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연금수급권미해당결정처분취소

사건번호:

2009두3026

선고일자:

200905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구 국민연금법 제17조 제2항 단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업장가입자의 임금에서 기여금을 공제하고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경우 가입기간에 산입여부(소극) 및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의 지급사유 발생일 이후에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이 같은 법 제72조의2 제2호에 정한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에 포함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국민연금법(2007. 7. 23. 법률 제854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17조 제2항, 제72조의2 제2호(현행 제85조 제2호 참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국민연금공단 (소송대리인 변호사 황인상) 【원심판결】 대구고법 2009. 1. 16. 선고 2008누748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구 국민연금법(2007. 7. 23. 법률 제8541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법’이라 한다) 제72조의2 제2호는 장애연금 또는 유족연금의 지급을 제한할 수 있는 사유 중의 하나로 “장애연금 또는 유족연금의 지급사유 발생 당시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 제17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기여금을 납부한 기간을 포함한다)이 그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과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기간( 제76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납부기한으로부터 1월을 경과하지 아니한 기간과 제77조의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기간을 제외한다.)을 합산한 기간의 3분의 2에 미달하는 경우. 다만,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기간이 6월 미만인 경우를 제외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법 제72조의2의 입법 취지 및 관계 법령의 내용과 체계 등에 비추어 볼 때,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이란 법 제17조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장가입자가 기여금을 납부한 기간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실제로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을 의미하므로, 법 제17조 제2항 단서에 의하여 사용자가 사업장가입자의 임금에서 기여금을 공제하고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경우 가입기간에 산입되는 기간은 이에 해당하지 않고, 또한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였는지 여부는 장애연금과 유족연금의 지급사유 발생당시를 기준으로 판단하여야 하므로, 그 지급사유 발생일 이후에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였다 하여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에 포함시킬 수 없다 할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원고에 관한 유족연금의 지급사유 발생일 당시를 기준으로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이 그 연금보험료를 납부한 기간과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아니한 기간을 합산한 기간의 3분의 2에 미달하고, 연금보험료를 납부하지 않은 기간이 6월 미만인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으므로 원고에 대하여 법 제72조의2 제2호에 따라 유족연금의 지급이 제한된다고 판단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제72조의2의 해석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차한성(재판장) 김영란 이홍훈(주심) 김능환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국민연금, 내맘대로 안 낼 수 있을까? 가입기간 미소급 희망? 안됩니다!

회사가 국민연금 가입 신고를 늦게 했더라도, 직원은 가입 자격이 생긴 시점부터 보험료를 내야 할 의무가 있다. 회사 편의를 위해 미납 기간의 보험료를 내지 않겠다는 각서를 썼더라도 무효다.

#국민연금#미납#의무#가입기간

형사판례

국민연금 못 냈다고 무조건 벌금?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돈이 없어서 국민연금을 못 냈을 경우, 이를 '정당한 사유'로 인정할 수 있는가? -> **있다.** (단, 단순히 돈이 없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미납 경위, 미납액 및 기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함.)

#국민연금#미납#정당한 사유#경제적 어려움

민사판례

국민연금 수급자 사망 시 손해배상과 유족연금, 어떻게 계산해야 할까?

국민연금을 받던 사람이 사고로 사망했을 때, 받지 못하게 된 연금(일실노령연금)은 상속되지만, 유족이 받는 유족연금은 상속받은 일실노령연금에서 *자신의 상속분만큼만* 공제된다는 판결.

#국민연금#일실노령연금#상속#유족연금

일반행정판례

잘못 지급된 국민연금, 무조건 돌려줘야 할까?

자격 요건에 미달함에도 국민연금을 받았다면, 연금공단은 지급 결정을 취소하고 이미 지급된 연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연금을 받은 사람에게 잘못이 없고, 돌려주는 것이 너무 가혹하다면 환수는 부당할 수 있다. 즉, 공익과 개인의 권리 보호 사이의 균형을 따져봐야 한다.

#국민연금#환수#신뢰보호#공익

형사판례

직원 월급에서 떼간 국민연금, 함부로 쓰면 횡령!

회사 대표가 직원 월급에서 떼어놓은 국민연금 직원 부담금을 국민연금공단에 내지 않고 회사 운영자금으로 쓰면 횡령죄가 된다.

#국민연금 기여금#횡령#운영자금#업무상횡령죄

생활법률

내 월급 어디로 가? 🤔 국민연금 완전 정복!

국민연금은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이 소득활동 어려움에 대비해 가입하는 사회보험으로, 사업장/지역/임의/임의계속 가입 유형으로 나뉘며 노령/장애/유족/반환일시금/사망일시금 급여를 제공한다.

#국민연금#가입유형#급여종류#노령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