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해배상(자)

사건번호:

2012다87263

선고일자:

20140327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2인 이상의 공동불법행위로 인하여 호의동승한 사람이 피해를 입은 경우, 동승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액을 산정하는 방법

판결요지

2인 이상의 공동불법행위로 인하여 호의동승한 사람이 피해를 입은 경우, 공동불법행위자 상호 간의 내부관계에서는 일정한 부담 부분이 있으나 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부진정연대책임을 지므로, 동승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액을 산정할 때에는 먼저 호의동승으로 인한 감액 비율을 참작하여 공동불법행위자들이 동승자에 대하여 배상하여야 할 수액을 정하여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393조, 제424조, 제760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95. 10. 12. 선고 93다31078 판결(공1995하, 3720)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메리츠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소명 담당변호사 전재중 외 5인) 【피고보조참가인】 한화손해보험 주식회사 【원심판결】 광주지법 2012. 9. 7. 선고 2012나414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광주지방법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살펴본다. 1.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① 소외 1이 운전하던 차량과 소외 2가 운전하던 차량이 두 운전자의 공동 과실로 서로 충돌하였고, 그로 인하여 위 소외 2 운전의 차량에 타고 있던 소외 3이 사망한 사실, ② 원고는 망인의 어머니로서 단독 상속인이고, 피고는 위 소외 1 운전 차량에 관한 보험자인 사실, ③ 망인과 소외 2는 사고 당시 연인 사이로서 벚꽃구경을 가자는 망인의 요구에 따라 함께 벚꽃구경을 가던 중 위와 같은 사고가 발생한 사실을 인정한 다음, 위 소외 2 차량의 운행목적, 망인과 소외 2의 인적 관계, 망인의 동승 경위 등에 비추어 볼 때 소외 2에게 망인의 사망과 관련한 전적인 책임을 지우는 것은 신의칙이나 형평의 원칙상 불합리하므로 소외 2 측에게는 호의동승으로 인한 책임제한을 인정할 수 있으나, 그와 같은 호의동승에 의한 책임제한은 망인과 소외 2 사이의 인적, 내부적 관계에 기한 것인 만큼 원칙적으로 상대적 효력만이 있을 뿐이어서 상대방 차량 운전자인 소외 1이나 그 보험자인 피고에게까지 호의동승으로 인한 책임제한을 인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수긍하기 어렵다. 2인 이상의 공동불법행위로 인하여 호의동승한 사람이 피해를 입은 경우, 공동불법행위자 상호 간의 내부관계에서는 일정한 부담 부분이 있으나 피해자에 대한 관계에서는 부진정연대책임을 지므로, 동승자가 입은 손해에 대한 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먼저 호의동승으로 인한 감액 비율을 참작하여 공동불법행위자들이 동승자에 대하여 배상하여야 할 수액을 정하여야 한다.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이 사건에서 망인의 사망과 관련한 공동불법행위자들인 소외 2와 소외 1이 부담할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서도 먼저 망인의 호의동승으로 인한 감액 비율을 고려하여 두 사람이 원고에 대한 관계에서 연대하여 부담하여야 할 손해액을 산정하여야 하고, 그 당연한 귀결로서 위와 같은 책임제한은 동승 차량 운전자인 소외 2뿐만 아니라 상대방 차량 운전자인 소외 1 및 그 보험자인 피고에게도 적용된다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은 위와 같이 호의동승으로 인한 책임제한이 소외 2에게만 적용된다고 판단하였는바, 이는 공동불법행위에 있어 호의동승의 책임제한과 관련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단을 그르친 것이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보영(재판장) 민일영(주심) 이인복 김신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 책임은 어떻게 나뉘나요?

무료로 차에 태워준 경우라도 동승자가 사고를 당하면 운전자에게 배상 책임이 있지만, 상황에 따라 책임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차량과의 사고로 동승자가 다쳤다면, 운전자와 다른 차량 운전자 모두 책임을 지지만, 그 책임의 비율은 사고 상황과 각자의 과실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호의동승#교통사고#운전자 책임#공동불법행위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 나면 책임은 누구에게?

단순히 호의로 차에 태워줬다는 사실만으로 동승자가 사고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동승 경위, 동승자가 사고에 영향을 미친 정도 등을 고려하여 책임 범위를 정할 수 있다.

#호의동승#책임#운행자#사고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와 연차휴가수당

무료로 차에 태워줬다고 해서 동승자가 운전자에게 안전운전을 요구할 의무는 없으며, 호의동승 사고의 경우 운전자의 책임을 줄여줄 수 있다. 또한, 연차휴가수당을 미래에 받을 수 있을 것이 확실한 경우에만 손해배상액에 포함할 수 있다.

#호의동승#책임감경#연차휴가수당#손해배상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 배상과 휴가수당 계산, 알고 계셨나요?

호의동승 사고에서 운전자의 배상 책임 감경 요건과 사망사고 손해배상 산정 시 연·월차휴가수당을 포함할 수 있는 요건에 대한 판결입니다. 단순히 호의동승이라는 사실만으로 배상책임을 줄일 수 없고, 휴가수당도 회사 사정상 실제로 휴가 대신 지급하는 것이 관례적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만 손해배상액에 포함할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호의동승#배상책임#휴가수당#손해배상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 운전자 책임은 무조건 100%일까?

무상으로 친구를 태워주다 사고가 났을 경우, 단순히 호의동승이라는 이유만으로 운전자의 책임을 줄여줄 수는 없지만, 동승자의 부탁으로 운행하게 되었고 동승자에게도 과실이 있는 등 여러 사정을 고려했을 때 운전자에게 일반 교통사고와 같은 책임을 묻는 것이 너무 가혹하다면 배상액을 줄여줄 수 있다.

#호의동승#교통사고#운전자 책임 감경#동승자 과실

민사판례

호의동승 사고와 퇴직금 배상에 대한 법원의 판단

무상으로 차에 태워준 경우 단순히 호의동승이라는 사실만으로는 사고 책임을 줄여줄 수 없으며, 사고 후 법이 바뀌어 퇴직금이 늘어났더라도 사고 당시 예상할 수 없었던 부분까지 배상할 필요는 없다.

#호의동승#퇴직금#배상범위#손해배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