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보수보증금 등·하자보수보증금 등

사건번호:

2011다55917,55924

선고일자:

20120413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건물 건축주 겸 분양자인 甲 주식회사가 수분양자들과 오피스텔 공급계약을 체결할 당시 甲 회사에게서 건물 건축공사를 도급받은 乙 주식회사가 책임시공자로서 시공상 하자에 대하여 공동주택관리령 규정에 의하여 보수책임을 지는 것으로 약정한 사안에서, 乙 회사가 수분양자들에게 구 주택건설촉진법 및 구 주택법에서 정한 하자보수책임 외에 하자보수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책임까지 부담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한 원심판단을 수긍한 사례

판결요지

참조조문

민법 제105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상고인】 서면베르빌관리단 (소송대리인 변호사 강문종) 【피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대교디앤에스 【피고보조참가인】 주식회사 신대신건설 (소송대리인 법무법인(유한) 태평양 담당변호사 최병호 외 1인) 【원심판결】 부산고법 2011. 6. 14. 선고 2009나20178, 20185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이 사건 건물의 건축주 겸 분양자인 대해종합건설 주식회사가 수분양자들과 각 오피스텔 공급계약을 체결할 당시 대해종합건설로부터 이 사건 건물의 건축공사를 도급받은 주식회사 건설알포메가 책임시공자로서 건물의 시공상 하자에 대하여 공동주택관리령의 규정에 의하여 보수책임을 지는 것으로 약정한 점은 인정되지만, 위 약정의 내용이 주식회사 건설알포메가 수분양자들에게 구 주택건설촉진법(2003. 5. 29. 법률 제6916호 주택법으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및 구 주택법(2005. 5. 26. 법률 제7520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에서 정한 하자보수책임을 부담하는 것 외에 하자보수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책임까지 부담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고 하여, 수분양자들로부터 손해배상채권을 양수한 원고가 주식회사 건설알포메를 흡수합병한 피고에 대하여 건축물의 하자에 갈음하는 손해배상을 구하는 이 사건 청구를 기각하였다.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여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이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위배하고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나거나, 법률행위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위법이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병대(재판장) 김능환 안대희(주심) 이인복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 시공사에 보수 책임 물을 수 있을까?

아파트에 하자가 있을 때, 분양사에 대한 시공사의 하자 보수 의무가 시효로 소멸됐더라도 입주자는 여전히 시공사에게 직접 하자 보수를 요구할 수 있다.

#아파트 하자보수#시공사 책임#시효 소멸#입주자 권리

민사판례

아파트 시공사의 하자담보책임, 누구에게 물어야 할까?

아파트 시공사가 분양에도 관여하지 않은 경우, 시공사의 하자담보책임은 집합건물법이 아닌 상법에 따라 5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아파트#시공사#하자담보책임#분양계약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누구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까요?

아파트 하자 발생 시, 분양사는 하자보수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만, 시공사는 직접적인 책임을 지지 않는다. 단, 분양사는 과거 법령에 따라 책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아파트 하자보수#손해배상 책임#시공사#분양사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시공사 부도나면 누가 책임질까? 보증회사와의 관계는?

건설공사에서 하자가 발생했을 때, 하자보수보증금은 손해배상액의 일부로 봐야 하며, 실제 손해가 더 크면 추가 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또한, 잘못의 비율을 따져 손해배상액을 조정할 수 있는데, 이 비율은 법원이 판단한다.

#하자보수보증금#손해배상#과실상계#보증책임

일반행정판례

아파트 시공사, 모든 하자 보수 책임 없을 수도 있다?

건축물에 법 위반 사항이 있을 때, 행정기관은 시정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무에게나 명령을 내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실제로 그 위반 사항을 고칠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 명령을 내려야 효력이 있습니다.

#건축법 위반#시정명령#권한#건설사

민사판례

아파트 하자보수, 누구에게 책임이 있을까?

아파트 하자에 대한 건설사의 보수 책임은 현재 소유자에게 있으며, 보수 청구 기간은 법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권리를 행사해야 하는 제척기간임을 명확히 한 판례입니다. 또한, 주택 관련 다른 법령에서 정한 하자 보수 기간은 이 제척기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아파트 하자#보수 책임#제척기간#집합건물법 제9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