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미성년자의제강간·사체은닉

사건번호:

2006도354

선고일자:

200603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사형의 선고가 허용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41조, 제51조

참조판례

대법원 2003. 6. 13. 선고 2003도924 판결(공2003하, 1566), 대법원 2004. 9. 3. 선고 2004도3538 판결, 대법원 2005. 8. 25. 선고 2005도4178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전병서 【원심판결】 대전고법 2005. 12. 23. 선고 2005노38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1. 심신장애 주장에 대하여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피고인이 이 사건 각 범행 당시 술을 마셔 사물을 변별할 능력이나 의사를 결정할 능력이 미약하거나 없는 상태에 있었다고는 보이지 아니하므로, 피고인의 심신장애 주장은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2. 양형부당 주장에 대하여 사형은 인간의 생명 자체를 영원히 박탈하는 냉엄한 궁극의 형벌로서 문명국가의 이성적인 사법제도가 상정할 수 있는 극히 예외적인 형벌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사형의 선고는 범행에 대한 책임의 정도와 형벌의 목적에 비추어 그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누구라도 인정할 만한 객관적인 사정이 분명히 있는 경우에만 허용되어야 하고, 따라서 사형을 선고함에 있어서는 형법 제51조가 규정한 사항을 중심으로 한 범인의 연령, 직업과 경력, 성행, 지능, 교육정도, 성장과정, 가족관계, 전과의 유무, 피해자와의 관계, 범행의 동기, 사전계획의 유무, 준비의 정도, 수단과 방법, 잔인하고 포악한 정도, 결과의 중대성, 피해자의 수와 피해감정, 범행 후의 심정과 태도, 반성과 가책의 유무, 피해회복의 정도, 재범의 우려 등 양형의 조건이 되는 모든 사항을 철저히 심리하여 위와 같은 특별한 사정이 있음을 명확하게 밝힌 후 비로소 사형의 선택 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 ( 대법원 2005. 8. 25. 선고 2005도4178 판결 등 참조). 기록에 나타난 이 사건 범행의 내용과 피해의 정도, 범행의 동기와 수단, 범행 후의 정황, 피고인과 피해자들의 관계, 피고인의 연령과 환경, 성행 등 여러 양형 조건을 참작하면, 위에서 본 사형선고의 양형기준을 아무리 엄격히 적용하여 보아도 범행의 책임의 정도와 형벌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피고인에 대하여 사형을 선고한 제1심을 그대로 유지한 원심의 형량이 너무 무거워 현저히 부당한 것으로는 인정되지 아니하므로, 피고인의 양형부당의 상고이유는 이를 받아들이지 아니한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규홍(재판장) 박재윤 김영란(주심) 김황식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사형, 언제 선고될까요?

사형은 극히 예외적인 형벌로, 범행에 대한 책임의 정도와 형벌의 목적에 비추어 누구라도 정당하다고 인정할 수 있는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만 선고할 수 있다. 법원은 다양한 양형 조건을 철저히 심리하여 사형 선고의 정당성을 판단해야 한다.

#사형#양형기준#양형조건#정당성

형사판례

사형 선고, 그 엄중함에 대하여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른 피고인에게 사형을 선고했지만, 대법원은 사형 선고 전 피고인의 심리 상태 등에 대한 충분한 조사와 심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이유로 원심을 파기하고 다시 재판하도록 환송했습니다. 사형은 극히 예외적인 형벌이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판례입니다.

#사형#양형조사#파기환송#심리상태

형사판례

교도소 내 살인, 사형은 정당한가? - 양형 판단 기준 다시 생각하기

교도소 내에서 수감자 간 살인 사건이 발생했을 때, 사형 선고는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피고인의 나이, 범행 당시 상황, 고의성 여부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

#교도소 살인#사형 선고#양형 기준#나이

형사판례

무기징역형, 너무 무거운 건 아닐까? - 형량 결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

이 판례는 살인, 강간살인과 같은 중범죄라도 법원이 형을 정할 때 (양형) 여러 가지 사정을 충분히 고려해야 하고, 특히 무기징역형을 선고할 경우에는 더욱 신중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감형 사유가 있는데도 무기징역을 선고한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무기징역#양형#작량감경#심신미약

형사판례

사형, 언제까지나 최소한의 선택일까요? - 젊은 강도살인범의 사형 선고, 대법원에서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사례

21세 젊은 나이에 술에 취해 우발적으로 강도살인을 저지른 피고인에 대해 원심의 사형 판결을 파기하고 무기징역으로 감형한 판례입니다. 법원은 사형은 극히 예외적인 형벌이며, 여러 정상 참작 사유를 고려했을 때 사형 선고는 과중하다고 판단했습니다.

#강도살인#사형#무기징역#감형

형사판례

두 여아 살해범에게 사형 확정… 무엇이 쟁점이었을까?

어린 여자아이 두 명을 강제추행하고 살해한 후,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시신을 훼손하고 유기한 피고인에게 사형을 선고한 원심판결을 대법원이 확정한 사례.

#여아 살해#강제추행#사체손괴#유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