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중정기총회결의무효확인청구

사건번호:

2009다26367

선고일자:

200912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종중이 그 구성원인 종원이 가지는 고유하고 기본적인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처분을 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일부 종중원에게 소집통지를 결여한 채 개최된 종중총회 결의의 효력(=무효)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31조 / [2] 민법 제31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6. 10. 26. 선고 2004다47024 판결(공2006하, 1966) / [2]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7다34982 판결(공2007하, 1544)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전주이씨 효령대군파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9. 3. 18. 선고 2008나8570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상고이유 제1점 및 제2점에 대하여 종중은 공동선조의 분묘수호와 제사 그리고 종원 상호간의 친목도모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자연발생적인 관습상의 종족 집단체로서 그 공동선조의 후손은 그 의사와 관계없이 성년이 되면 당연히 그 구성원(종원)이 되는 것이고, 종중의 규약이나 관습에 따라 선출된 대표자 등에 의하여 대표되는 정도로 조직을 갖추고 지속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면 비법인 사단으로서의 단체성이 인정된다. 이와 같은 종중의 성격과 법적 성질에 비추어 종중이 그 구성원인 종원에 대하여 그가 가지는 고유하고 기본적인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하는 처분을 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대법원 2006. 10. 26. 선고 2004다47024 판결 등 참조). 한편, 종중의 규약이나 관행에 의하여 매년 일정한 날에 일정한 장소에서 정기적으로 종중원들이 집합하여 종중의 대소사를 처리하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종중총회 소집절차가 필요하지 아니하나, 위와 같은 경우 외에 별도로 종중총회를 소집함에 있어서는 특별한 규약이나 종중관행이 없는 한 통지 가능한 모든 종중원에게 개별적으로 소집통지를 함으로써 각자가 회의와 토의와 의결에 참가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하고, 일부 종중원에게 소집통지를 결여한 채 개최된 종중총회의 결의는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다( 대법원 2007. 9. 6. 선고 2007다34982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채택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 종중에게는 적어도 2001. 12. 19. 정관을 개정한 이후에는 총회소집에 관하여 종중의 규약이 없다고 인정되고, 피고 종중이 정기총회를 개최함에 있어 종원에게 총회일자를 알리지 아니하는 관례가 형성되었다고 볼 수도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 피고 종중은 족보에 의하여 소집통지의 대상이 되는 종원의 범위를 확정하여 총회소집에 관하여 통지 가능한 모든 종원에게 소집통지를 함으로써 각자가 정기총회의 토의와 의결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함에도, 달리 특별한 사정없이 피고 종중이 이 사건 정기총회를 개최함에 있어 소집통지의 대상이 되는 종원의 범위를 확정하지 아니하고 소집통지를 전혀 하지 아니하였으므로 그 소집절차에 하자가 있고, 한편 피고 종중의 징계규정상 종원자격의 정지처분을 받은 종원은 그 기간 중 조직규정에 명시된 직위 또는 상계 종회 직책을 가질 수 없다고 규정하고 있을 뿐이어서 그 처분을 받은 종원의 토의권과 의결권까지 제한되는 것으로 볼 수 없음에도 5년간 종원자격의 정지처분을 받고 이 사건 정기총회에 참석한 원고의 토의권 및 의결권을 제한하여 이 사건 결의를 한 것은 원고가 종원으로서 가지는 고유하고 기본적인 권리의 본질적인 내용을 침해한 것이고, 이와 같은 잘못이 표결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하여 달리 볼 수는 없으므로, 이 사건 결의는 그 효력이 없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이나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2. 상고이유 제3점에 대하여 소송상 이익이 있고 없음은 사실심변론종결 당시를 표준으로 하여 이를 정함이 원칙이라고 할 것인바( 대법원 1963. 9. 12. 선고 63누115 판결 등 참조), 피고 종중이 원심판결 선고 후에 새로이 임시총회를 개최하여 이 사건 결의와 동일한 내용의 결의를 하였다는 주장은 사실심 변론종결 이후의 사정을 내세워 새로운 사실을 주장하는 것이어서 적법한 상고이유가 될 수 없다. 상고이유에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들은 사실심에서 종중이 종전의 무효인 결의를 추인하는 결의를 하고 이를 입증한 경우에 관한 것으로서 사안이 달라 이 사건에 적용하기에 적절한 것이 아니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김능환(주심)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종중 회의, 제대로 열렸을까요? 소집 통지의 중요성!

종중 회의를 열 때 모든 종중원에게 통지하지 않으면, 그 회의에서 나온 결정은 효력이 없습니다. 참석 인원이 과반수를 넘더라도 마찬가지입니다.

#종중회의#소집통지#누락#결의무효

민사판례

종중 총회, 어떻게 열어야 할까요? 소집 통지의 모든 것!

종중총회를 열려면 족보를 기준으로 참석 대상을 정하고, 연락 가능한 모든 종중원에게 개별적으로 알려야 합니다. 일부 종중원에게만 알리고 열린 총회 결정은 효력이 없습니다. 소집 통지는 서면, 구두, 전화, 다른 사람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종중총회#소집통지#적법성#족보

민사판례

종중 총회, 누가 소집해야 할까요?

종중 총회를 소집할 권한이 없는 사람이 소집한 총회라도, 권한 있는 사람이 참석했다고 해서 절차적 하자가 자동으로 치유되는 것은 아닙니다. 소집권자가 소집에 명시적으로 동의했거나 소집을 위임한 경우에만 적법한 소집으로 인정됩니다.

#종중#총회#소집권#절차적 하자

민사판례

종중 총회 소집, 제대로 알려야 효력 인정!

종중 총회를 소집할 때는 각 지파나 지역 대표에게만 알리는 것이 아니라, 총회 참석 자격이 있는 모든 종원에게 직접 알려야 한다.

#종중#총회#소집#직접통지

민사판례

종중총회, 제대로 소집해야 효력 인정!

종중 총회를 열 때 모든 종원에게 제대로 소집 통지를 하지 않으면 그 총회에서 이루어진 결정은 무효입니다.

#종중#총회#소집통지#무효

민사판례

종중 총회, 제대로 열었나요? 소집 절차의 중요성!

종중 총회를 열려면 족보에 있는 모든 종원뿐 아니라 족보에 없는 종원까지 포함해서 연락 가능한 사람들에게 모두 개별적으로 통지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총회 결정은 무효입니다.

#종중#총회#소집통지#모든 종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