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부과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5604

선고일자:

2007111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세무

사건종류코드:

400108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조세부과처분 취소소송에서 과세요건사실에 관한 증명책임의 소재(=과세권자)와 증명의 정도 [2]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이 제3자를 위하여 연대보증채무를 부담하고 있거나 물상보증인으로서의 책임을 지고 있는 경우, 상속재산가액에서 그 채무금액을 공제할 수 있는지 여부의 판단 기준과 증명책임의 소재(=납세의무자)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26조[증명책임] / [2] 구 상속세 및 증여세법(1998. 12. 28. 법률 제558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4조 제1항 제3호, 행정소송법 제26조[증명책임]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11. 13. 선고 2002두6392 판결(공2003상, 98), 대법원 2004. 4. 27. 선고 2003두14284 판결(공2004상, 919), 대법원 2007. 2. 22. 선고 2006두6604 판결 / [2] 대법원 1996. 4. 12. 선고 95누10976 판결(공1996상, 1614), 대법원 2004. 9. 24. 선고 2003두9886 판결(공2004하, 1768)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구로세무서장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5. 11. 선고 2004누504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선정당사자)가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조세부과처분 취소소송에 있어서 과세요건사실에 관한 입증책임은 과세권자에게 있다 할 것이나, 구체적인 소송과정에서 경험칙에 비추어 과세요건 사실이 추정되는 사실이 밝혀지면 상대방이 문제로 된 당해사실이 경험칙 적용의 대상 적격이 되지 못하는 사정을 입증하지 않는 한, 당해 과세처분이 과세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위법한 처분이라고 단정할 수 없다( 대법원 2007. 2. 22. 선고 2006두6604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증거를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상속인 소외 1(이하 ‘망인’이라 한다) 명의의 이 사건 예금계좌가 개설된 한일은행 인천지점은 원고(선정당사자) 원고(이하 ‘원고’라고만 한다)이 상무이사인 소외 2 주식회사의 소재지와 가까운 반면 이 사건 토지에 관한 매매계약 체결 당시 77세의 고령이던 망인의 주소지와는 떨어져 있는 점, 이 사건 예금계좌가 이 사건 토지에 대한 계약금 지급 당일 개설되어 망인 사망까지 매매대금 아닌 돈은 입금되지 않았으며, 그 입금액의 대부분을 원고가 소외 2 주식회사의 계좌에 입금하거나 수표로 인출한 후 배서하여 사용하였고, 그 거래장소도 대부분 한일은행 인천지점이었던 점, 원고는 위 소외 2 주식회사의 계좌로 입금된 돈은 망인이 소외 2 주식회사에 대여한 것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아무런 관련 자료도 제출하지 않는 점, 망인은 과거 잠시 소외 2 주식회사의 감사로 재직하였을 뿐 소외 2 주식회사에 입금할 사정이 있다고 볼 수 없는 반면 원고는 소외 2 주식회사의 상무이사로 주식도 보유하고 있어 입금할 충분한 이유가 있었다고 보이는 점, 이 사건 매매계약의 체결 및 대금의 수령을 원고가 사실상 주도한 점 등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예금계좌의 실제 소유자는 원고이고, 원고는 망인으로부터 이 사건 매매대금 중 위 예금계좌에 입금된 715,924,630원과 위 예금계좌에 입금되지 않은 채 직접 원고의 다른 계좌에 입금되거나 원고가 배서하여 사용한 수표금액 390,000,000원의 합계 1,105,924,630원을 증여받았다고 판단하였는바,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입증책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원심은, 망인이 소외 2 주식회사에 대하여 112,500,000원을 대여하였고 위 금원은 그 용도가 객관적으로 명백하므로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제외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그 판시와 같은 입증부족을 이유로 배척하면서, 설령 위 대여사실이 인정된다 하더라도 소외 2 주식회사가 망인의 사망당시 변제불능의 상태에 있었다고 볼 수 없는 이상 위 대여금채권은 상속재산으로서 상속세 과세가액에 포함되는 것이라고 판단하였는바, 관련규정과 관련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등의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3.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상속재산 가액에서 공제될 피상속인의 채무는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이 종국적으로 부담하여 이행하여야 할 것이 확실하다고 인정되는 채무를 뜻하는 것이므로, 상속개시 당시 피상속인이 제3자를 위하여 연대보증채무를 부담하고 있거나 물상보증인으로서의 책임을 지고 있는 경우에 주채무자가 변제불능의 무자력 상태에 있기 때문에 피상속인이 그 채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안될 뿐만 아니라 주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더라도 변제를 받을 가능성이 없다고 인정되는 때에는 그 채무금액을 상속재산 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다고 할 것인바, 이러한 경우에 상속개시 당시에 주된 채무자가 변제불능의 상태에 있는가 아닌가는 일반적으로 주된 채무자가 파산, 화의, 회사정리 혹은 강제집행 등의 절차개시를 받거나 사업폐쇄, 행방불명, 형의 집행 등에 의하여 채무초과의 상태가 상당 기간 계속되면서 달리 융자를 받을 가능성도 없고, 재기의 방도도 서 있지 않는 등의 사정에 의하여 사실상 채권을 회수할 수 없는 상황에 있는 것이 객관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가 아닌가로 결정하여야 할 것이고, 한편 이와 같은 사유는 상속세 과세가액을 결정하는 데 예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별한 사유이므로 그와 같은 사유의 존재에 대한 주장·입증책임은 상속세 과세가액을 다투는 납세의무자 측에 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다 할 것이다( 대법원 1996. 4. 12. 선고 95누10976 판결, 대법원 2004. 9. 24. 선고 2003두9886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용증거를 종합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소외 2 주식회사가 1994. 8. 19.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대출받음에 있어 망인이 연대보증한 398,106,064원 및 그 지연손해금 채무는 그 후 소외 2 주식회사가 이를 변제하지 아니한 채 부도가 났으므로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원심 판시 증거만으로는 망인의 사망 당시 위 연대보증채무의 주채무자인 소외 2 주식회사가 변제불능의 상태에 있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위 주장을 배척하였다. 관련증거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나 보증채무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4. 상고이유 제4점에 대하여 원심은, 망인이 사망 당시 소외 3 외 2인에 대하여 156,000,000원의 차용금채무를 부담하고 있었으므로 위 채무도 상속세 과세가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는 원고의 주장에 대하여, 원고의 주장에 부합하는 그 판시 증거를 배척한 다음 그 외의 판시 증거에 의하여 인정되는 사실만으로는 망인이 실제 위 채무를 부담하였다고 단정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위 주장을 배척하였는바, 관련증거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배 등의 위법이 없다. 5.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현철(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배우자와 공동사업 빚도 모두 상속재산에서 공제해야 할까?

