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법위반

사건번호:

2015도16508

선고일자:

2018012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형사

사건종류코드:

400102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가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것이라는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라면,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제공받지 아니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에 해당하는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개인정보 보호법 제59조 제2호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는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71조 제5호는 ‘제59조 제2호를 위반하여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위에서 보듯이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 후단은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자가 누구인지에 관하여는 문언상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는 점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입법 목적 등을 고려할 때,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가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것이라는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라면,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제공받지 아니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개인정보 보호법 제1조, 제59조 제2호, 제71조 제5호

참조판례

판례내용

【피 고 인】 【상 고 인】 피고인 【원심판결】 광주지법 2015. 10. 13. 선고 2014노311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개인정보 보호법 제59조 제2호는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는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하는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규정하고 있고, 제71조 제5호는 ‘제59조 제2호를 위반하여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자 및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위에서 보듯이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 후단은 그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를 처벌하도록 규정하고 있을 뿐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자가 누구인지에 관하여는 문언상 아무런 제한을 두지 않고 있는 점과 개인정보 보호법의 입법 목적 등을 고려할 때,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가 업무상 알게 된 개인정보를 누설하거나 권한 없이 다른 사람이 이용하도록 제공한 것이라는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라면, 개인정보를 처리하거나 처리하였던 자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제공받지 아니하더라도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자’에 해당된다고 볼 것이다. 2.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피고인이 개인정보를 처리하였던 공소외 1로부터 직접 개인정보를 제공받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공소외 1이 권한 없이 다른 사람에게 제공한 개인정보라는 사정을 알면서도 영리 또는 부정한 목적으로, 공소외 1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공소외 2로부터 다시 그 개인정보를 제공받은 이상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앞서 본 법리에 따라 기록을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정당하다. 거기에 개인정보 보호법 제71조 제5호의 처벌대상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3. 한편 기록에 의하면, 피고인은 항소이유서에서 사실오인, 법리오해, 양형부당의 주장을 하였고, 원심 공판기일에서 그 주장을 명백히 철회하지 아니하였는데도, 원심은 피고인의 항소이유를 법리오해 및 양형부당 주장으로만 보아 이를 배척하는 판단만을 하고 사실오인 주장에 관하여는 판단하지 아니한 채 피고인의 항소를 기각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원심과 제1심이 적법하게 채택하여 조사한 증거들을 살펴보면, 피고인에 대한 이 사건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기에 충분하므로, 위와 같은 원심의 판단누락은 판결 결과에 영향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민유숙(재판장) 김창석 조희대(주심) 김재형

유사한 콘텐츠

형사판례

개인정보 제공받은 출처가 중요! 불법 개인정보 이용, 처벌은 언제?

타인의 개인정보를 목적 외로 이용하거나 제3자에게 제공하는 행위가 정보통신망법 위반죄로 처벌받으려면, 그 정보를 **통신사나 온라인 쇼핑몰처럼 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 또는 재화/용역 제공자로부터 직접 제공받았다는 사실**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그 외의 경로로 얻은 개인정보를 이용하거나 제공한 경우에는 이 법으로 처벌할 수 없습니다.

#정보통신망법 위반#개인정보#정보통신서비스 제공자#재화/용역 제공자

생활법률

내 개인정보, 누구에게 어떻게 전달될까요? (개인정보 제3자 제공 & 위탁/이전)

개인정보 제공은 동의(필수고지사항 존재) 또는 법적 예외 사항에 한해 가능하고, 위탁 시 계약서 필수 항목이 있으며, 영업양도 등 이전 시 사전 고지 의무가 있다.

#개인정보#제공#위탁#이전

민사판례

내 개인정보가 유출됐어요!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요?

기업이 고객의 개인정보를 유출했을 경우, 유출된 정보의 종류, 유출 경위, 추가 피해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정신적 손해에 대한 배상 책임을 져야 한다.

#개인정보 유출#손해배상#정신적 손해#정보보호 의무

민사판례

개인정보 유출, 나도 정신적 손해배상 받을 수 있을까?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정신적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받으려면 유출된 정보의 종류, 유출 경위, 피해 확산 가능성, 사후 조치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개인정보 유출#정신적 손해배상#책임 인정 기준#유출 정보 종류

형사판례

돌아가신 분의 개인정보, 함부로 다루면 안 돼요!

인터넷 등 정보통신망에 저장된 사망한 사람의 정보를 함부로 유출하거나 훼손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 정보통신망법에서 보호하는 '타인'에는 살아있는 사람뿐 아니라 사망한 사람도 포함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사망자 정보보호#정보통신망법#대법원#타인

생활법률

내 개인정보, 어디까지 보호받을 수 있을까? 개인정보 처리 완벽 정리!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 처리(수집, 이용, 제공, 파기 등 모든 행위)에 대해 당사자 동의, 목적 제한, 최소 수집, 투명한 정보 제공 등을 규정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고, 위반 시 과징금/과태료/형사처벌 등의 제재를 가한다.

#개인정보#개인정보처리#개인정보보호법#수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