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이의

사건번호:

2014다83142

선고일자:

20150326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물상보증의 경우에도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 적용되는지 여부(소극)

판결요지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하 ‘보증인보호법’이라 한다)의 목적 및 보증인보호법 제2조 제1호, 제2호의 문언에 비추어 볼 때, 보증인보호법은 민법 제429조 제1항에 따른 보증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적용될 뿐 타인의 채무에 대하여 담보물의 한도 내에서 책임을 지는 물상보증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

참조조문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 제1조, 제2조 제1호, 제2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선정당사자),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원심판결】 창원지법 2014. 10. 21. 선고 2013나372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선정당사자) 및 선정자 2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근저당권설정계약서의 위조 및 피담보채권의 부존재 주장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가 원심판시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서를 위조하였다거나 이 사건 근저당권의 피담보채권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인정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하였는바, 관련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이 가고, 거기에 논리와 경험의 법칙에 반하여 자유심증주의의 한계를 벗어난 잘못이 없다. 2.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의 적용 주장에 관하여 보증인 보호를 위한 특별법(이하 ‘보증인보호법’이라 한다) 제1조는 보증인보호법은 보증에 관하여 민법에 대한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아무런 대가 없이 호의로 이루어지는 보증인의 경제적·정신적 피해를 방지하고, 금전채무에 대한 합리적인 보증계약의 관행을 확립함으로써 신용사회 정착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2조 제1호는 ‘보증인이란 민법 제429조 제1항에 따른 보증채무를 부담하는 자’를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조 제2호는 “보증계약이란 그 형식이나 명칭에 관계없이 채무자가 채권자에 대한 금전채무를 이행하지 아니하는 경우에 보증인이 그 채무를 이행하기로 하는 채권자와 보증인 사이의 계약을 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보증인보호법의 목적 및 문언에 비추어 볼 때, 보증인보호법은 민법 제429조 제1항에 따른 보증채무를 부담하는 경우에 적용될 뿐 타인의 채무에 대하여 그 담보물의 한도 내에서 책임을 지는 물상보증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다. 이 사건에서 원심이,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이 보증인보호법에서 정한 보증계약에 해당함을 전제로 이 사건 근저당권설정계약은 보증인보호법 제3조 제1항이 정한 방식을 갖추지 못하여 무효라는 원고의 주장을 배척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보증인보호법의 적용 대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결론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별 지] 선정자 명단: 생략] 대법관 김신(재판장) 민일영(주심) 박보영 권순일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내 부동산이 남의 빚 담보가 된다고?! 근저당 설정과 보증의 관계

돈을 빌린 사람이 아닌 제3자가 자신의 부동산에 근저당을 설정해 준 경우, 이것이 채무에 대한 보증으로 볼 수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담보를 제공한 것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니다. 이 판례는 근저당 설정만으로는 보증 의사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했습니다.

#근저당#보증#담보#제3자

민사판례

내 부동산은 내가 지킨다! 공동보증, 물상보증인의 권리

여러 명의 물상보증인이 있는 경우, 한 명의 보증인 부동산이 먼저 경매되어 빚을 갚으면, 그 보증인은 다른 보증인의 부동산에 대한 1순위 저당권을 가져오고, 먼저 경매된 부동산의 후순위 저당권자는 그 1순위 저당권을 통해 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는 내용입니다.

#공동저당#물상보증인#변제자대위#물상대위

민사판례

내 부동산은 내가 지킨다! 물상보증인의 권리와 한계

채무자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에 공동저당이 설정된 경우, 물상보증인의 부동산이 먼저 경매되어 채권이 변제되면, 물상보증인은 채무자에게 구상권을 행사하고 채무자 부동산의 선순위저당권을 대위취득합니다. 이때, 물상보증인 부동산의 후순위저당권자는 물상보증인이 대위취득한 저당권에 대해 물상대위를 행사할 수 있으며, 채무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물상보증인에 대한 반대채권으로 후순위저당권자에게 대항할 수 없습니다.

#물상보증인#구상권#후순위저당권#물상대위

민사판례

근저당 설정된 부동산보다 보증인의 권리가 우선할까?

채무자가 근저당 설정된 부동산 외 다른 재산을 처분했을 때, 채권자가 이미 근저당을 통해 채권 전액 회수가 가능하다면, 보증인은 사해행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없다.

#근저당권#사해행위취소소송#보증인#채권회수

민사판례

물상보증인의 채무인수와 근저당권의 범위

땅 주인 A가 빚 보증을 서면서 빚을 갚겠다고 약속하고, 그에 따라 빚 문서에 이름을 바꿔 적었더라도, 나중에 새로 생긴 빚까지는 보증되는 것이 아니다.

#면책적 채무인수#근저당권#범위#추가대출

민사판례

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내 권리를 지킬 수 있을까? - 공동저당과 대위행사

돈을 빌린 사람(채무자)의 부동산과 보증인(물상보증인)의 부동산 모두에 저당권이 설정된 경우, 채무자 부동산이 먼저 경매로 팔려 1순위 저당권자가 돈을 다 받았다면, 채무자 부동산의 2순위 저당권자는 1순위 저당권자의 권리를 이용하여 보증인의 부동산에 대해 자신의 저당권을 행사할 수 없다. 이는 2순위 저당권 설정 후 보증인의 부동산이 추가로 저당 설정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물상보증인#후순위저당권#대위권불인정#저당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