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행정지

사건번호:

2012아43

선고일자:

20130328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결정

판시사항

[1] 행정소송법 제23조에 따른 행정처분의 집행정지는 본안소송이 제기되어 계속 중임을 요건으로 하는지 여부(적극) [2] 피참가인이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동의 없이 한 소취하의 효력(유효) 및 피참가인이 제기한 행정소송에 민사소송법의 준용에 의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를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1] 행정소송법 제23조 / [2] 민사소송법 제67조 제1항, 제78조, 제267조, 행정소송법 제8조 제2항

참조판례

[1] 대법원 1975. 11. 11. 선고 75누97 판결(공1975, 8702)

판례내용

【신 청 인】 【피신청인】 거여2재정비촉진구역1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광장 담당변호사 장찬익 외 2인) 【주 문】 이 사건 신청을 각하한다. 【신청취지】 피신청인이 2009. 2. 6. 서울특별시 송파구청장으로부터 인가받은 조합설립인가처분은 대법원 2011두16087호 조합설립인가무효확인등 사건의 판결 선고 시까지 그 효력을 정지한다. 【이 유】 1. 행정소송법 제23조에 의한 행정처분의 집행정지는 이에 대한 본안소송이 법원에 제기되어 계속 중임을 요건으로 한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75. 11. 11. 선고 75누97 판결 참조). 한편 민사소송법 제78조의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에는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민사소송법 제67조 제1항, 즉 “소송목적이 공동소송인 모두에게 합일적으로 확정되어야 할 공동소송의 경우에 공동소송인 가운데 한 사람의 소송행위는 모두의 이익을 위하여서만 효력을 가진다”고 한 규정이 준용되므로, 피참가인의 소송행위는 모두의 이익을 위하여서만 효력을 가지고, 그 반대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에게 불이익이 되는 것은 효력이 없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 공동소송적 보조참가는 그 성질상 필수적 공동소송 중에서는 이른바 유사필수적 공동소송에 준한다 할 것인데 유사필수적 공동소송의 경우에는 원고들 중 일부가 소를 취하하는 데 다른 공동소송인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없다. 또한 소취하는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할 수 있고 취하된 부분에 대해서는 소가 처음부터 계속되지 아니한 것으로 간주되며(민사소송법 제267조) 본안에 관한 종국판결이 선고된 경우에도 그 판결 역시 처음부터 존재하지 아니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이는 재판의 효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소송행위로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에게 불이익이 된다고 할 것도 아니다. 따라서 피참가인이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동의 없이 소를 취하하였다 하더라도 이는 유효하다. 그리고 이러한 법리는 피참가인이 제기한 행정소송에 민사소송법의 준용에 의한 공동소송적 보조참가를 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2. 기록에 의하면, 본안소송(대법원 2011두16087 사건)에서 원고가 피고 및 피고 보조참가인이 각 상고장을 제출한 이후인 2011. 5. 23. 원심법원에 소취하서를 제출하였고, 그 부본이 2011. 5. 26. 피고 소송대리인 및 피고 보조참가인 소송대리인에게, 같은 해 6. 2. 피고 본인에게 각 송달되었는데, 그로부터 2주가 경과할 때까지 피고나 피고 보조참가인이 이의를 제기하지 아니한 사실을 알 수 있는바, 이러한 사실관계를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이 사건 본안소송은 원고가 2011. 5. 23. 소를 취하하고, 피고의 동의가 간주됨으로써 종료되었다고 할 것이다. 3. 그러므로 이 사건 신청을 각하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결정한다. 대법관 양창수(재판장) 박병대 고영한(주심) 김창석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재개발 조합 설립 승인 취소 소송, 이미 조합 설립됐다면 소용없다?

재개발 조합 설립 전 단계인 추진위원회 승인처분에 대한 취소 소송 중에 조합 설립 인가가 나면, 추진위원회 승인처분 취소 소송은 더 이상 실익이 없어진다는 판결입니다. 즉, 이미 조합이 설립된 이상 추진위원회 승인처분을 취소해도 재개발 사업 진행을 막을 수 없으므로, 직접 조합설립인가처분을 다퉈야 한다는 것입니다.

#재개발#조합설립추진위원회#승인처분취소#조합설립인가

민사판례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 어떻게 다퉈야 할까?

재개발조합 설립 인가를 받은 후에는 조합 설립 결의 자체의 하자를 이유로 민사소송으로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없고, 행정소송으로 조합 설립 인가처분의 취소를 구해야 합니다. 만약 조합 설립 결의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민사소송을 제기했다면, 법원은 이를 행정소송으로 보고 행정법원으로 이송해야 합니다.

#재개발조합#설립인가#조합설립결의#무효확인소송

일반행정판례

주택조합 설립인가 취소, 절차적 문제로 위법 판결!

행정청이 주택조합 설립인가를 취소할 때에는 반드시 청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이를 어기면 위법한 처분이 된다는 판례입니다. 또한, 소송 과정에서 보조참가에 대한 이의가 있을 경우 법원은 판결 주문에 명확히 허가 여부를 기재해야 합니다.

#주택조합#설립인가취소#청문#보조참가

민사판례

재개발 조합과 주민의 분쟁, 법원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까?

재개발 조합의 결정이 무효라고 생각되는 경우, 꼭 행정소송을 통해서만 다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관련된 민사소송(예: 부동산 인도 소송)에서도 그 무효 주장을 할 수 있고, 법원은 그 주장의 타당성을 판단해야 합니다.

#재개발#조합결의#무효#민사소송

일반행정판례

재건축조합 설립인가, 취소할 수 있을까? - 무효인 조합설립행위에 대한 인가처분의 효력

옛 주택건설촉진법에 따라 설립된 재건축조합이라도,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시행 후 등기를 마치면 행정주체로 인정되고, 설립인가처분은 항고소송의 대상이 된다. 하지만, 애초에 설립 과정 자체가 무효였다면, 새 법이 시행되어도 설립인가처분은 여전히 무효이다.

#재건축조합#설립인가처분#행정주체#항고소송

일반행정판례

재개발조합 변경인가와 관련된 법적 분쟁 해설

재개발조합의 설립 변경인가를 둘러싼 분쟁에서, 법원은 변경인가 이후 후속 절차가 진행된 경우 이전 변경인가 취소에도 소의 이익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신고사항을 변경인가 형식으로 처리한 경우에도 총회 의결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쳐야 하며, 조합원의 비용 부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정관 변경은 법률에서 정한 의결 정족수를 지켜야 한다고 판시했습니다.

#재개발조합#변경인가#소의이익#신고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