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충 녹지 지정의 해제 신청 거부 처분의 취소

사건번호:

2010두5806

선고일자:

201201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1] 행정주체가 구체적인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할 때 가지는 형성의 자유의 한계에 관한 법리가 주민의 입안 제안 또는 변경신청을 받아들여 도시관리계획결정을 하거나 도시계획시설을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에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여부(적극) [2] 甲 등이 자신들의 토지를 도시계획시설인 완충녹지에서 해제하여 달라는 신청을 하였으나 관할 구청장이 이를 거부하는 처분을 한 사안에서, 위 처분은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하면서 이익형량을 전혀 하지 않았거나 이익형량의 정당성·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행정주체가 구체적인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할 때에 가지는 비교적 광범위한 형성의 자유는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행정계획에 관련되는 자들의 이익을 공익과 사익 사이에서는 물론이고 공익 상호 간과 사익 상호 간에도 정당하게 비교교량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있는 것이므로, 행정주체가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하면서 이익형량을 전혀 행하지 않거나 이익형량의 고려 대상에 마땅히 포함시켜야 할 사항을 빠뜨린 경우 또는 이익형량을 하였으나 정당성과 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는 행정계획결정은 형량에 하자가 있어 위법하게 된다. 이러한 법리는 행정주체가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에 의한 주민의 도시관리계획 입안 제안을 받아들여 도시관리계획결정을 할 것인지를 결정할 때에도 마찬가지이고, 나아가 도시계획시설구역 내 토지 등을 소유하고 있는 주민이 장기간 집행되지 아니한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권자에게 도시계획시설의 변경을 신청하고, 결정권자가 이러한 신청을 받아들여 도시계획시설을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2] 甲 등이 자신들의 토지를 도시계획시설인 완충녹지에서 해제하여 달라는 신청을 하였으나 관할 구청장이 이를 거부하는 처분을 한 사안에서, 위 토지를 완충녹지로 유지해야 할 공익상 필요성이 소멸되었다고 볼 수 있다는 이유로, 위 처분은 甲 등의 재산권 행사를 과도하게 제한한 것으로서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하면서 이익형량을 전혀 하지 않았거나 이익형량의 정당성·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 해당한다고 본 원심판단을 정당하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27조,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 [2] 행정소송법 제27조,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6. 11. 29. 선고 96누8567 판결(공1997상, 210), 대법원 2007. 4. 12. 선고 2005두1893 판결(공2007상, 711), 대법원 2011. 2. 24. 선고 2010두21464 판결(공2011상, 657)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고양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티엘비에스(TLBS) 담당변호사 이덕재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0. 2. 10. 선고 2009누18631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행정계획이라 함은 행정에 관한 전문적·기술적 판단을 기초로 하여 도시의 건설·정비·개량 등과 같은 특정한 행정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서로 관련되는 행정수단을 종합·조정함으로써 장래의 일정한 시점에 있어서 일정한 질서를 실현하기 위한 활동기준으로 설정된 것으로서, 관계 법령에는 추상적인 행정목표와 절차만이 규정되어 있을 뿐 행정계획의 내용에 관하여는 별다른 규정을 두고 있지 않아 행정주체는 구체적인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함에 있어서 비교적 광범위한 형성의 자유를 가진다. 다만 행정주체가 가지는 이와 같은 형성의 자유는 무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그 행정계획에 관련되는 자들의 이익을 공익과 사익 사이에서는 물론이고 공익 상호 간과 사익 상호 간에도 정당하게 비교교량하여야 한다는 제한이 있으므로, 행정주체가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함에 있어서 이익형량을 전혀 행하지 아니하거나 이익형량의 고려 대상에 마땅히 포함시켜야 할 사항을 누락한 경우 또는 이익형량을 하였으나 정당성과 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는 그 행정계획결정은 형량에 하자가 있어 위법하게 된다( 대법원 1996. 11. 29. 선고 96누8567 판결, 대법원 2011. 2. 24. 선고 2010두21464 판결 등 참조). 위와 같은 법리는 행정주체가 구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2009. 2. 6. 법률 제9442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26조에 의한 주민의 도시관리계획 입안 제안에 대하여 이를 받아들여 도시관리계획결정을 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고 ( 대법원 2010. 2. 11. 선고 2009두16978 판결, 대법원 2010. 3. 25. 선고 2009두21499 판결 등 참조), 나아가 도시계획시설구역 내 토지 등을 소유하고 있는 주민이 장기간 집행되지 아니한 도시계획시설의 결정권자에 대하여 도시계획시설의 변경을 신청하고, 그 결정권자가 이러한 신청을 받아들여 도시계획시설을 변경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보아야 한다. 2. 원심은 그 채택 증거를 종합하여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토지를 도시계획시설인 완충녹지로 유지해야 할 공익상의 필요성이 소멸하였다고 볼 수 있으므로 이 사건 토지를 완충녹지에서 해제하여 달라는 원고들의 신청을 거부한 이 사건 처분은 원고들의 재산권 행사를 과도하게 제한한 것으로서, 행정계획을 입안·결정함에 있어 이익형량을 전혀 행하지 아니하였거나 이익형량의 정당성·객관성이 결여된 경우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다. 위 법리 및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은 행정계획에서의 재량권 일탈·남용에 관한 법리오해 및 논리와 경험칙에 위배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 사실을 인정한 위법 등이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신영철(재판장) 박일환(주심) 박병대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사업승인과 도시계획, 따로 봐야 할까요? 같이 봐야 할까요?

