 기록 변경, 범죄일까?

담당 업무에서 이동한 후, 이전에 담당했던 재산세 과세대장을 수정하면 공문서변조죄가 성립한다.

#공문서변조#권한#재산세 과세대장#수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