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심기각결정에대한재항고

사건번호:

2008모630

선고일자:

20090820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재감자에 대한 재심기각결정의 송달을 교도소 등의 장에게 하지 않은 경우 그 송달의 효력(무효) [2] 제1심 법원이 재심청구기각결정을 재항고인에게 송달한 후 다시 구치소장에게 송달한 사안에서, 재항고인의 결정등본 수령일을 기준으로 즉시항고 제기기간을 기산하여 즉시항고를 기각한 원심의 결정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교도소·구치소 또는 국가경찰관서의 유치장에 체포·구속 또는 유치된 사람에게 할 송달은 교도소·구치소 또는 국가경찰관서의 장에게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재감자에 대한 재심기각결정의 송달을 교도소 등의 장에게 하지 아니하였다면 부적법하여 무효이고, 즉시항고 제기기간의 기산일을 정하게 되는 송달 자체가 부적법한 이상 재감자인 피고인이 재심기각결정이 고지된 사실을 다른 방법으로 알았다고 하더라도 송달의 효력은 여전히 발생하지 않는다. [2] 제1심 법원이 재심청구기각결정을 재항고인에게 송달한 후 다시 구치소장에게 송달한 사안에서, 위 결정을 구치소장이 아닌 재항고인에게 송달한 것은 부적법하여 무효이고 송달받을 사람을 구치소장으로 하여 다시 송달한 때 비로소 그 송달의 효력이 발생하는 것이어서, 그로부터 3일의 즉시항고기간 내에 제기된 재항고인의 즉시항고는 적법함에도 불구하고, 재항고인의 결정등본 수령일을 기준으로 즉시항고 제기기간을 기산하여 재항고인의 즉시항고를 기각한 원심의 결정이 위법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사소송법 제65조, 민사소송법 제182조 / [2] 형사소송법 제405조, 제435조, 제43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5. 6. 14.자 95모14 결정 (공1995하, 2667)

판례내용

【피 고 인】 【재항고인】 피고인 【원심결정】 서울고법 2008. 6. 4.자 2008로10 결정 【주 문】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직권으로 판단한다. 교도소·구치소 또는 국가경찰관서의 유치장에 체포·구속 또는 유치된 사람에게 할 송달은 교도소·구치소 또는 국가경찰관서의 장에게 하도록 되어 있는바( 형사소송법 제65조, 민사소송법 제182조), 재감자에 대한 재심기각결정의 송달을 교도소 등의 장에게 하지 아니하였다면 부적법하여 무효이고, 즉시항고제기기간의 기산일을 정하게 되는 송달 자체가 부적법한 이상 재감자인 피고인이 재심기각결정이 고지된 사실을 다른 방법으로 알았다고 하더라도 송달의 효력은 여전히 발생하지 않는다 ( 대법원 1995. 6. 14.자 95모14 결정 참조). 기록에 의하면, 제1심 법원은 이 사건 재심청구기각결정(이하 ‘이 사건 결정’이라고 한다)을 서울구치소에 수용중인 재항고인에게 송달하면서 송달받을 사람을 ‘ 피고인’으로 기재하였고 서울구치소의 직원이 2008. 2. 28. 이 사건 결정등본을 수령하여 같은 날 재항고인에게 전달한 사실, 제1심 법원은 그 후 다시 송달받을 사람을 ‘서울구치소장’으로 기재하여 이 사건 결정을 송달하여 2008. 3. 18. 송달된 사실, 재항고인은 2008. 3. 21.에 이 사건 결정에 대한 즉시항고를 제기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위 법리에 비추어 보면 재감자인 재항고인에게 이 사건 결정을 송달함에 있어서 제1심 법원이 송달받을 사람을 구치소장이 아닌 재항고인으로 하여 송달한 것은 부적법하여 무효이고, 즉시항고제기기간의 기산일을 정하게 되는 송달 자체가 부적법한 이상 재감자인 재항고인이 이 사건 결정등본을 직접 전달받았다 하더라도 송달의 효력은 여전히 발생하지 않는 것이며, 이 사건 결정은 송달받을 사람을 구치소장으로 하여 다시 송달된 2008. 3. 18. 비로소 적법하게 송달되었다 할 것이므로, 그로부터 3일의 즉시항고기간 내에 제기된 재항고인의 즉시항고는 적법한 것이라 할 것이다. 그렇다면, 재항고인에 대한 이 사건 결정의 송달 효력이 2008. 2. 28. 발생하였음을 전제로 재항고인의 즉시항고를 기각한 원심의 조치에는 재감중인 사람에 대한 송달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재판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원심결정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박시환(재판장) 안대희 신영철(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교도소에 있는 사람에게 서류를 어떻게 전달해야 할까요?

교도소에 수감된 사람에게 법원 서류를 보낼 때는 수감자 본인이 아니라 교도소장에게 보내야 법적으로 효력이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는 법원이 수감자에게 직접 서류를 보내는 바람에 무효가 되었습니다.

#교도소#수감자#서류송달#교도소장

민사판례

교도소에 있는 사람에게 소송 서류를 보내려면? 꼭 알아야 할 송달 규칙!

재판 당사자가 구치소나 교도소에 수감 중인 경우, 법원은 관련 서류를 그 사람의 이전 주소지가 아닌 교도소장이나 구치소장에게 송달해야 합니다. 수감 사실을 법원에 알리지 않았거나, 실제로 서류 내용을 알고 있었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재소자#서류송달#교도소장#구치소장

형사판례

항소 기각, 왜 그랬을까? - 소송기록 접수 통지와 구속 피고인의 송달

구속된 피고인에게 그의 이전 주소로 소송기록접수통지서를 보내고, 피고인이 항소이유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항소를 기각한 것은 잘못이다. 구속된 사람에게는 교도소 등으로 서류를 보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송달 자체가 무효이기 때문이다.

#구속피고인#소송기록접수통지서#송달#주소오류

민사판례

교도소에 있는 사람에게 소송 서류를 제대로 보내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재소자에게 소송 관련 서류를 보낼 때는 교도소장에게 보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재소자의 이전 주소로 보내면 무효입니다. 법원이 재소 사실을 몰랐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재소자#소송서류#송달#교도소장

형사판례

잠깐! 교도소 들어가서 판결 알았다고 항소 못한다고요? 상소권 회복, 기간 놓치면 안 돼요!

재판에 참석하지 못하고 판결이 확정된 후 수감된 경우, 수감된 날로부터 상소 기간 내에 상소권 회복을 청구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상소권 회복이 불가능합니다.

#공시송달#판결#수감#상소권회복

형사판례

교도소에 있는 사람에게 보낸 법원 서류, 제대로 전달됐을까?

감옥에 있는 사람에게 약식명령을 그 사람이 수감되기 *전* 주소로 보내면 그 송달은 효력이 없고, 정식재판 청구 기간도 진행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식재판청구권 회복 청구를 따로 할 필요 없이 바로 정식재판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재소자#약식명령#송달#무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