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해행위취소

사건번호:

2006다46483

선고일자:

200611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있어서 제척기간의 기산점인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의 의미 [2] 채권자가 법무사에게 채무자의 부동산에 관한 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의뢰하여 법무사가 위 부동산에 관한 등기부등본, 토지대장, 개별공시지가확인서, 집합건축물대장 등을 발급받은 후 사해행위취소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한 경우, 채권자는 위 부동산 등기부등본 등을 발급받은 시점 이전에 이미 채무자의 부동산 증여계약이 채권자인 자신을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할 뿐 아니라 채무자에게 사해의 의사가 있었음을 알고 있었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제2항 / [2] 민법 제406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2. 11. 26. 선고 2001다11239 판결(공2003상, 182), 대법원 2003. 7. 11. 선고 2003다19435 판결(공2003하, 1715),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3다40286 판결(공2004상, 123)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예금보험공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천지인 담당변호사 유철균외 2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6. 6. 16. 선고 2005나16126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본다. 1. 원심의 판단 원심은, 원고가 소외인과 피고 사이의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증여계약이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그 취소와 원상회복을 구하는 이 사건 소는 원고가 그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이 경과한 2003. 5. 28.에야 제기한 것으로 이미 제척기간이 경과하여 부적법하다는 피고의 본안전 항변에 대하여, 그 판시 증거에 의하면 원고가 이 사건 부동산의 등기부를 열람한 것이 2002. 5. 14.임이 인정되므로 원고가 적어도 2002. 5. 14.경에는 소외인의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처분행위, 즉 처인 피고에 대한 이 사건 부동산의 증여를 알았다고 할 수 있지만, 한편 갑 제5호증의 기재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원고가 2002. 6. 7.에야 사해행위를 이유로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하여 처분금지가처분결정을 받은 점에 비추어 보면, 위 인정 사실만으로는 원고가 2002. 5. 14.경 또는 그 이전에 피고에 대한 이 사건 부동산의 증여가 원고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한다는 사실을 알았다고 단정할 수 없고, 달리 원고가 이 사건 소를 제기하기 1년 이전에 이를 알았음을 인정할 증거가 없다는 이유로 피고의 본안전 항변을 배척하였다. 2. 대법원의 판단 가. 민법 제406조 제2항에 의하면 사해행위취소의 소는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로부터 1년, 법률행위 있은 날로부터 5년 내에 제기하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에서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이라 함은 단순히 채무자가 재산의 처분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그 법률행위가 채권자를 해하는 행위라는 것, 즉 그에 의하여 채권의 공동담보에 부족이 생기거나 이미 부족상태에 있는 공동담보가 한층 더 부족하게 되어 채권을 완전하게 만족시킬 수 없게 되었으며 나아가 채무자에게 사해의 의사가 있었다는 사실까지 알 것을 요함은 원심이 설시한 바와 같다 ( 대법원 2003. 12. 12. 선고 2003다40286 판결 등 참조). 나. 그러나 원심의 이 사건에 대한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기록에 의하면, 원고가 법무사에게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의뢰하여 법무사가 2002. 5. 14.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등기부등본, 토지대장, 개별공시지가확인서, 집합건축물대장 등을 발급받아 2002. 6. 7. 부산지방법원 동부지원에 사해행위취소로 인한 소유권이전등기말소청구권을 피보전권리로 하여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하였음을 알 수 있는바, 사정이 위와 같다면 원고는 2002. 5. 14. 이전에 소외인과 피고 사이의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증여계약이 채권자인 원고를 해하는 사해행위에 해당할 뿐 아니라 소외인에게 사해의 의사가 있었음을 알고 있었다고 봄이 상당하고, 원고로부터 의뢰를 받은 법무사가 2002. 6. 7.에야 이 사건 부동산에 관한 처분금지가처분신청을 하였다고 하여 달리 볼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다른 특별한 사정에 관하여 심리하여 보거나 이를 고려하지 아니한 채 이 사건 소가 제척기간을 경과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러한 원심판결에는 필요한 심리를 다하지 아니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므로,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승태(재판장) 고현철 김지형 전수안(주심)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빼돌렸다고? 알았을 때부터 1년 안에 소송해야 한다!

빚을 갚지 못할 것을 알면서 재산을 다른 사람에게 넘기는 것을 사해행위라고 합니다. 채권자는 이런 행위를 취소하는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데, 일정 기간 안에 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그 기간을 계산하는 시작점에 대한 판결입니다. 단순히 재산이 넘어간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사해행위라는 사실과 채무자의 악의까지 알아야 기간 계산이 시작된다는 내용입니다.

#사해행위#취소소송#제척기간#대물변제

민사판례

돈 안 갚는 채무자, 재산 빼돌렸다면? 사해행위취소소송! 하지만 기간 주의!

빚을 못 받을 것 같아 채무자 재산을 가압류하는 과정에서 채무자가 자기 재산을 빼돌렸다는 사실을 알았다면, 그때부터 채권자취소권 행사 제척기간(1년)이 시작된다는 판결입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사해행위

민사판례

빚 갚으려는 자에게 돈 빌려준 사람이 딴 사람에게 먼저 갚는 것을 막을 수 있을까? - 사해행위 취소소송과 제척기간

돈을 빌려준 사람(채권자)이 돈을 빌려간 사람(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사해행위)를 취소하려면 일정 기간 안에 소송을 제기해야 하는데, 그 기간 계산의 시작점(제척기간 기산점)은 언제일까요? 이 판례는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 상태가 좋지 않다는 것을 알고 가압류를 하는 과정에서 사해행위를 알게 된 경우, 늦어도 가압류 시점에는 제척기간이 시작된다고 판단했습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기산점#가압류

민사판례

빚 갚아야 하는데 재산 빼돌렸다면? 채권자취소권 행사 기간은 언제부터?

돈을 빌려준 채권자가 채무자가 재산을 빼돌려 돈을 못 받게 될 위험에 처했을 때, 채무자의 재산 빼돌리기를 취소해달라고 소송할 수 있는 권리(채권자취소권)는 1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때 1년의 시작점은 단순히 재산 빼돌리기 사실을 안 날이 아니라, 빼돌리기로 인해 돈을 못 받게 될 것을 알고, 채무자가 고의로 그랬다는 사실까지 알게 된 날입니다.

#채권자취소권#행사시점#1년#사해행위

민사판례

돈 안 갚는 채무자, 재산 빼돌리다 걸린 사연!

빚진 사람이 돈을 갚지 않기 위해 고의로 재산을 빼돌렸을 때, 채권자는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권리는 아무 때나 행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사해행위(재산 빼돌리기)를 안 날로부터 1년, 또는 사해행위가 있었던 날로부터 5년 안에 행사해야 합니다. 이 판례는 '사해행위를 안 날'이 정확히 언제인지, 그리고 채권자가 채무자의 재산에 가압류를 할 때 이미 사해행위를 알고 있었다고 볼 수 있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제시합니다.

#채권자취소권#제척기간#사해행위#인지시점

민사판례

빚 갚을 재산 빼돌리면 안돼요! 사해행위 취소와 원상회복 청구에 대한 이야기

빚진 사람이 재산을 빼돌려 빚을 갚지 못하게 되는 것을 막기 위한 '사해행위 취소 소송'에서, '취소' 청구와 '빼돌린 재산 돌려받기(원상회복)' 청구는 별도로 진행할 수 있고, 취소 청구만 기간 내에 했다면 원상회복 청구는 나중에 해도 된다는 판결.

#사해행위 취소#원상회복#별도 청구#제척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