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집행면탈

사건번호:

2009도875

선고일자:

2009052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형법 제327조에 정한 강제집행면탈죄의 성립요건 [2]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내용의 채무변제계약 공정증서를 작성한 후 이에 기하여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때에,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함과 동시에 그 범죄행위가 종료되어 공소시효가 진행한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형법 제327조의 강제집행면탈죄는 위태범으로서, 현실적으로 민사소송법에 의한 강제집행 또는 가압류·가처분의 집행을 받을 우려가 있는 객관적인 상태에서, 즉 채권자가 본안 또는 보전소송을 제기하거나 제기할 태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강제집행을 면탈하려는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 손괴, 허위양도하거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여 채권자를 해할 위험이 있으면 성립하는 것이고, 반드시 채권자를 해하는 결과가 야기되거나 행위자가 어떤 이득을 취하여야 범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2]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내용의 채무변제계약 공정증서를 작성한 후 이에 기하여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때에,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함과 동시에 그 범죄행위가 종료되어 공소시효가 진행한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형법 제327조 / [2] 형법 제327조, 형사소송법 제249조 제1항 제5호, 제252조, 제326조 제3호

참조판례

[1] 대법원 1996. 1. 26. 선고 95도2526 판결(공1996상, 848),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8도3184 판결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원심판결】 대구지법 2009. 1. 8. 선고 2008노333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형법 제327조의 강제집행면탈죄는 위태범으로서 현실적으로 민사소송법에 의한 강제집행 또는 가압류·가처분의 집행을 받을 우려가 있는 객관적인 상태 아래, 즉 채권자가 본안 또는 보전소송을 제기하거나 제기할 태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에서 주관적으로 강제집행을 면탈하려는 목적으로 재산을 은닉, 손괴, 허위양도하거나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여 채권자를 해할 위험이 있으면 성립하는 것이고, 반드시 채권자를 해하는 결과가 야기되거나 행위자가 어떤 이득을 취하여야 범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8도3184 판결 참조). 원심은, 피고인들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 중 강제집행면탈의 점의 공소시효는 범죄행위가 종료한 때부터 3년으로서, 위 죄는 늦어도 피고인들이 허위의 채무를 부담하는 내용의 채무변제계약 공정증서를 작성한 후 이에 기하여 채권압류 및 추심명령을 받은 2005. 8. 18.에는 성립하였다 할 것이고, 강제집행면탈죄의 보호법익과 구성요건, 위 범행내용 등에 비추어 이 사건에서는 허위의 채무부담에 의한 강제집행면탈죄의 성립과 동시에 위 범죄행위가 종료되어 공소시효가 진행된다고 봄이 상당하므로, 이 사건 공소는 위 강제집행면탈죄가 성립하여 종료한 때인 2005. 8. 18.부터 그 공소시효기간이 경과한 이후인 2008. 8. 22. 제기되었음이 기록상 분명하여 모두 공소시효가 완성되었을 때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원심판결의 이유를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는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공소시효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빚 갚기 싫어서 재산 숨겼다면? 강제집행면탈죄와 공소시효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재산을 숨기는 강제집행면탈죄에서, 허위로 채권을 양도한 경우, 채권을 양도받았다고 통지받은 시점부터 공소시효가 시작된다.

#강제집행면탈죄#허위 채권 양도#공소시효#기산점

형사판례

빚 때문에 재산 숨기면 바로 범죄? 강제집행면탈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

강제집행면탈죄는 채권자에게 실제 손해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강제집행을 피하기 위한 행위를 했다면 성립합니다. 즉, '위험범'이므로 실제 손해 발생 여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강제집행면탈죄#손해발생 불필요#위험범#강제집행 회피

형사판례

재산 숨겼다고 무조건 범죄? 강제집행면탈죄 성립 요건을 알아보자!

빌린 돈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숨겼더라도, 숨긴 재산 외에 빚을 갚을 만한 충분한 재산이 있다면 강제집행면탈죄로 처벌할 수 없다.

#강제집행면탈죄#재산은닉#변제능력#채권침해

형사판례

빚 빼돌리기? 강제집행면탈죄에 대한 오해와 진실

빚을 갚지 않기 위해 재산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양도하는 강제집행 면탈죄는 채권(빚을 받을 권리)이 존재하고, 강제집행을 피하려는 의도가 있어야 성립합니다. 이 판례는 채권이 양도되었더라도 다른 채권자의 가압류가 있었다면 채권이 존재한다고 보고, 거짓 담보 설정 후 이를 양도하는 행위도 면탈죄에 해당한다고 판결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이 순차적 또는 암묵적으로 범죄에 가담해도 공모 관계가 인정됩니다.

#강제집행면탈죄#채권 존재#가압류#위태범

형사판례

빚 때문에 재산 숨기고 거짓 고소하면 어떻게 될까?

돈을 갚지 않으려고 재산을 숨기거나 거짓으로 양도하는 강제집행면탈죄, 거짓으로 소송을 제기하여 이득을 취하려는 소송사기죄, 거짓으로 고소하는 무고죄, 그리고 다른 사람의 명예를 훼손하는 명예훼손죄 등에 대한 대법원 판결입니다. 재산 은닉의 판단 기준, 소송사기죄 적용의 신중함, 무고죄 성립 요건, 명예훼손죄의 공연성 등이 주요 쟁점입니다.

#강제집행면탈죄#소송사기죄#무고죄#명예훼손죄

형사판례

빚 갚을 재산 있는데도 '강제집행면탈죄' 될 수 있다?

빚을 갚지 않기 위해 거짓으로 빚을 만들어 재산을 숨기는 행위는, 다른 재산이 조금 남아있더라도 강제집행면탈죄로 처벌될 수 있다.

#강제집행면탈죄#허위채무#재산은닉#유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