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위조·위조유가증권행사·사기

사건번호:

2006도7864

선고일자:

200706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상습범으로서 포괄일죄의 관계에 있는 여러 개의 범죄사실 중 일부에 대하여 유죄판결이 확정된 경우, 그 확정판결의 사실심판결 선고 전에 저질러진 나머지 범죄에 대하여 면소판결을 선고하기 위한 요건

판결요지

참조조문

형법 제37조, 제347조, 제351조, 형사소송법 제247조 제2항, 제326조 제1호

참조판례

대법원 2004. 9. 16. 선고 2001도3206 전원합의체 판결(공2004하, 1684), 대법원 2004. 9. 24. 선고 2004도3532 판결, 대법원 2005. 10. 28. 선고 2005도3963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용은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6. 10. 26. 선고 2006노2049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이후의 구금일수 중 판시 제1의 각 죄에 대한 본형 형기에서 원심판결에 의하여 본형에 산입되는 제1심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와 법정통산되는 제1심판결 선고 후 상고제기 전날까지의 구금일수를 뺀 나머지 일수를 판시 제1의 각 죄에 대한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확정판결을 받은 범죄사실과 그 확정판결의 사실심판결 선고 전에 저질러진 범죄사실이 상습범으로서 포괄일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그 전에 저질러진 범죄사실에까지 미치기 위하여는 그 확정판결에서 당해 피고인이 상습범으로 공소제기되어 처단되었어야 하고 상습범이 아닌 기본 구성요건의 범죄로 처단된 데에 그친 경우에는 설령 그 확정판결을 받은 범죄사실과 그 전에 저질러진 범죄사실을 종합하여 비로소 모두가 상습범으로서의 포괄적 일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하더라도 그 확정판결의 기판력이 그 사실심판결 선고 전에 저질러진 범죄사실에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대법원 2004. 9. 16. 선고 2001도3206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같은 취지에서 이 사건 사기죄의 범죄사실에 대하여 면소의 판결을 하지 아니한 원심의 판단은 옳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법리오해 등의 위법은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일부를 판시 제1의 각 죄에 대한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김용담 박일환 김능환(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습범과 형법 개정, 판결에 미치는 영향은?

이 판례는 상습범의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가 확정된 후, 나머지 범죄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요건과 형법 개정으로 인해 이전 판결을 파기한 사례를 보여줍니다. 즉, 모든 범죄 행위가 하나의 상습 범죄로 묶여 처벌받아야 하는데, 그 중 일부가 이미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나머지는 처벌할 수 없다는 원칙과 관련된 판례입니다. 또한, 형법 개정으로 형량 계산 방식이 바뀌면서 이전 판결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을 보여줍니다.

#상습범#면소#유죄 확정#형법 개정

형사판례

상습범죄와 일사부재리 - 기판력의 범위는 어디까지일까?

상습적으로 저지르는 범죄(상습범)의 경우, 이전에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 판결이 확정되었다면, 그 확정판결 이전에 저질러진 나머지 범죄에도 기판력(판결의 효력)이 미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제시한 판례입니다. 핵심은 이전 판결에서 상습범으로 처벌받았어야 기판력이 확장된다는 것입니다.

#상습범#기판력#포괄일죄#면소

형사판례

이미 처벌받은 사기, 또 처벌받을 수 있을까? - 상습사기와 포괄일죄

이전에 사기죄로 유죄 확정판결을 받은 사람이 그 판결 확정 *전*에 저지른 다른 사기 행위로 다시 기소되었을 때, 이전 판결의 효력이 이후 기소된 사건에도 미치는지 여부에 대한 판례입니다. 결론적으로, 이전 사기와 이후 사기가 상습사기로 볼 수 있다면 이전 판결의 효력이 미쳐서 이중처벌을 금지하는 면소판결을 받게 됩니다.

#사기죄#확정판결#기판력#상습사기

형사판례

상습범죄 일부 유죄 확정 시 나머지 범죄 처리와 공소권 남용에 대한 대법원 판결 해설

이 판례는 상습범의 일부 범죄에 대해 유죄가 확정된 경우, 나머지 범죄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있는 요건과 검사의 공소권 남용을 인정할 수 있는 경우에 대해 다룹니다. 이 사건에서는 피고인이 이전에 유죄 판결을 받은 범죄가 상습범으로 처벌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 기소된 사건에 대해 면소 판결을 내릴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검사의 공소 제기가 공소권 남용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유죄를 인정했습니다.

#상습범#면소#공소권 남용#유죄 확정

형사판례

상습적인 폭력, 여러 죄가 하나로 합쳐질 수 있다?

상습적으로 폭력, 협박, 공갈 등을 저지른 경우, 각각의 죄를 따로따로 처벌하는 것이 아니라, '상습폭력범죄'라는 하나의 죄로 묶어서 처벌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상습폭력#폭처법#하나의 죄#형량

형사판례

상습범죄 중간에 확정판결이 있으면 어떻게 될까요?

상습적으로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이 중간에 같은 종류의 범죄로 확정판결을 받았다면, 그 전후의 범행은 별개의 죄로 취급됩니다. 따라서 이전 범죄에 대한 재판에서 이후 범행을 추가할 수 없습니다.

#상습범#확정판결#별개의 죄#공소장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