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치금

사건번호:

2005다32913

선고일자:

200610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예금자가 예금증서 대신 담보물건보관증을 교부받은 경우, 예금계약의 성립 여부(소극) [2] 민법 제766조에 정한 ‘손해 및 가해를 안 날’의 의미와 이에 관한 증명책임의 부담자(=시효의 이익을 주장하는 자)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532조, 제702조 / [2] 민법 제766조 제1항

참조판례

[2] 대법원 1977. 6. 7. 선고 76다2008 판결(공1977, 10113), 대법원 2002. 6. 28. 선고 2000다22249 판결(공2002하, 1777), 대법원 2005. 5. 12. 선고 2005다8538 판결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주식회사 하나은행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희대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5. 11. 선고 2003나64857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가 부담한다. 【이 유】원고와 피고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1. 정기예금계약의 성립 여부 및 그 성립을 전제로 하는 각 상고이유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일반적으로 예금계약은 예금자가 예금의 의사를 표시하면서 금융기관에 금전을 제공하고 금융기관이 그 의사에 따라 그 금전을 받아서 확인을 하면 그로써 예금계약이 성립되고, 예금증서는 예금계약서의 구실을 하는 것이어서 예금증서 대신 담보물건보관증을 교부받은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예금계약의 성립을 인정하기 어렵다고 전제하고,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피고은행 직원들이 1994. 2. 3. 원고로부터 합계 5억 원의 자기앞수표를 수령하고서도 특별한 사정 없이 정기예금증서나 예금통장 등을 교부하지 아니하고 담보물건보관증을 작성해 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와 피고 사이에 위 5억 원에 관하여 정기예금계약이 성립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다. 관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각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 위반으로 인한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고, 정기계약이 성립되었음을 전제로 하는 각 나머지 상고이유의 주장은 나아가 살펴 볼 필요없이 이유없다. 2. 불법행위로 인한 단기소멸시효의 완성 여부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 소멸시효를 규정하고 있는 민법 제766조에서 말하는 “손해”란 위법한 행위로 인한 손해발생의 사실을, 그리고 “가해자”란 손해배상청구의 상대방으로 될 자를 의미하고, 또한 “안 날”이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위 손해 및 가해자를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으로 인식하는 것을 뜻하며, 권리자인 피해자의 위와 같은 주관적 용태, 즉 손해를 안 시기는 시효의 이익을 주장하는 자가 입증할 책임이 있다 ( 대법원 1977. 6. 7. 선고 76다2008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고가 2003. 8. 20.자 준비서면을 통하여 피고에 대하여 사용자책임을 주장하기 3년 전의 시점에서 그 손해 및 가해자를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으로 알았다고 단정할 만한 자료는 찾아 볼 수 없고, 다만 원고가 1994. 2. 3. 정기예금의 의사로 합계 5억 원의 자기앞수표를 피고 은행의 직원에게 맡겼는데 피고은행의 직원은 정기예금증서나 예금통장 대신에 담보물건보관증을 작성·교부한 사실, 그 후 1995. 2.경 원고가 위 5억 원의 예금반환을 청구하였으나 피고 은행 직원들은 위와 같이 원고로부터 합계 5억 원의 자기앞수표를 교부받은 사실 그 자체를 부인하였던 관계로 원고로서는 그 자기앞수표의 행방을 알 수 없었던 사실, 그런데 2002. 10. 2. 이 사건 소가 제기된 후 피고 은행이 주식회사 신일건업에 대한 대출관련 서류를 제1심 법원에 제출한 사실, 원고는 그 서류들을 통하여 비로소 위 합계 5억 원의 자기앞수표가 피고 은행의 위 신일건업에 대한 대출금의 일부로 지출되었다고 짐작하고, 위 2003. 8. 20.자 준비서면에서 사용자로서의 손해배상책임을 주장하기에 이른 사실 등을 인정할 수 있을 뿐이고, 사실관계가 이와 같다면 원고는 위 2003. 8. 20.자 준비서면을 제출한 시점에서 손해 및 가해자를 현실적이고도 구체적으로 인식한 것으로 봄이 상당하다. 원심판결의 이유 설시에 적절치 아니한 점이 있기는 하지만, 피고의 소멸시효 완성의 항변을 배척한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하다. 이 점에 관한 상고이유의 주장은 받아들일 수 없다. 3. 과실상계에 관한 상고이유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 사건에서 과실상계의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바( 대법원 1999. 8. 20. 선고 97다17546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이 원고의 과실비율을 30%로 본 것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사실오인이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는 모두 이유없어 이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예금주도, 통장도 없는 사람이 예금을 찾아갈 수 있을까?

예금계약을 맺도록 위임받은 사람이 마음껏 예금을 찾아 쓰거나 담보로 대출받을 수는 없으며, 금융기관은 예금을 지급할 때 본인 확인을 제대로 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게을리하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예금인출#대리권#금융기관 책임#본인확인

민사판례

은행에 돈 넣으면 바로 예금 계약 성립? 🤔

은행 직원이 고객의 돈을 횡령하더라도, 고객이 예금할 의사로 돈을 제공하고 은행이 이를 받았다면 예금계약은 유효하게 성립합니다.

#횡령#예금계약#성립#은행

민사판례

내 돈인데 왜 못 찾아? 은행에 돈 맡겼다가 분쟁에 휘말린 사연

다른 사람 이름으로 은행에 돈을 넣어도, 일단 통장에 적힌 이름의 사람이 예금주로 간주됩니다. 은행은 예금주와 돈을 넣은 사람 사이의 분쟁에 휘말리지 않기 위해 이러한 원칙을 따릅니다.

#예금명의자#예금주#금융실명제#대법원

형사판례

내 돈인데 왜 못 찾아? 예금주가 누구냐는 문제!

다른 사람 이름으로 예금했더라도, 특별한 합의가 없었다면 명의자가 예금주로 인정된다는 판결입니다. 단순히 예금한 사람만 인출하게 해달라는 요청만으로는 예금주가 바뀌지 않습니다.

#타인명의예금#예금주#실명확인#인출권한

민사판례

계약금 냈다고 꼭 현금으로 줘야 할까요? 현금보관증과 위약금

부동산 매매 계약시, 계약금을 실제로 주고받지 않고 현금보관증만 써줬더라도, 계약을 어기면 위약금을 물어줘야 한다.

#계약금#현금보관증#위약금#부동산 매매

민사판례

은행의 예금 지급 책임, 어디까지일까?

은행은 예금 지급 시 예금주가 맞는지 꼼꼼하게 확인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제대로 확인하지 않아 다른 사람에게 예금을 잘못 지급하면 책임을 져야 합니다.

#은행#인감 확인 의무#예금 지급 책임#주의 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