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사건번호:

2005두9583

선고일자:

20070125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95조 제1항 제1호에서 말하는 ‘토지·건축물 또는 그 토지에 정착된 물건’의 해석상 ‘건축물’이 ‘그 토지에 정착된 물건’에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95조 제1항 제1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중앙토지수용위원회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5. 7. 15. 선고 2004누1679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이 부담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이하 ‘국토계획법’이라 한다)은 제95조 제1항에서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는 도시계획시설사업에 필요한 다음 각 호의 물건 또는 권리를 수용 또는 사용할 수 있다고 하면서, 제1호에서 ‘토지·건축물 또는 그 토지에 정착된 물건’이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건축물을 토지와는 독립된 별개의 부동산으로 인정하여, 토지의 부합물임을 원칙으로 하는 그 외의 토지정착물과 그 법적 취급을 달리하는 우리 법제하에서는 위 규정상의 ‘건축물’을 ‘그 토지에 정착된 물건’의 한 예시로 보아 그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원심이 이와 같은 취지에서, 위 규정상의 건축물이 ‘그 토지의 정착물’에 포함됨을 전제로 건축물에 대한 수용은 오로지 토지와 함께 수용되거나 혹은 토지와 함께 그 건축물 자체가 공익사업에 필요로 하는 경우에 한하여 허용된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국토계획법 및 공익사업을 위한 토지 등의 취득 및 보상에 관한 법률상의 수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면, 이 사건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인 서울특별시장에 의한 도시계획시설결정 고시(서울시고시 제2001-109호) 및 도시계획시설 조성계획변경결정 고시(서울시고시 제2001-169호)가 있은 이후에, 서울특별시 종로구청장이 이 사건 도시계획시설사업에 대한 실시계획을 작성, 변경하고 이를 각 고시한 것은 당시 시행되던 도시계획법(2002. 2. 4. 법률 제6655호로 폐지되기 전의 것) 제98조 제2항, 서울특별시 도시계획조례(2003. 7. 25. 조례 제4131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68조 제1항 [별표 3]에 의해 서울특별시장으로부터 실시계획 작성, 인가 및 고시에 관한 사무’를 위임받아 행한 것임을 알 수 있으므로, 이 사건 도시계획시설사업에 대한 실시계획 고시는 권한 있는 관할청에 의해 적법하게 이루어진 것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위 법률 제61조 제2항에 의하면, 서울특별시장이 사업시행자인 이 사건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실시계획에 대해서는 별도의 인가절차가 필요 없음은 명백하다. 원심의 설시에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나, 이 사건 도시계획시설사업의 실시계획에 관하여 권한 있는 관할청에 의한 적법한 인가·고시가 없었다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결론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도시계획시설사업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으로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3. 결 론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이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가설건축물, 법정지상권 인정될까?

임시로 설치한 가설건축물은 법정지상권이 성립하지 않는다. 법정지상권은 토지와 건물 소유자가 같다가 경매 등으로 소유자가 달라졌을 때, 건물 소유자를 보호하기 위해 인정되는 권리인데, 가설건축물은 건물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이다.

#가설건축물#법정지상권#성립요건#건물

형사판례

컨테이너 하우스, 건축물일까? 아니면 그냥 물건일까?

땅에 설치되어 쉽게 이동할 수 없는 콘테이너 하우스는 건축물로 인정되어 건축허가를 받아야 한다.

#콘테이너 하우스#건축물#건축허가#건축법

민사판례

건물과 땅 주인이 다를 때, 건물은 어떻게 되나요? - 법정지상권 이야기

땅과 그 위의 건물 주인이 같았다가 매매 등으로 달라진 경우, 건물 철거 약정이 없으면 건물 주인이 땅을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권리(관습법상 법정지상권)가 인정된다는 기존 대법원 판례를 유지한다.

#관습법상 법정지상권#효력 유지#대법원 판례#건물 철거 약정

민사판례

건물 소유와 땅 점유, 뗄 수 없는 관계?!

건물을 소유하면 그 건물이 서 있는 땅(부지)도 점유한 것으로 본다. 실제로 그 땅을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마찬가지다.

#건물 소유#부지 점유#점유 추정#시효취득

상담사례

땅 팔고 나서 건물 지으면 법정지상권 생길까요? 🤔

토지 매매 계약 후 매도인이 매수인 동의 없이 건물을 지으면 법정지상권이 인정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법정지상권#토지 매매#건축#분양권

일반행정판례

불법 건축물, 무조건 보상 받을 수 있을까?

허가 없이 지어진 불법 건축물이라도 일반적으로는 수용 대상이지만, 법을 심각하게 위반했거나 합법화 가능성이 없고, 사회적으로 거래 대상이 될 수 없는 경우에는 예외적으로 보상을 받을 수 없다.

#불법건축물#수용보상#예외#위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