주택건설사업 승인 시 함께 처리되는 도시계획 변경은 단순한 고지가 아니라 별도의 행정처분으로, 그 효력은 지형도면 고시 후 발생합니다. 따라서 지형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토지에 대한 도시계획 변경은 무효입니다.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의제#도시계획변경#지형도면고시

일반행정판례

도시계획시설 변경, 나도 요구할 수 있을까?

도시계획시설 결정에 이해관계가 있는 주민은 도시계획 변경을 신청할 권리가 있으며, 행정청이 이를 거부하는 것은 행정소송의 대상이 되는 행정처분이다.

#도시계획시설 변경 신청권#조리상 신청권#행정처분#재산권 보장

일반행정판례

민간공원 특례사업, 제안 수용 취소도 가능할까?

A회사가 공원을 조성하고 아파트를 지어 이익을 얻는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제안했고, 시에서 처음에는 받아들였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부결되어 시에서 제안 수용을 취소했습니다. A회사는 이에 불복했지만, 대법원은 공익을 위해 취소가 적법하다고 판결했습니다.

#민간공원 특례사업#제안 수용 취소#적법성#공익

일반행정판례

완충녹지 해제 약속, 시민의 신뢰를 저버린 안산시

안산시가 도시계획사업 준공 후 완충녹지를 해제하고 토지 소유자에게 다시 팔겠다고 약속했지만, 이를 어기고 환매를 거부한 것은 잘못이라는 판결.

#안산시#완충녹지#해제#환매

일반행정판례

공원 부지 수용 보상, 녹지 제한 고려해야 할까?

오랫동안 공원으로 지정된 땅을 수용할 때, 녹지라는 이유로 가격을 낮춰 보상하는 것은 부당하다.

#공원 부지 수용#보상#녹지 제한 배제#대법원 판결

일반행정판례

공원 부지, 내 땅인데 왜 마음대로 못 쓸까요? - 행정계획과 토지 소유주의 권리

오랫동안 도시자연공원으로 지정된 토지에 대해, 토지 소유자가 공원 지정 해제를 요청했으나 서울시가 거부한 처분의 적법성 여부를 다룬 판례입니다. 대법원은 원심(서울고등법원)이 공익과 사익의 균형을 제대로 고려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사건을 다시 심리하도록 원심에 돌려보냈습니다.

#도시자연공원#재산권#공익#사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