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번호:
2010도11788
선고일자:
201211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이전 수사기관에서 가혹행위로 인하여 임의성 없는 자백을 한 후 검사 조사단계에서도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되어 자백 강요행위 없이 동일한 내용의 자백을 한 경우, 검사 앞에서의 자백의 임의성 유무(소극)
형사소송법 제309조
대법원 1992. 11. 24. 선고 92도2409 판결(공1993상, 306), 대법원 2011. 10. 27. 선고 2009도1603 판결(공2011하, 2470)
【피 고 인】 【상 고 인】 검사 【변 호 인】 법무법인 덕수 담당변호사 김형태 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8. 19. 선고 2010재노1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임의성 없는 진술의 증거능력을 부정하는 취지는, 허위진술을 유발 또는 강요할 위험성이 있는 상태하에서 행하여진 진술은 그 자체가 실체적 진실에 부합하지 아니하여 오판을 일으킬 소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진위를 떠나서 진술자의 기본적 인권을 침해하는 위법·부당한 압박이 가하여지는 것을 사전에 막기 위한 것이므로, 그 임의성에 다툼이 있을 때에는 그 임의성을 의심할 만한 합리적이고 구체적인 사실을 피고인이 증명할 것이 아니고 검사가 그 임의성의 의문점을 없애는 증명을 하여야 하며, 검사가 그 임의성의 의문점을 없애는 증명을 하지 못한 경우에는 그 진술증거는 증거능력이 부정된다( 대법원 2006. 1. 26. 선고 2004도517 판결 등 참조). 또한 피고인이 검사 이전의 수사기관에서 고문 등 가혹행위로 인하여 임의성 없는 자백을 하고 그 후 검사의 조사단계에서도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되어 동일한 내용의 자백을 하였다면 검사의 조사단계에서 고문 등 자백의 강요행위가 없었다고 하여도 검사 앞에서의 자백도 임의성 없는 자백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대법원 1992. 11. 24. 선고 92도2409 판결, 대법원 2011. 10. 27. 선고 2009도1603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 증거들을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 및 그의 처 공소외인은 장기간 불법 구금 상태에서 국가안전기획부 소속 수사관들에 의하여 고문 및 가혹행위를 당하여 임의성 없는 자백을 하였고, 그 후 검사의 조사단계에서도 임의성 없는 심리상태가 계속되어 동일한 내용의 자백을 한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피고인 및 공소외인에 대한 검사 작성의 각 피의자신문조서의 진술기재는 임의성이 없어 증거로 사용할 수 없고, 그 외 나머지 증거만으로는 피고인이 공소사실과 같은 간첩행위 및 간첩방조행위를 하였다는 사실을 인정하기에 부족하므로 이 사건 공소사실에 대하여 범죄의 증명이 없다고 하여 무죄를 선고하였다.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이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상고이유에서 주장하는 바와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을 위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자백의 임의성 및 증거능력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병대(재판장) 양창수 고영한 김창석(주심)
형사판례
경찰 수사 단계에서 고문 등으로 강요된 자백 이후, 검찰 조사에서 고문 없이 같은 내용을 자백하더라도, 그 자백은 여전히 효력이 없다.
형사판례
피고인이 경찰 조사에서 강압적인 분위기 속에서 자백을 했고, 그 영향이 검찰 조사까지 이어져 검찰에서의 자백도 증거로 인정되지 않은 판례입니다.
형사판례
수사 과정에서 고문이나 협박 등으로 강요된 자백은 증거로 사용할 수 없으며, 이러한 강압적인 분위기가 법정까지 이어진 경우 법정에서의 자백 또한 증거능력이 없다. 자백의 임의성을 입증할 책임은 검사에게 있다.
형사판례
피고인이 검사 앞에서 자백했지만, 그 자백이 강압에 의한 것이라는 의심이 들고, 다른 증거도 부족하여 유죄 판결을 뒤집은 사례입니다.
형사판례
법원은 피고인의 자백이 강압이나 속임수 없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졌는지(임의성)를 판단할 때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증거 조사 방법이나 증거 능력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형사판례
불법감금 후 이루어진 자백은 그 이후 검찰이나 법정에서 이루어진 자백에도 영향을 미쳐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는 판례입니다. 즉,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한 자백은 이후 상황이 바뀌어도 그 영향이 남아있어 신뢰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