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신고취소처분취소

사건번호:

2013두10533

선고일자:

20150212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건축법 제14조 제3항에서 정한 ‘공사 착수’로 보기 위한 요건 및 건물 신축의 준비행위에 해당하는 작업이나 공사를 개시한 것을 건축법 제14조 제3항에서 정한 ‘공사 착수’로 볼 수 있는지 여부(원칙적 소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건축법 제14조 제3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4. 12. 2. 선고 94누7058 판결(공1995상, 502)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삼환주택건설 주식회사 【피고, 상고인】 경상남도 양산시장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금정 담당변호사 강태현) 【원심판결】 부산고법 2013. 5. 10. 선고 2012누343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판단한다. 1. 원심은 채택 증거에 의하여, 원고는 2007. 10. 4. 이 사건 주택에 관한 건축신고를 하였고 피고가 이를 2007. 11. 20. 수리한 사실, 그 후 피고는 원고가 건축신고일부터 1년 이내에 공사에 착수하지 아니하였다는 이유로 2011. 1. 20. 위 건축신고를 취소하는 처분을 한 사실, 그런데 원고는 2008. 5. 20. 이 사건 주택 신축을 위한 부지 정지공사에 착수하여 2009. 6. 20. 공사를 대부분 완료하고, 2009. 10. 15.에는 이 사건 주택을 위한 정화조 설치공사를 마친 사실 등을 인정한 다음, 비록 원고가 이 사건 주택의 기초부분과 접하는 토지에 대한 터파기 공사는 하지 않았지만 건축신고일부터 1년 이내인 2008. 5. 20. 부지 정지공사를 시작하고 뒤이어 정화조 설치공사까지 시행함으로써 공사에 착수하였다고 할 것이므로, 위 취소 처분은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2. 그러나 원심의 이러한 판단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건축법 제14조 제3항은 ‘제1항에 따라 신고를 한 자가 신고일부터 1년 이내에 공사에 착수하지 아니하면 그 신고의 효력은 없어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여기서 건물의 신축 공사에 착수하였다고 보려면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신축하려는 건물에 관한 굴착이나 축조 등의 공사를 개시하여야 하므로, 기존 건물이나 시설 등의 철거, 벌목이나 수목 식재, 신축 건물의 부지 조성, 울타리 가설이나 진입로 개설 등 건물 신축의 준비행위에 해당하는 작업이나 공사를 개시한 것만으로는 공사 착수가 있었다고 할 수 없다고 할 것이다(대법원 1994. 12. 2. 선고 94누7058 판결 등 참조). 따라서 부지 정지공사나 정화조 설치공사를 하였다고 하더라도 곧이어 신축하려는 건물 자체에 관한 굴착 공사나 축조 공사 등을 시행하였다는 등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그러한 부지 정지공사나 정화조 설치공사만으로는 위 조항에서 정한 공사 착수가 있었다고 할 수 없다. 원심판결 이유와 기록에 의하면 원고는 2007. 10. 4. 건축신고를 하고도 2009. 10. 15.경까지 부지 정지공사와 정화조 설치공사만을 하였을 뿐, 2011. 1.경 피고가 이 사건 처분을 할 때까지 신축하려는 이 사건 주택 자체에 관한 굴착 공사나 축조 공사를 시행하지 아니하였음을 알 수 있으므로, 앞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원고가 건축신고일부터 1년 이내에 공사에 착수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그럼에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을 들어 원고가 이 사건 주택에 관하여 건축신고일부터 1년 이내에 공사에 착수하였다고 판단하였으므로,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건축법 제14조 제3항에서의 ‘공사 착수’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고,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에는 정당한 이유가 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고영한(재판장) 이인복(주심) 김용덕 김소영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건축공사 착수, 어디까지 해야 할까요?

건축 허가 후 기존 건물 철거 및 가설울타리 설치만 하고 실제 건물 굴착 공사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건축법상 공사 착수로 볼 수 없다.

#건축 공사 착수#굴착#건축 허가 취소#기각

일반행정판례

건축허가 취소, 착공 했는데 왜 취소될까?

건축허가를 받고 1년 안에 공사를 시작하지 않으면 허가가 취소될 수 있지만, 이미 공사를 시작했거나 공사를 시작하려 했는데 허가권자가 부당하게 막은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허가를 취소할 수 없다. 또한, 공사 착수는 단순 준비작업이 아닌 실제 건축 행위를 의미한다.

#건축허가#공사 착수#착수기간#허가취소

생활법률

건축 착공신고, 꼼꼼하게 알아보고 시작하세요!

건축 허가/신고 후 착공 전, 착공신고서와 관련 서류를 허가권자에게 제출해야 하며, 미신고 시 벌금 부과, 특정 건축물은 건설사업자 시공 필수, 석면 사전 제거, 착공 연기 가능 등 규정을 준수해야 안전하고 합법적인 건축 공사가 가능하다.

#착공신고#건축허가#건축신고#착공신고서

생활법률

건축 착공신고, 꼼꼼하게 준비해서 벌금 피하자!

건축 허가/신고 후 공사 시작 전 착공신고를 해야 하며, 미신고 시 벌금 부과되고, 신고 시 필요서류(계약서, 설계도서, 감리계약서, 보험증서 등)를 첨부하여 허가권자에 제출해야 합니다.

#착공신고#건축허가#건축신고#벌금

일반행정판례

건축신고, 그냥 하면 되는 게 아니라고?

건축신고 시 다른 법률에 따른 허가(예: 개발행위허가)가 의제되는 경우에도, 해당 허가의 실체적 요건을 충족해야 신고가 유효합니다. 행정청은 요건 충족 여부를 심사하고 수리 여부를 결정할 권한이 있습니다.

#건축신고#허가의제#요건심사#수리거부

세무판례

건물 신축 중단과 비업무용 부동산 판단 기준

건설회사가 건물 신축을 위해 토지를 샀지만 계획 변경 등으로 공사가 중단된 경우, 그 토지가 세금 혜택을 받지 못하는 '비업무용 부동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회사가 공사 중단에 대해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를 따져봐야 한다는 판례입니다. 단순히 계획을 바꿨다는 사실만으로는 정당한 사유가 인정되지 않으며, 회사가 **정상적인 노력**을 다했는지 꼼꼼히 살펴봐야 합니다.

#건축공사 중단#비업무용 부동산#정당한 사유#정상적인 노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