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당이득금

사건번호:

2005다12544

선고일자:

200505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구(區)가 특별시세인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받은 경우, 위 취득세 등의 귀속주체(=특별시) [2] 구(區)가 특별시세인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받은 경우, 취득세 등의 신고행위가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하더라도 위 취득세 등의 귀속주체는 특별시이므로 구(區)를 상대로 부당이득의 반환청구를 할 수 없다고 한 원심의 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지방세법(2000. 12. 29. 법률 제63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2항 , 제4조 , 제6조 제1항 제1호 (가)목 , (나)목 , 제53조 / [2] 민법 제741조 , 행정소송법 제19조 , 구 지방세법(2000. 12. 29. 법률 제63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조 제2항 , 제4조 , 제6조 제1항 제1호 (가)목 , (나)목 , 제53조 , 제120조 , 제150조의2

참조판례

[1][2] 대법원 1997. 11. 11. 선고 97다8427 판결(공1997하, 3758) /[1] 대법원 2000. 9. 8. 선고 99두2765 판결(공2000하, 2145)

판례내용

【원고,상고인】 고산공영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신촌 담당변호사 한기찬) 【피고,피상고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소송대리인 변호사 전병목)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1. 13. 선고 2004나48074 판결 【주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구 지방세법(2000. 12. 29. 법률 제631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 제1항 제1호 (가)목과 (나)목, 제1조 제2항, 제4조, 제53조 등의 규정에 의하면, 취득세와 등록세는 특별시세이므로 구(區)가 특별시세인 취득세 등을 신고납부받아 특별시에 납입하는 것은 특별시 사무의 처리에 불과하여 구가 취득세 등을 납부받는다고 하더라도 이로 인한 취득세 등의 귀속주체는 특별시라고 할 것이다 ( 대법원 2000. 9. 8. 선고 99두2765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원고가 판시 취득세와 등록세를 신고한 행위가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있는 것으로서 무효라고 하더라도 구(區)인 피고가 위 취득세 등을 이득한 주체가 아닌 이상에는 피고를 상대로 그 반환을 구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지방세의 귀속주체 또는 부당이득의 발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또한, 상고이유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은 사안이 다른 이 사건에서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아니한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이용우 이규홍(주심) 박재윤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취득세와 농어촌특별세, 누구에게 내야 할까?

취득세와 농어촌특별세 납부와 관련하여 세금을 징수하는 구청을 상대로 납세의무가 없다는 소송을 냈을 때, 구청은 소송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취득세는 특별시에, 농어촌특별세는 국가에 귀속되기 때문에, 소송은 각각 특별시와 국가를 상대로 해야 합니다.

#취득세#농어촌특별세#납세의무#피고적격

민사판례

잘못 낸 취득세, 돌려받을 수 있을까? - 신고납세와 부당이득

무효인 조례에 따라 취득세를 납부했더라도, 자진 신고·납부한 경우에는 그 신고 행위 자체에 중대하고 명백한 하자가 없다면 부당이득으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무효인 조례#취득세#부당이득#자진신고납부

민사판례

취득세 이중납부, 돌려받을 수 있을까?

무상으로 부동산을 취득했음에도 유상취득으로 오인하여 더 많은 취득세와 등록세를 납부한 경우, 초과 납부한 세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무상취득#유상취득#취득세#등록세

민사판례

취득세 잘못 신고했는데 돌려받을 수 있을까? - 계산 착오로 인한 과다 납부 사례

부동산 취득세를 실제보다 많이 냈더라도 단순 계산 실수로 착오 납부한 경우, 바로잡지 않고 오랜 시간이 지났다면 돌려받기 어려울 수 있다.

#취득세#과다납부#계산착오#환급

민사판례

주택조합 취득세, 누가 내야 할까? - 납세의무자와 신고행위의 하자

주택조합이 조합원 아파트에 대해 취득세를 납부한 후 부당이득 반환을 청구했지만, 대법원은 조합의 착오에 의한 납부였더라도 그 착오가 명백하지 않아 부당이득이 아니라고 판결했습니다.

#주택조합#취득세#부당이득#착오납부

세무판례

부동산 되돌려 받았는데 취득세 내야 할까요?

부동산을 팔았다가 합의 하에 계약을 취소하고 소유권을 되찾은 경우, 이는 새로운 취득으로 보지 않아 취득세를 내지 않아도 된다.

#취득세#합의해제#소유권 회복#과세대상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