돌아가신 사람(피상속인)이 빌린 돈(채무)이 상속받는 사람(상속인)과 함께 쓴 돈이더라도, 채권자에게는 피상속인 혼자 갚아야 할 돈(단독채무)이면 상속세 계산할 때 상속재산에서 빼줘야 한다.

#상속세#공제#채무#단독채무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빚도 꼼꼼히 따져보세요! (보증채무 공제)

돌아가신 분이 다른 사람의 빚에 대해 보증을 섰지만, 실제로는 본인 빚이나 마찬가지인 경우, 상속받는 재산에서 그 빚을 빼고 상속세를 계산해야 한다.

#상속세#보증채무#실질적 채무자#상속재산 공제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보증도 빚으로 인정될까?

돈을 빌려준 사람이 죽었을 때, 그 사람이 한도를 정해놓고 보증을 서 준 빚이나 연대보증을 선 빚도 상속세 계산할 때 빚으로 인정해 빼줄 수 있다는 판결입니다. 단, 돈을 빌린 사람이 빚을 갚을 능력이 없어야 합니다.

#상속세#공제#보증채무#연대보증

세무판례

돌아가신 아버지의 빚, 상속세에서 뺄 수 있을까? - 연대보증과 상속세 경정청구

고인이 제3자의 빚에 대한 연대보증을 섰지만 상속 당시에는 아직 갚아야 할 시기가 오지 않았고, 빚을 진 사람도 갚을 능력이 있었던 상황에서 상속세가 부과되었습니다. 그런데 이후 빚을 진 사람이 파산하여 갚을 능력을 잃게 되어, 결국 상속인들이 빚을 갚게 되었을 경우, 상속세를 줄여달라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상속세#연대보증#경정청구#후발적 경정사유

세무판례

상속세 계산, 돌아가신 부모님의 빚도 재산?!

피상속인 명의로 된 대출이 있고, 피상속인 소유 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었다면, 상속인이 실제로 갚았더라도 상속재산에서 채무액을 공제해야 한다.

#상속재산#피상속인 채무#공제#대출

세무판례

돌아가신 부모님 재산, 상속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상속재산 처분과 채무 부담에 대한 법원의 판단

상속 시작 2년 이내에 돌아가신 분이 재산을 처분하거나 빚을 졌을 때, 그 돈의 사용처가 명확하지 않으면 상속세 계산에 포함될 수 있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부대상고(상대방의 상고에 대응하여 제기하는 상고)는 정해진 기한 내에 해야 유효합니다.

#상속세#재산 처분#용도 입증#부대상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