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절도)

사건번호:

2010도973

선고일자:

2010042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소년법 제67조의 규정 취지 및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5항의 적용 요건인 과거 전과로서의 징역형에 ‘소년범’으로서 처벌받은 징역형도 포함되는지 여부(적극) [2] 절도죄의 소년범으로서 1회, 성인범으로서 2회 각 징역형을 선고받아 그 집행을 종료한 후 누범기간 중에 다시 절도범행을 저지른 경우,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5항에 해당한다고 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2010. 3. 31. 법률 제10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의4 제5항, 소년법 제67조 / [2] 구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2010. 3. 31. 법률 제1021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의4 제5항, 소년법 제67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변 호 인】 변호사 임소정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09. 12. 30. 선고 2009노331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피고인 및 국선변호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살펴본다. 1. 소년법 제67조는 “소년이었을 때 범한 죄에 의하여 형을 선고받은 자가 그 집행을 종료하거나 면제받은 경우 자격에 관한 법령을 적용할 때에는 장래에 향하여 형의 선고를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규정은「사람의 자격」에 관한 법령의 적용에 있어 장래에 향하여 형의 선고를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는 취지에 불과할 뿐 전과까지 소멸한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5항을 적용하기 위한 요건으로서 요구되는 과거 전과로서의 징역형에는 소년으로서 처벌받은 징역형도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2. 원심은, 피고인이 1997. 9. 26.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특수절도죄로 징역 장기 1년 2월, 단기 8월을 선고받고, 2003. 6. 26.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절도죄 등으로 징역 6월을 선고받고, 2006. 11. 23. 같은 법원에서 야간주거침입절도죄 등으로 징역 10월을 선고받아 2007. 8. 5. 그 형의 집행을 종료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피고인이 누범기간 중에 다시 이 사건 범행을 저질렀으므로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5항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는바,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정당한 것으로 수긍되고, 거기에 소년법 제67조 및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제5조의4 제5항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 김능환 민일영(주심)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상습절도 전과도 가중처벌 대상이 될까? -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절도죄 가중처벌 요건

세 번 이상 절도죄로 징역형을 받은 사람이 또 절도를 저지르면 가중처벌하는데, 이때 '징역형'에 상습절도로 받은 징역형도 포함된다는 대법원 판결.

#상습절도#가중처벌#특정범죄가중처벌법#징역형

형사판례

절도 전과가 있는 누범의 추가 절도, 상습절도로 처벌할 수 없다?

단순 절도죄가 아닌 가중처벌 요건을 갖춘 절도죄로 유죄 판결을 받았더라도, 그 판결이 상습절도죄에 대한 판결은 아니므로 이전 판결의 효력이 이후 저지른 절도죄에는 미치지 않는다.

#절도죄 가중처벌#상습절도#기판력#면소

형사판례

상습절도범에 대한 가중처벌, 어떻게 적용될까요?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에 따른 가중 후 형법상 누범가중까지 가능하다.

#특정범죄가중처벌법#누범가중#이중가중#상습범

형사판례

소년범에게 형법 제35조가 적용되는지에 대한 판결 이야기

술에 취한 소년범에게 형법상 심신미약(형법 제35조) 감경을 적용할 수 있고, 소년법상 감경(소년법 제60조 제2항)과 별개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소년이었을 때 선고된 부정기형은 성인이 된 이후에도 유효하다.

#소년범#심신미약#형법 제35조#소년법 제60조

형사판례

상습절도범에 대한 더욱 강력한 처벌, 어떻게 적용될까요?

상습적으로 절도를 저지르는 사람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는 특정범죄가중법 조항은, 단순히 기존 누범 가중 규정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가중처벌 규정을 새롭게 만든 것이므로, 이 조항으로 처벌한 후에 다시 누범 가중까지 적용해야 한다는 판결.

#상습절도#가중처벌#누범가중#특정범죄가중법

형사판례

강도죄 누범, 가중처벌의 조건은?

상습 강도 등 특정 범죄를 저지른 누범에 대한 가중처벌은 이전 범죄와 같은 종류의 범죄를 저질렀을 때만 적용됩니다. 단순히 과거에 유사한 범죄를 저질렀다고 해서 무조건 가중처벌되는 것은 아닙니다.

#특정범죄가중법#누범가중처벌#동종범죄#징역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