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임

사건번호:

2010도6280

선고일자:

2010081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영화제작사인 甲 회사의 대표이사가 투자자인 乙 회사 부담의 영화 현상료 등을 자신이 변제하지 못할 경우 장래에 발생할 회사 예금으로 변제에 충당할 의사로 甲 회사 명의의 은행통장 등을 乙 회사에 건네 준 후 위 통장계좌에 입금된 예금을 출금·소비한 사안에서, 배임죄를 구성한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영화제작사인 甲 회사의 대표이사가, 회사 제작의 영화 ‘어린왕자’에 관련된 프린트 및 현상료를 투자자인 乙 회사가 부담하는 대신, 乙 회사에 甲 회사 명의의 은행통장과 법인인감, 보안카드를 건네주고, 자신이 이를 변제하지 못할 경우 위 통장계좌로 입금받을 예정인 부가가치세 환급금으로 대체하기로 하는 내용의 지불각서를 작성하여 주었으나, 그 후 환급금의 입금 사실을 먼저 확인하고 통장 분실신고를 한 뒤 재발급받은 새 통장을 이용하여 위 돈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고 출금하여 다른 채권자들에게 지급한 사안에서, 이러한 경우 대표이사로서는 자신이 위 현상료 등을 변제할 때까지 乙 회사가 위 예금채권에 대한 실질적인 담보권을 유지하고, 나아가 이를 변제하지 못한 경우에는 乙 회사가 위 예금을 직접 출금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스스로 위 예금을 출금·소비함으로써 위 의무에 위배하여 乙 회사에 손해를 가하였으므로 배임죄를 구성한다고 본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참조조문

형법 제355조 제2항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박현길외 1인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0. 4. 29. 선고 2009노4151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고인이 2008. 1. 14.경 영화 ‘어린왕자’에 관련된 프린트 및 현상료를 피해자 회사가 부담하는 대신 피해자 회사에 피고인이 대표이사로 있는 주식회사 피플앤픽쳐스(이하 ‘피플앤픽쳐스’라고 한다) 명의의 은행통장과 법인인감도장, 보안카드(OPT카드)를 건네 준 사실, 당시 피플앤픽쳐스는 같은 해 2월경 강남세무서로부터 부가가치세 환급금 1억 8,000만 원 정도를 위 통장의 계좌로 입금받을 예정이었던 사실, 피고인은 영화 종영 후에도 위 프린트 및 현상료를 변제하지 못할 때에는 같은 해 2. 20.까지 위 부가가치세 환급금으로 대체하기로 하는 내용의 지불각서를 작성하여 준 사실, 그 후 피해자 회사 측은 2~3일마다 위 환급금의 입금 여부를 확인한 사실, 그런데 피고인은 같은 해 2. 22. 금 8,000여만 원의 부가가치세 환급금이 입금된 사실을 먼저 확인하고 당일 위 통장의 분실신고를 한 뒤, 자신이 가지고 있던 다른 도장을 이용하여 같은 계좌번호의 새로운 통장을 발급받은 후 이를 이용하여 위 금원을 다른 계좌로 이체하고 출금하여 다른 채권자들에게 지급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과 피해자 회사는 피해자 회사가 부담한 프린트 및 현상료를 피고인이 변제하지 아니할 경우 장래에 발생할 피플앤픽쳐스의 예금을 출금하여 위 변제에 충당할 의사로 위 은행통장 등을 주고받은 것으로 보이고, 이러한 경우 피고인으로서는 자신이 위 프린트 및 현상료를 변제할 때까지 피해자 회사가 위 예금채권에 대한 실질적인 담보권을 유지하고 나아가 피고인이 위 현상료 등을 변제하지 않는 경우에는 피해자 회사가 위 예금을 직접 출금할 수 있도록 협력해야 할 의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위 예금을 출금하여 소비함으로써 위 의무에 위배하여 피해자 회사에 손해를 가하였으므로 이는 배임죄를 구성한다고 판단하였다.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로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 위반이나 심리미진 또는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김능환(주심) 민일영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영화 투자금과 배임죄, 그 미묘한 경계

영화 투자를 받은 회사가 투자금 회수 보장을 위해 다른 영화의 배급권을 담보로 제공했는데, 그 배급권을 제3자에게 양도한 행위가 배임죄에 해당하는지 여부가 쟁점입니다. 대법원은 단순히 '양도담보'라는 이름만으로 배임죄의 주체인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에 해당한다고 볼 수 없으며, 실질적인 신임관계와 재산 보호/관리 의무 존재 여부를 따져봐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영화투자#배임죄#양도담보#신임관계

형사판례

주식 양도담보 설정자가 담보물을 처분해도 배임죄가 될까?

돈을 빌리면서 주식을 담보로 제공한 사람이 그 주식을 처분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양도담보#배임죄#주식 처분#타인의 사무

형사판례

아파트 분양수입금 유용, 배임죄일까?

아파트 시행사가 시공사와 분양수입금을 공동계좌로 관리, 공사대금으로 지급하기로 약속했지만 이를 어기고 다른 용도로 사용한 경우, 배임죄가 아닌 단순 민사상 채무불이행으로 본 판례.

#분양대금#배임죄#채무불이행#시행사

형사판례

회사 돈 함부로 쓰면 배임죄? 대표이사의 개인 빚보증, 회사에 손해를 끼쳤다면 유죄!

회사 대표가 회사 이름으로 돈을 빌려 개인적인 용도로 사용하고, 그로 인해 회사에 실질적인 손해가 발생하거나 발생할 위험이 있다면 배임죄가 성립한다. 단순히 회사 이름으로 빌렸다는 사실만으로는 부족하고, 회사에 실제로 손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하다.

#배임죄#회사자금#개인용도#실질적 손해

형사판례

돈 빌려주고 주식 담보로 받았는데, 채무자가 그 주식 팔아버렸다면? 배임죄일까?

돈을 빌려주고 채무자의 주식을 담보로 받은 경우, 채무자가 그 주식을 다른 사람에게 또 담보로 제공하더라도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 돈을 빌려준 채권자 입장에서는 손해를 입을 수 있지만, 채무자는 채권자의 '일'을 대신 처리하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식담보#이중담보#배임죄#불성립

형사판례

회사 돈으로 주식 투자하면 배임죄일까? 회사 대표의 주가조작과 배임죄

회사 대표가 회사 돈으로 주가조작 자금을 대납한 경우, 그 행위가 회사에 손해를 끼칠 위험이 없다면 배임죄로 처벌할 수 없다는 대법원 판결입니다. 또한, 주가조작에 가담하지 않은 제3자의 이익은 부당이득으로 볼 수 없으며, 돈을 빌려준 것만으로는 납입가장죄의 공범으로 처벌할 수 없다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주가조작#배임죄#대법원#회사자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