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08다49714
선고일자:
201103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1] 한국철도공사 설립 당시 철도청 공무원의 신분에서 퇴직하여 한국철도공사 직원으로 임용된 사람의 종전 근로관계가 한국철도공사에 당연히 승계되는지 여부(적극) [2] 국가공무원이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받아 당연퇴직한 후 형법 제65조에 따라 형의 선고가 효력을 잃게 된 경우, 이미 발생한 당연퇴직의 효력에 영향이 있는지 여부(소극) [3] 甲이 철도청 공무원으로 근무하던 중 징역형의 집행유예 확정판결을 받고도 철도청 소속 공무원으로 사실상 계속 근무하다가 2005. 1. 1. 한국철도공사 설립과 함께 철도청 공무원 신분에서 퇴직하고 한국철도공사 직원으로 임용되어 근무해 온 사안에서, 甲은 위 집행유예 판결이 확정된 시점에 이미 철도청 공무원 신분을 상실하였으므로, 한국철도공사법 부칙(2003. 12. 31.) 제7조 제1항, 제2항에 의하여 한국철도공사 직원으로 신분이 전환될 수 없고, 따라서 甲이 철도청 공무원 신분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이루어진 한국철도공사의 2005. 1. 1.자 임용행위는 당연무효라고 한 사례
[1]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1조 제3항, 제25조 제1항, 한국철도공사법 부칙(2003. 12. 31.) 제1조, 제7조 제1항, 제2항, 제4항 / [2] 구 국가공무원법(2002. 12. 18. 법률 제678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33조 제1항 제4호, 제69조, 형법 제65조 / [3]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1조 제3항, 제25조 제1항, 한국철도공사법 부칙(2003. 12. 31.) 제1조, 제7조 제1항, 제2항, 제4항, 국가공무원법 제33조 제1항 제4호, 제69조
[1] 대법원 2005. 3. 25. 선고 2003다39644 판결(공2005상, 647) / [2] 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1두205 판결(공2002하, 2068)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한국철도공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한길 담당변호사 나승권)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8. 6. 12. 선고 2007나754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던 특정 사업을 법률에 의하여 새로 설립되는 공사에 이관하는 경우에 있어서, 인적 조직에 신분상의 변동이 있고 물적 조직도 그것을 규율하는 법률 등에 차이가 있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입법정책적 판단에 의하여 새로 설립되는 공사에 승계되는 권리·의무의 범위를 정할 수 있다( 대법원 2005. 3. 25. 선고 2003다39644 판결 참조). 한편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1조 제3항은 “국가는 철도운영 관련사업을 효율적으로 경영하기 위하여 철도청 및 고속철도건설공단의 관련조직을 전환하여 특별법에 의하여 한국철도공사(이하 ‘철도공사’라 한다)를 설립한다.”고 규정하고, 같은 법 제25조 제1항은 “철도공사 및 철도시설공단은 철도청 직원 중 공무원 신분을 계속 유지하는 자를 제외한 철도청 직원 및 고속철도건설공단 직원의 고용을 포괄하여 승계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구 한국철도공사법(2003. 12. 31. 법률 제7052호로 제정된 것, 이하 같다) 부칙 제7조 제1항, 제2항, 제4항은 철도청장은 소속 공무원 중 철도공사의 직원으로 신분이 전환될 자를 확정하여 철도공사가 직원을 임용할 수 있도록 조치하여야 하고, 철도공사 설립 당시 공무원 신분을 계속 유지하는 자와 한국철도시설공단 직원으로 임용된 자를 제외한 철도청 직원은 철도공사의 직원으로 임용하며, 철도공사의 직원으로 임용된 때에는 공무원 신분에서 퇴직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다 . 위 각 규정의 문언 및 입법 취지에 비추어, 구 한국철도공사법 부칙 제7조 제1항, 제2항, 제4항에 의하여 철도공사 설립 당시 철도청 소속 공무원의 신분에서 퇴직하여 철도공사의 직원으로 임용된 자의 종전 근로관계는 철도공사에 당연히 승계된다고 보아야 한다 . 한편 구 국가공무원법(2002. 12. 18. 법률 제678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69조는 “공무원이 제33조 각 호의 1에 해당할 때에는 당연히 퇴직한다"고 규정하고, 같은 법 제33조 제1항 제4호는 결격사유 중의 하나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고 그 집행유예의 기간이 완료된 날로부터 2년을 경과하지 아니한 자’를 들고 있다. 