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명령등취소

사건번호:

2004두10968

선고일자:

200506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시·도지사의 인사교류안의 작성과 그에 의한 인사교류의 권고가 선행되지 아니하는 경우,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에 의한 인사교류를 실시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하자 있는 행정처분이 당연무효로 되기 위한 요건과 그 판단 기준 [3] 도지사의 인사교류안 작성과 그에 따른 인사교류의 권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여진 관할구역 내 시장의 인사교류에 관한 처분은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그 하자가 중대하고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당연무효라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은 시·도지사로 하여금 당해 지방자치단체 및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인사교류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할 경우 당해 시·도에 두는 인사교류협의회에서 정한 인사교류기준에 따라 인사교류안을 작성하여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인사교류를 권고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시·도지사의 인사교류안의 작성과 그에 의한 인사교류의 권고가 선행되지 아니하면 위 조항에 의한 인사교류를 실시할 수 없다. [2] 행정처분이 당연무효라고 하기 위하여는 처분에 위법사유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하자가 법규의 중요한 부분을 위반한 중대한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명백한 것이어야 하며,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함에 있어서는 그 법규의 목적, 의미, 기능 등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구체적 사안 자체의 특수성에 관하여도 합리적으로 고찰함을 요한다. [3] 도지사의 인사교류안 작성과 그에 따른 인사교류의 권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여진 관할구역 내 시장의 인사교류에 관한 처분은 지방공무원법 제30조의2 제2항의 입법 취지에 비추어 그 하자가 중대하고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당연무효라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지방자치법 제30조의2 제2항 / [2] 행정소송법 제1조[행정처분일반] , 제19조 / [3] 지방자치법 제30조의2 제2항

참조판례

[2] 대법원 1995. 7. 11. 선고 94누4615 전원합의체 판결(공1995상, 2633), 대법원 1996. 2. 9. 선고 95누4414 판결(공1996상, 966), 대법원 1997. 5. 9. 선고 96다55204 판결(공1997상, 1729), 대법원 1997. 5. 28. 선고 95다15735 판결(공1997하, 1965), 대법원 1997. 6. 19. 선고 95누8669 전원합의체 판결(공1997하, 1913), 대법원 1997. 10. 10. 선고 97다26432 판결(공1997하, 3442), 대법원 2002. 2. 8. 선고 2000두4057 판결(공2002상, 693), 대법원 2002. 12. 10. 선고 2001두4566 판결(공2003상, 379), 대법원 2004. 11. 26. 선고 2003두2403 판결(공2005상, 57)

