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시행인가처분취소

사건번호:

2010두1248

선고일자:

20101209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이 수립한 사업시행계획을 인가하는 행정청의 행위의 법적 성질(=보충행위) 및 인가처분에 흠이 없는 경우 기본행위의 무효를 내세워 인가처분의 취소 또는 무효확인을 구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2]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이 사업시행계획을 변경하면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의 동의요건을 갖추지 않았다는 흠을 이유로 사업시행인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경우, 법원이 위 정비사업조합을 새로운 피고로 하여 사업시행계획 자체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으로의 경정 여부에 대한 석명권을 행사하여 적법한 소송형태를 갖추도록 했어야 함에도, 위 사업시행인가처분이 위법하다고 판단한 원심판결에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1]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7. 12. 21. 법률 제878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8조 / [2] 구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7. 12. 21. 법률 제878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16조 제1항, 제28조 제1항

참조판례

[1] 대법원 2001. 12. 11. 선고 2001두7541 판결(공2002상, 304),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7두16691 판결(공2008상, 237)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청장 【피고보조참가인, 상고인】 범천1-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로앤로 담당변호사 강창옥 외 3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09. 12. 4. 선고 2009누381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피고 및 피고보조참가인의 각 상고이유를 함께 본다. 구「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2007. 12. 21. 법률 제8785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도정법’이라 한다)에 기초하여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이 수립한 사업시행계획은 그것이 인가·고시를 통해 확정되면 이해관계인에 대한 구속적 행정계획으로서 독립된 행정처분에 해당하므로( 대법원 2009. 11. 2.자 2009마596 결정 참조), 사업시행계획을 인가하는 행정청의 행위는 도시환경정비사업조합의 사업시행계획에 대한 법률상의 효력을 완성시키는 보충행위에 해당한다( 대법원 2008. 1. 10. 선고 2007두16691 판결 참조). 따라서 기본행위가 적법·유효하고 보충행위인 인가처분 자체에만 하자가 있다면 그 인가처분의 무효나 취소를 주장할 수 있다고 할 것이지만, 인가처분에 하자가 없다면 기본행위에 하자가 있다 하더라도 따로 그 기본행위의 하자를 다투는 것은 별론으로 하고 기본행위의 무효를 내세워 바로 그에 대한 인가처분의 취소 또는 무효확인을 구할 수 없다( 대법원 2001. 12. 11. 선고 2001두7541 판결 등 참조). 원심은, 이 사건 사업시행인가처분에 취소되어야 하는 위법 사유가 있다는 원고들의 주장 가운데, 피고보조참가인(이하 ‘참가인’이라고만 한다)이 원고들로부터 조합설립동의를 받기 위한 사업계획서에는 19평형과 25평형대 아파트의 건축계획이 포함되어 있었으나, 그 후 참가인이 이 사건 사업시행인가 신청을 함에 있어서는 위와 같은 저 평형대가 모두 36평형 이상의 고 평형대로 변경된 내용의 사업시행계획서를 작성하였는바, 이러한 사업계획의 변경은 조합설립 동의내용을 변경하는 것에 해당하므로 참가인은 도정법 제16조 제1항에 따라 토지 등 소유자의 5분의 4 이상의 동의를 얻어 조합설립변경인가를 받아야 함에도 이러한 절차를 거치지 않았고, 피고가 위와 같은 하자를 간과한 채 이 사건 사업시행인가처분을 하였다는 주장을 받아들여, 이 사건 사업시행인가처분이 위법하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고들의 위와 같은 주장을 포함하여 원심판결에 나타난 원고들의 주장들은 모두 도정법상 각종 동의요건의 불비를 문제 삼아 이 사건 사업시행인가처분의 기본행위인 사업시행계획의 하자를 다투는 것이어서, 그에 대한 인가처분의 취소를 구하는 사유가 되지 못한다 할 것이다. 원심법원으로서는 원고들의 주장에 대하여 참가인을 새로운 피고로 하여 이 사건 사업시행계획 자체의 취소를 구하는 소송으로의 경정 여부에 대한 석명권을 적절하게 행사하여 적법한 소송형태를 갖추도록 하였어야 할 것이다. 원심판결에는 보충적 행정행위인 사업시행인가처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다. 원심판결에 위와 같은 위법이 있다고 보아 이를 파기하는 이상 피고의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하여는 더 나아가 살펴볼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양승태 김지형(주심) 전수안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재건축 사업시행계획 인가 후,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재건축조합의 사업시행계획이 인가·고시되면, 그 계획에 대한 이의는 행정소송(취소소송 또는 무효확인소송)으로 제기해야 하고, 사업 진행을 막으려면 행정소송법상 집행정지를 신청해야 합니다. 민사소송(확인소송, 가처분)으로는 다툴 수 없습니다.

#재건축#사업시행계획#인가#행정소송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그 쟁점과 판단 기준

재개발 조합의 관리처분계획 인가는 조합 계획에 효력을 부여하는 보충행위이므로, 인가 자체에 문제가 없다면 계획 수립 과정의 하자만으로 인가를 무효화할 수 없다. 또한 조합 설립 인가가 무효가 되면 기존 관리처분계획도 효력을 잃고, 새로운 분양신청 절차를 거쳐 다시 관리처분계획을 수립해야 하지만, 예외적인 경우 종전 분양신청 현황을 활용할 수 있다.

#재개발#관리처분계획#인가처분#효력

일반행정판례

조합 없는 재개발, 사업시행계획과 인가는 별개!

토지 소유자들이 조합을 만들지 않고 직접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할 때, 사업시행계획은 행정처분이 아니며, 사업시행인가를 받아야 비로소 행정주체로서 사업을 진행할 권한을 갖게 된다.

#조합 없는 도시환경정비사업#사업시행인가#사업시행계획#행정처분

생활법률

재건축/재개발 사업시행계획 인가, 꼼꼼하게 알아보기!

재건축 사업시행계획 인가는 서류공람 및 의견청취를 통해 투명성을 확보하고, 인가 내용 고시로 공식화하며, 경미한 변경 사항은 간소화된 절차로 진행하여 사업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단계이다.

#재건축#사업시행계획#인가#서류공람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관리처분계획 인가, 어디까지 다툴 수 있을까?

재개발 관리처분계획에 하자가 있더라도, 구청의 인가처분 자체에 문제가 없다면 인가처분을 취소할 수 없다. 계획의 하자는 별도로 다퉈야 한다.

#재개발#관리처분계획#인가처분#취소소송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사업에서 관리처분계획과 인가, 뭐가 더 중요할까?

재개발 관리처분계획에 문제가 있어도, 구청의 인가처분 자체에 문제가 없다면 인가처분 취소소송을 낼 수 없다. 계획 자체의 문제는 별도로 다퉈야 한다.

#도시재개발#관리처분계획#인가처분#취소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