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상해{인정된죄명:성폭력범죄의처벌및피해자보호등에관한법률위반(특수강도강간등)}·강제추행상해

사건번호:

2006도7882

선고일자:

200702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법정형의 종류와 범위에 관한 입법형성권의 범위 [2] 특수강도강간죄와 특수강도강제추행죄의 법정형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이 비례성의 원칙, 형벌의 체계 정당성, 평등의 원칙 등에 어긋나거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하는지 여부(소극) [3] 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는 법률상 당연히 통산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그 전부를 산입할 것인지의 여부가 판결 법원의 재량에 속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헌법 제10조, 제11조, 제37조 제2항 / [2]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 헌법 제11조, 제27조, 제37조 제2항 / [3] 형법 제5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6. 5. 12. 선고 2005도5428 판결, 헌법재판소 2001. 11. 29. 선고 2001헌가16 전원재판부 결정(헌공63, 1115), 헌법재판소 2006. 4. 27. 선고 2005헌가2 전원재판부 결정(헌공115, 613) / [3] 대법원 2005. 10. 14. 선고 2005도4758 판결(공2005하, 1826)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이소연외 4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6. 10. 26. 선고 2006노55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100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어떤 범죄를 어떻게 처벌할 것인가 하는 문제 즉 법정형의 종류와 범위의 선택은 그 범죄의 죄질과 보호법익에 대한 고려뿐만 아니라 우리의 역사와 문화, 입법 당시의 시대적 상황, 국민일반의 가치관 내지 법감정 그리고 범죄예방을 위한 형사정책적 측면 등 여러 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입법자가 결정할 사항으로서 광범위한 입법재량 내지 형성의 자유가 인정되어야 할 분야이다. 따라서 어느 범죄에 대한 법정형이 그 범죄의 죄질 및 이에 따른 행위자의 책임에 비하여 지나치게 가혹한 것이어서 현저히 형벌체계상의 균형을 잃고 있다거나 그 범죄에 대한 형벌 본래의 목적과 기능을 달성함에 있어 필요한 정도를 일탈하였다는 등 헌법상의 평등의 원칙 및 비례의 원칙 등에 명백히 위배되는 경우가 아닌 한, 쉽사리 헌법에 위반된다고 단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그리고 형법규정의 법정형만으로는 어떤 범죄행위를 예방하고 척결하기에 미흡하다는 입법정책적 고려에 따라 이를 가중처벌하기 위하여 특별형법법규를 제정한 경우에는 형법규정의 법정형만을 기준으로 하여 그 특별형법법규의 법정형의 과중 여부를 쉽사리 논단해서도 안 될 것이다( 헌법재판소 2001. 11. 29. 선고 2001헌가16 결정, 2006. 4. 27. 선고 2005헌가2 결정 등 참조). 이러한 법리 등에 비추어 살펴보면,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5조 제2항이 특수강도죄를 범한 자가 강간죄를 범한 경우와 강제추행죄를 범한 경우를 구별하지 않고 법정형을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고 하여도, 위 규정이 특수강도죄를 범하고 강간죄를 범한 자와 강제추행죄를 범한 자를 합리적 이유 없이 차별하여 형벌과 책임간의 비례성의 원칙, 형벌의 체계 정당성, 평등의 원칙 등에 어긋나거나 공정한 재판을 받을 권리를 침해한다고 할 수 없다. 2. 강제추행상해의 죄는 피해자의 고소가 없어도 공소를 제기할 수 있는 것이므로( 형법 제306조 참조), 제1심판결 선고 전에 피해자가 고소를 취하하였음에도 그 부분에 대하여 유죄의 선고를 한 제1심의 조치는 적법하다고 할 것이다. 3. 판결 선고 전의 구금일수는 법률상 당연히 통산할 경우가 아닌 이상 그 전부를 산입할 것인가 또는 그 일부만을 산입할 것인가의 여부는 판결 법원의 재량에 속하는 것이므로( 대법원 2005. 10. 14. 선고 2005도4758 판결 참조), 이에 따른 원심의 조치는 적법하고 이를 탓하는 상고이유는 이유 없다. 4. 피고인에게 징역 10년보다 가벼운 형이 선고된 이 사건에 있어서는 형의 양정이 부당하다는 사유는 적법한 상고이유가 되지 못한다. 5.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100일을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김황식 이홍훈(주심) 안대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특수강간치상죄, 살인죄보다 형량이 높아도 괜찮을까?

특수강간치상죄의 법정형(무기 또는 7년 이상의 징역)이 살인죄보다 높게 설정된 것이 헌법에 위반되는지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법원은 특수강간치상죄의 법정형이 살인죄보다 높더라도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결했습니다.

#특수강간치상죄#법정형#위헌성#살인죄

형사판례

강도살인, 사형 선고, 그리고 특수강도강간죄에 대한 대법원 판결 분석

이 판례는 강도살인죄에서 살인의 고의를 어떻게 판단하는지, 그리고 사형 선고는 어떤 경우에만 허용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피고인이 살인 의도가 없었다고 주장할 경우, 범행 당시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는 점과 사형 선고는 매우 신중해야 하며, 여러 양형 조건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또한 강간 후 강도 행위를 했을 경우, 특수강도강간죄가 아닌 강간죄와 강도죄의 경합으로 봐야 한다는 점도 명시합니다.

#강도살인죄#살인의 고의#미필적 고의#사형 선고

형사판례

흉기 든 강도가 강간까지? 특가법과 형법, 어떤 법을 적용해야 할까?

특수강도가 저지른 강간 범죄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가법)을 적용할 때, 형법상 특수강도죄보다 형량 하한이 낮더라도 특가법에 따른 낮은 형량 하한을 적용해야 한다.

#특수강도강간죄#특가법#형량 하한#특별법 우선 적용

형사판례

준강도 후 강제추행, 특수강도강제추행에 해당할까?

흉기 등을 사용하여 폭행·협박하고 추행하는 '특수강도강제추행죄'는 흉기 등을 사용하여 강도(또는 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이지, 폭행·협박으로 재물을 빼앗는 준강도(또는 준강도미수)를 저지른 사람이 저지르는 범죄는 아니다.

#준강도#특수강도강제추행죄#강제추행#무죄

형사판례

특정강력범죄 누범 가중처벌과 양형부당 상고에 대한 대법원 판단

특정강력범죄로 처벌받고 3년 안에 다시 특정강력범죄를 저지른 경우, 형벌을 가중하는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조항은 합헌이며, 형량이 10년 미만인 경우 양형부당을 이유로 상고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특정강력범죄#누범#가중처벌#합헌

형사판례

특수강도강간미수로 기소되었지만 특수강도죄로 처벌 가능?

강도강간을 하려다 미수에 그친 경우, 검사가 강도강간미수죄로 기소했더라도 법원은 공소장 변경 없이 특수강도죄로 처벌할 수 있다.

#특수강도강간미수#특수강도#공소장변경#형사소송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