구 국가공무원법 제69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당연퇴직제도는 같은 법 제33조 제1항 각 호에 규정되어 있는 결격사유가 발생하는 것 자체에 의하여 임용권자의 의사표시 없이 결격사유에 해당하게 된 시점에 당연히 그 공무원으로서의 신분을 상실하게 하는 것이고, 당연퇴직의 효력이 생긴 후에 당연퇴직사유가 소멸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으므로, 국가공무원이 금고 이상의 형의 집행유예를 받은 경우에는 그 이후 형법 제65조에 따라 형의 선고의 효력을 잃게 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발생한 당연퇴직의 효력에는 영향이 없다 ( 대법원 2002. 7. 26. 선고 2001두205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의 이유에 의하면, 원고는 1991. 2. 5. 철도청 공무원으로 임용되어 근무하여 오던 중, 1997. 8. 5. 대구지방법원에서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도주차량)죄 등으로 징역 10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아 1998. 12. 8. 위 판결이 확정된 사실, 그런데 철도청은 이러한 사정을 알지 못하여 원고에 대하여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아니하여 원고는 철도청 공무원으로 사실상 계속 근무하여 온 사실, 그 후 철도산업발전기본법에 따른 철도구조개혁으로 철도청이 폐지되고 공기업인 피고가 설립되었는데, 원고는 철도산업발전기본법 제25조, 한국철도공사법 부칙 제7조 등 관계 법령의 규정에 따라 철도청 공무원의 신분에서 퇴직하고, 2005. 1. 1.자로 피고의 직원으로 임용되어 근무하여 온 사실, 그 후 피고는 위와 같은 당연퇴직사유가 있는 사실을 알게 되자, 2007. 2. 20. 원고에게 “위 형사판결의 확정으로 국가공무원법 제69조(당연퇴직) 및 제33조(결격사유)에 의거 공무원의 당연퇴직 대상자에 해당하므로 2005. 1. 1.자 임용행위는 당연무효”라는 취지의 통지(이하 ‘이 사건 통지’라 한다)를 한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는 1998. 12. 8. 위 집행유예의 판결이 확정됨으로써 그 시점에 이미 철도청 공무원의 신분을 상실하였으므로, 구 한국철도공사법 부칙 제7조 제1항, 제2항에 의하여 피고의 직원으로 신분이 전환될 수 없다. 따라서 원고가 철도청 공무원의 신분을 가지고 있음을 전제로 이루어진 피고의 원고에 대한 2005. 1. 1.자 임용행위는 당연무효라고 볼 수밖에 없다. 또한 이 사건 통지는 원고가 집행유예의 확정판결로 인하여 이미 공무원의 신분을 상실하였고 2005. 1. 1.자 임용행위가 당연무효임을 확인하고 알려주는 데 그칠 뿐, 이로 인하여 원고와 피고 사이에 어떠한 법률관계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므로, 원고는 이 사건 통지에 대한 무효확인을 구할 소의 이익이 없다( 대법원 1994. 7. 29. 선고 93다61789 판결 등 참조). 원심이 비록 이유는 달리하였지만 이 사건 통지에 대한 무효확인을 구하는 청구를 각하하고, 원고가 피고의 직원으로서의 지위를 유효하게 유지하고 있음을 전제로 하여 근로자 지위확인 및 임금 지급을 구하는 청구를 배척한 결론에 있어서는 정당하므로, 판결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박시환 안대희(주심) 차한성
민사판례
집행유예 확정으로 공무원 신분을 잃은 사람은 철도청에서 한국철도공사로 바뀌면서 직원으로 임용될 수 없다. 과거 공무원 신분일 때 받은 집행유예로 인한 당연퇴직은 이후 형이 사라져도 그 효력이 없어진다는 판결.
민사판례
철도청이 한국철도공사로 바뀌면서 철도청 직원들은 한국철도공사 직원으로 고용이 승계되는 것이 원칙이지만, 과거에 집행유예를 받아 공무원 신분을 잃은 사람은 고용 승계 대상이 아니라는 판결입니다.
민사판례
철도청이 공사화되는 과정에서 공무원 신분 유지를 희망했던 직원을 그 의사에 반해 철도공사 직원으로 임용하고 공무원 신분을 상실시킨 것은 위법하지만, 법 해석이 모호한 상황에서 철도청장의 판단에 고의 또는 과실이 있다고 보기 어려워 국가배상책임은 없다는 판결입니다.
일반행정판례
과거 공무원 임용 당시 결격사유가 있었던 사람이라도, 나중에 결격사유가 해소된 상태에서 경력을 인정받아 특별임용되었다면, 그 임용은 유효하다.
민사판례
과거 체신부 공무원이 한국전기통신공사 설립으로 공사 직원이 된 경우, 전직 당시의 공무원 정년을 적용해야 하며, 이후 공무원 정년이 연장되더라도 공사 직원의 정년이 자동으로 연장되는 것은 아니다.
민사판례
자격 요건을 갖추지 못한 사람이 공무원으로 일했더라도, 공무원 연금이나 퇴직금을 받을 수 없다. 또한, 공무원으로 일하다가 당연퇴직 사유가 발생하여 퇴직한 후, 실제로는 계속 일했더라도 그 기간은 공무원 재직 기간으로 인정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