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2009다47852

선고일자:

200910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있어 제척기간의 기산점인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의 의미 및 제척기간의 도과에 관한 증명책임자(=채권자취소소송의 상대방) [2] 채무자의 적극재산에 포함되는 부동산이 사해행위가 있은 후에 경매절차에서 경락된 경우, 채무자의 무자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부동산 가액 평가의 기준 시기(=사해행위 당시의 시가) 및 경매절차에서 이루어진 부동산에 대한 감정평가액을 위 시가로 볼 수 있는지 여부(적극) [3] 담보로 제공된 부동산에 대하여 임의경매 등 환가절차가 진행되는 도중에 재산처분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그 재산처분행위의 사해성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부동산 가액 평가의 기준 시기(=재산처분행위 당시의 시가) [4] 근저당권이 설정된 채무자 소유의 주택에 대하여 임의경매절차가 개시되기 직전 보증금이 최우선 변제되는 임대차계약이 체결된 사안에서, 근저당권자에 대한 채무액과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액이 위 경매절차에서 이루어진 주택의 감정평가액을 초과하지 않는 등 채무자가 임대차계약의 체결로 인해 채무초과에 빠졌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소액보증금 우선변제권을 감안하더라도 근저당권자의 채권 전액은 우선변제권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위 임대차계약 체결행위가 사해행위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민법 제406조 / [2] 민법 제406조 / [3] 민법 제406조 / [4] 민법 제40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2000. 9. 29. 선고 2000다3262 판결(공2000하, 2199), 대법원 2006.7.4. 선고 2004다61280 판결(공2006하, 1494),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7다63102 판결(공2009상, 547) / [2] 대법원 2001. 4. 27. 선고 2000다69026 판결(공2001상, 1244) / [3] 대법원 2009. 6. 23. 선고 2009다549 판결(공2009하, 1181)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09. 5. 22. 선고 2008나21348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예비적 청구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부산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채권자취소권의 행사에 있어서 제척기간의 기산점인 채권자가 “취소원인을 안 날”이라 함은 채무자가 채권자를 해함을 알면서 사해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알게 된 날을 의미한다. 이는 단순히 채무자가 재산의 처분행위를 한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구체적인 사해행위의 존재를 알고 나아가 채무자에게 사해의 의사가 있었다는 사실까지 알 것을 요한다. 한편, 그 제척기간의 도과에 관한 입증책임은 채권자취소소송의 상대방에게 있다(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7다63102 판결 참조). 피고가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사유만으로는 제척기간 도과에 관한 입증책임을 다하였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이 점을 다투는 상고이유는 받아들일 수 없다. 2. 채무자의 재산처분행위가 사해행위가 되기 위해서는 그 행위로 말미암아 채무자의 총재산의 감소가 초래되어 채권의 공동담보에 부족이 생기게 되어야 하는 것, 즉 채무자의 소극재산이 적극재산보다 많아져야 하는 것인바, 채무자의 무자력 여부는 사해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채무자의 적극재산에 포함되는 부동산이 사해행위가 있은 후에 경매절차에서 경락된 경우에 그 부동산의 평가는 경락된 가액을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사해행위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며, 부동산에 대하여 정당한 절차에 따라 산출된 감정평가액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 시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대법원 2001. 4. 27. 선고 2000다69026 판결 참조). 그리고 채무자가 다른 재산을 처분하는 법률행위를 하더라도, 채무자 소유의 부동산에 대하여 채권자 앞으로 근저당권이 설정되어 있고 그 부동산의 가액 및 채권최고액이 당해 채권액을 초과하여 채권자에게 채권 전액에 대한 우선변제권이 확보되어 있다면 그와 같은 재산처분행위는 채권자를 해하지 아니하므로 채권자에 대하여 사해행위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할 것인데, 이때도 채무자의 재산처분행위가 사해행위가 되는지 여부는 처분행위 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므로, 담보로 제공된 부동산에 대하여 임의경매 등의 환가절차가 개시되어 진행되는 도중에 재산처분행위가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 재산처분행위의 사해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부동산 가액의 평가는 부동산 가액의 하락이 예상되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사후에 환가된 가액을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사해성 여부가 문제되는 재산처분행위 당시의 시가를 기준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대법원 2009. 6. 23. 선고 2009다549 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고는 2005. 3. 25. 소외인 소유의 이 사건 주택에 관하여 채무자 소외인, 채권최고액 135,200,000원의 근저당권설정등기를 마치고, 이를 담보로 같은 날 100,000,000원을 대출한 사실, 원고는 소외인이 위 대출원리금의 납입을 지체하자 위 근저당권에 기해 이 사건 주택에 관하여 임의경매신청을 하여 2007. 8. 22. 부산지방법원 2007타경37935호로 부동산임의경매 절차가 개시된 사실, 피고는 위 경매절차에서 이 사건 주택에 관하여 ‘임대차계약일 2007. 5. 31., 임차보증금 15,000,000원, 월 차임 350,000원, 임대차기간 2007. 6. 15.부터 24개월, 전입신고 2007. 6. 21., 확정일자 2007. 7. 9.’로 기재된 임대차계약서에 기한 권리신고 및 배당요구를 한 사실, 이 사건 주택의 감정평가액(가격시점 2007. 8. 23.)은 135,000,000원이고, 원고가 2007. 8. 21. 위 임의경매신청할 당시 청구금액은 104,892,064원인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외인이 피고와 위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당시 적극재산으로 시가 135,000,000원인 이 사건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고 원고에 대한 채무와 피고에 대한 임대차보증금반환채무를 합하더라도 이 사건 주택의 시가를 초과하지 아니하는바, 소외인에게 다른 적극재산이나 소극재산이 있다는 자료가 없으므로, 소외인이 피고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인하여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졌다고 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고의 소액보증금 우선변제권을 감안하더라도 원고는 위 근저당권으로 채권 전액에 대한 우선변제권이 확보되어 있었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소외인이 피고와 임대차계약을 체결한 행위는 사해행위로서의 요건을 갖추지 못하였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도 원심이 위와 같은 요건에 관하여 심리하지 아니한 채 사해행위취소 및 원상회복을 구하는 예비적 청구를 인용한 데에는 사해행위의 성립요건에 관한 법리를 오해함으로써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3.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 중 예비적 청구에 관한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박시환 안대희(주심) 차한성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임대보증금 때문에 집을 사게 된 사연, 사해행위일까?

