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상비밀누설

사건번호:

2009도2669

선고일자:

20090611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공무상비밀누설죄에서 ‘법령에 의한 직무상 비밀’의 의미와 보호법익 [2] 피고인이 유출한 FTA 관련 문건의 내용이 직무상 비밀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형법 제127조 / [2] 형법 제127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2. 6. 22. 선고 80도2822 판결(공1982, 710), 대법원 2003. 12. 26. 선고 2002도7339 판결(공2004상, 291), 대법원 2007. 6. 14. 선고 2004도5561 판결(공2007하, 1108)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법무법인 길상 담당변호사 민병덕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9. 3. 18. 선고 2008노4464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 후의 구금일수 중 75일을 본형에 산입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형법 제127조는 공무원 또는 공무원이었던 자가 법령에 의한 직무상 비밀을 누설하는 것을 구성요건으로 하고 있는바, 여기서 법령에 의한 직무상 비밀이란 반드시 법령에 의하여 비밀로 규정되었거나 비밀로 분류 명시된 사항에 한하지 아니하고, 정치, 군사, 외교, 경제, 사회적 필요에 따라 비밀로 된 사항은 물론 정부나 공무소 또는 국민이 객관적, 일반적인 입장에서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 것에 상당한 이익이 있는 사항도 포함하나, 실질적으로 그것을 비밀로서 보호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고, 한편, 공무상비밀누설죄는 기밀 그 자체를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공무원의 비밀엄수의무의 침해에 의하여 위험하게 되는 이익, 즉 비밀의 누설에 의하여 위협받는 국가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 대법원 2007. 6. 14. 선고 2004도556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적법하게 채용한 증거들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유출한 이 사건 문건은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 체결 협상을 위한 협상전략과 분야별 쟁점에 대한 대응방향 등을 담고 있는 것으로서, 그와 같은 내용이 일반에 알려진 공지의 사실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없고, 또한 그 내용이 공개될 경우 협상상대방인 미국으로서는 우리나라의 우선 관심사항과 구체적인 협상전략을 미리 파악하여 보다 유리한 조건에서 협상에 임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우리나라로서는 당초 준비한 협상전략이 모두 노출됨으로 인하여 불리한 지위에서 협상에 임할 수밖에 없게 되어, 당초의 협상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불러올 우려가 있었던 점 등을 종합해 보면, 적어도 이 사건 문건 중 그 판시와 같은 기재 부분은 정부나 공무소 또는 국민이 객관적, 일반적인 입장에서 외부에 알려지지 않는 것에 상당한 이익이 있는 사항으로서, 실질적으로 비밀로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직무상 비밀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직무상 비밀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 후의 구금일수 일부를 본형에 산입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차한성(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공무상 비밀 누설, 어디까지 처벌될까?

공무원이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직무와 관련된 다른 공무원에게 전달한 경우, 그것이 업무상 필요에 의한 것이라면 비밀누설죄로 처벌하기 어렵다는 대법원 판결.

#공무상비밀누설죄#직무관련정보전달#업무상필요성#국가기능위협

형사판례

공무상 비밀 누설, 어디까지 처벌될까?

공무원이 직무상 알게 된 비밀을 직무와 관련된 다른 공무원에게 직무상 전달한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다면 공무상비밀누설죄가 성립하지 않는다.

#공무상비밀누설죄#직무관련 공무원#비밀전달#누설

형사판례

공무상 비밀 누설? 어디까지가 비밀일까?

경찰관이 수사기록을 일반인에게 열람·등사하게 해준 행위가 공무상비밀누설죄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사례. 수사기록의 내용이 피의사실, 피의자 및 피해자의 인적사항, 피해자의 상해 정도 등에 불과하여 실질적으로 비밀로 보호할 가치가 있는 정보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 판단의 근거.

#수사기록#열람·등사#공무상비밀누설죄#비밀보호가치

형사판례

국가정보원 직원의 비밀누설, 어디까지 처벌할 수 있을까?

국가정보원 직원이 이미 사회적으로 널리 알려진 내부 감찰 관련 정보를 지인에게 알려준 행위는 국가정보원의 기능에 실질적인 위협을 주지 않아 ‘비밀’로 볼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

#국정원#감찰정보 누설#비밀엄수의무#무죄

형사판례

공무원이 업무 중 알게 된 비밀, 언제까지 비밀일까?

시에서 도로개설사업 예산이 배정된 사실은 처음에는 비밀이지만, 시보와 홈페이지에 공개된 후에는 더 이상 비밀이 아니라는 판결.

#도로개설사업#예산배정#정보공개#비밀성 상실

형사판례

전직 국정원 직원의 도청자료 유출, 어디까지 처벌될까?

전직 국정원 직원이 대기업 임원과 언론 사주 간의 대화를 도청한 자료를 유출한 사건에서, 대화 내용 자체는 비밀이 아니지만, 그 자료를 어떻게 수집했는지에 대한 정보는 국정원의 활동과 관련된 비밀이라는 대법원 판결.

#국정원#도청자료 유출#수집 경위 비밀#대화 내용 비밀 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