판례내용

【원고,피상고인】 【피고,상고인】 과천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4. 9. 15. 선고 2003누15968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유】상고이유를 본다. 1. 지방공무원법(이하 '법'이라고 한다) 제30조의2 제2항의 인사교류에 관한 법리오해 여부에 대하여 법 제30조의2 제2항은 시·도지사로 하여금 당해 지방자치단체 및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에 인사교류의 필요성이 있다고 인정할 경우 당해 시·도에 두는 인사교류협의회에서 정한 인사교류기준에 따라 인사교류안을 작성하여 관할구역 안의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인사교류를 권고할 수 있도록 하고, 이 경우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시·도지사의 인사교류안의 작성과 그에 의한 인사교류의 권고가 선행되지 아니하면 위 조항에 의한 인사교류를 실시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가 과천시 지방공무원인 원고에 대하여 법 제30조의2 제2항에 의한 인사교류로서 부천시 지방공무원으로 전출을 명하는 이 사건 처분을 하기에 앞서 경기도지사가 인사교류안 마련을 위해 피고를 비롯한 관할구역 안의 시장·군수에게 보낸 '자치단체 간 인사교류활성화를 위한 시행방안'에 제시된 지방자치단체의 장 사이의 상호 협의에 의한 인사교류방안에 따라 피고와 부천시장 사이에 인사교류에 관한 협의가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경기도지사의 인사교류안의 작성과 그에 의한 인사교류의 권고가 없는 이상, 피고로서는 위 조항에 의한 인사교류를 실시할 수 없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관계 법령과 앞서 본 법리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옳고, 거기에 법 제30조의2 제2항의 인사교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 행정행위의 당연무효에 관한 법리오해 여부에 대하여 행정처분이 당연무효라고 하기 위하여는 처분에 위법사유가 있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하자가 법규의 중요한 부분을 위반한 중대한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명백한 것이어야 하며,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한 것인지 여부를 판별함에 있어서는 그 법규의 목적, 의미, 기능 등을 목적론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구체적 사안 자체의 특수성에 관하여도 합리적으로 고찰함을 요한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1995. 7. 11. 선고 94누4615 판결, 2002. 12. 10. 선고 2001두4566 판결 등 참조). 법 제30조의2 제2항의 입법 취지는 시·도지사에게 관할구역 내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균형 있는 인력배치와 지방자치단체의 행정발전 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인사교류를 권고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한편 그 권한의 적정한 행사를 보장하기 위하여 인사교류협의회에서 정한 인사교류기준에 따라 작성된 인사교류안에 따르도록 한 것이므로, 이러한 일련의 절차는 위 조항에 의한 인사교류를 함에 있어서 본질적인 것으로서 중대하다고 할 것인바, 경기도지사의 인사교류안의 작성과 그에 따른 인사교류의 권고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행하여진 이 사건 처분은 그 하자가 중대한 것으로서 객관적으로 명백하여 당연무효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취지의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옳고, 거기에 행정행위의 당연무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용담(재판장) 유지담 배기원(주심) 이강국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인사교류, 동의 없이 다른 구청으로 발령낼 수 있을까?

다른 지자체로 인사교류 발령을 낼 때는 공무원 본인의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지방공무원#인사교류#본인 동의#전출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전출, 내 맘대로 안 된다고?!

지방공무원의 다른 지자체로의 전출은 본인의 동의가 필수적이며, 동의 없는 전출 명령은 위법하고, 이를 근거로 한 징계 처분 역시 위법하다.

#공무원#전출#동의#위법

민사판례

부당전보와 부당징계, 그리고 임금청구에 대한 법원의 판단

회사가 노조 간부를 정당한 이유 없이 전보하거나 징계할 수 없으며, 노조 간부는 부당한 인사 조치에 대해 노동위원회 구제 절차 외에도 민사소송을 통해 권리를 구제받을 수 있다.

#부당전보#징계#노조간부#권리구제

일반행정판례

노조 동의 없이 한 인사발령, 무효일까요?

회사가 노조 임원 인사를 할 때 단체협약에 사전 합의 조항이 있다면, 합의 없이 진행한 인사는 원칙적으로 무효입니다. 다만, 노조가 합의권을 남용하거나 포기한 경우는 예외입니다. 이 판례에서는 회사가 단체협약을 잘못 해석하여 사전 합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경우, 노조가 합의권을 남용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결했습니다.

#노조 임원 인사#단체협약#사전합의#합의권 남용

일반행정판례

시·군·구 5급 이상 공무원 직권면직, 시·도 인사위원회 의견 들어야 할까?

시·군·구의 5급 이상 공무원을 직권면직할 때 시·도 인사위원회의 의견을 들어야 한다는 규정은 유효하며, 이를 거치지 않은 면직 처분은 위법하다.

#직권면직#시도 인사위원회#의견청취#5급 공무원

상담사례

회사 맘대로 전보? 내 권리는 어떻게 되나요? 😩

일방적인 전보 발령이라도 회사의 업무상 필요성과 근로자의 불이익을 비교하여 권리남용 여부를 판단해야 하므로, 협의 부재 및 과도한 불이익 발생 시 무효가 될 수 있다.

#전보#인사권#권리남용#업무상 필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