빚이 많은 사람(채무자)이 자기 재산을 팔았는데, 그 재산을 산 사람(수익자)이 채무자의 빚 때문에 다른 채권자들에게 피해가 갈 것을 몰랐다면, 그 거래는 사해행위로 볼 수 없다는 판결입니다.

#사해행위#취소#수익자#선의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 없는 집주인과 전세 계약, 조심하세요! (사해행위취소소송)

빚이 재산보다 많은 집주인이 자기 소유의 유일한 주택에 소액보증금 최우선변제권이 있는 세입자를 들이는 행위는 사해행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때 세입자(임차인)가 사해행위라는 것을 알고 있었는지 여부는 여러 정황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사해행위#소액보증금 최우선변제권#채무초과#임차인

상담사례

돈 안 갚는 세입자 때문에 골치 아프시죠? 소액임차권과 사해행위 이야기

채무자가 빚을 피하려고 유일한 재산에 세입자를 들이는 것은 사해행위로, 세입자가 채무자의 상황을 알았다면 임대차 계약이 취소되어 채권자는 돈을 받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소액임차권#사해행위#채무자#세입자

민사판례

빚 갚을 능력도 없으면서 담보 잡힌 집 팔아버렸다면? 사해행위 성립!

빚이 재산보다 많은 사람이 저당 잡힌 부동산을 팔면서 매각 대금을 저당 빚 갚는 데만 썼다면, 다른 일반 채권자들을 해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또한, 채권자는 사해행위 취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데, 법원은 소송 제기 기간에 문제가 없어 보이면 추가로 조사할 의무는 없다.

#저당부동산#채권자보호#사해행위#채권자취소권

민사판례

전세 보증금, 내 재산 맞나요? 사해행위취소소송에서의 보증금 계산

빚진 사람이 자기 재산을 팔아버리는 등의 행위로 빚을 갚을 수 없게 되었을 때, 채권자는 그 행위를 취소해달라는 소송(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빚진 사람이 전세나 월세로 살고 있다면, 그 보증금도 재산으로 인정해야 할까요? 대법원은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보증금도 재산으로 봐야 한다"고 판결했습니다.

#임대차보증금#사해행위취소소송#채권자#채무자

민사판례

돈 안 내고 집 산 사람, 세입자 보증금까지 책임져야 할까? 사해행위취소소송과 임차보증금 문제

빚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빼돌리는 사해행위를 한 사람의 재산을 원래대로 돌려놓을 때, 그 재산에 대항력만 있고 우선변제권이 없는 세입자의 보증금은 재산 가치에서 빼지 않는다.

#사해행위#취소#가액배상#대항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