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위해제처분취소

사건번호:

2016두38273

선고일자:

20170608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일반행정

사건종류코드:

400107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외무공무원법 제30조, 구 국가공무원법 제73조의3 제1항 제4호에서 정한 직위해제 제도의 목적 / 공무원이 형사 사건으로 기소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직위해제처분을 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는지 여부(소극) 및 직위해제처분이 위법한지 판단하는 기준

판결요지

참조조문

헌법 제27조 제4항, 외무공무원법 제30조, 구 국가공무원법(2015. 12. 24. 법률 제136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73조의3 제1항 제4호

참조판례

대법원 1999. 9. 17. 선고 98두15412 판결(공1999하, 2221),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6다30730 판결(공2008하, 1046)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외교부장관 (소송대리인 정부법무공단 담당변호사 길진오 외 2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16. 4. 7. 선고 2015누3907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헌법 제27조 제4항은, 형사피고인은 유죄의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는 무죄로 추정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외무공무원법 제30조, 구 국가공무원법(2015. 12. 24. 법률 제13618호로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국가공무원법’이라고 한다) 제73조의3 제1항 제4호에 정한 직위해제 제도는 유죄의 확정판결을 받아 당연퇴직되기 전 단계에서 형사소추를 받은 공무원이 계속 직위를 보유하고 직무를 수행한다면 공무집행의 공정성과 그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해할 구체적인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사전에 방지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헌법상의 무죄추정의 원칙이나 위와 같은 직위해제 제도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형사 사건으로 기소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직위해제처분을 하는 것은 정당화될 수 없고, 당사자가 당연퇴직 사유인 국가공무원법 제33조 제3호 내지 제6호의2에 해당하는 유죄판결을 받을 고도의 개연성이 있는지 여부, 당사자가 계속 직무를 수행함으로 인하여 공정한 공무집행에 위험을 초래하는지 여부 등 구체적인 사정을 고려하여 그 위법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대법원 1999. 9. 17. 선고 98두15412 판결, 대법원 2008. 6. 26. 선고 2006다30730 판결 등 참조). 2. 원심은 판시와 같은 이유를 들어, 원고에 대한 2014. 1. 28.자 직위해제처분(이하 ‘이 사건 처분’이라고 한다) 당시 원고가 기소된 공소사실에 관하여 당연퇴직 사유인 국가공무원법 제33조 제3호 내지 제6호의2에 해당하는 유죄판결을 받을 고도의 개연성이 있다거나, 원고가 계속 직무를 수행함으로 인하여 공무집행의 공정성과 그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저해할 구체적인 위험이 생길 우려가 있었다고 인정하기 어렵다고 보아, 원고가 형사 사건으로 기소되었다는 이유만으로 한 이 사건 처분은 재량권을 일탈·남용한 것으로서 위법하다고 판단하였다. 3. 원심판결 이유를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직위해제처분에서의 재량권 일탈·남용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는 등의 잘못이 없다. 4.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재형(재판장) 박보영 권순일(주심)

유사한 콘텐츠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형사 기소 시 직위해제와 당연퇴직에 대한 법원의 판단

형사사건으로 기소된 공무원은 유죄 여부와 관계없이 직위해제 되며, 금고 이상의 형이 확정되면 당연퇴직되는데, 이 당연퇴직은 행정처분이 아니므로 소송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공무원#형사기소#직위해제#당연퇴직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직위해제, 징계와 별개?

이 판례는 공무원의 직위해제 처분은 징계 처분과는 별개의 처분이며, 직위해제 처분 당시 징계받을 가능성이 높았는지 등을 고려하여 적법성을 판단해야 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직위해제 사유 설명서 미교부는 직위해제 처분의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공무원#직위해제#징계#별개

일반행정판례

공무원 직권 면직, 아무나 자를 수 없다!

국립대학교 총장이 구조조정을 이유로 기능직 공무원을 면직할 때, 법에서 정한 기준(임용 형태, 업무 실적, 직무 수행 능력, 징계처분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휴직자와 정년이 가까운 사람을 우선 해고한 것은 위법하다는 판결입니다.

#휴직자 우선 면직#정년퇴직 임박자 면직#위법#국가공무원법

민사판례

직위해제, 징계, 그리고 부당해고에 대한 법원의 판단

직위해제 후 동일 사유로 징계처분을 받으면 직위해제는 효력을 잃는다. 징계 재심에서 새로운 사유를 추가할 수 없고, 일부 징계사유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나머지 사유로 징계가 정당하다면 징계는 유효하다. 부당해고가 불법행위가 되려면 해고가 악의적이거나 명백한 잘못에 기반해야 한다.

#직위해제#징계처분#징계사유#징계양정

일반행정판례

직위해제와 직권면직: 개전의 정이 없다면 해고될 수 있을까?

이 판례는 직원의 비위행위에 대한 회사의 직위해제 및 직권면직 처분의 정당성을 다루고 있습니다. 직위해제는 징계가 아니라 업무상 장애 예방을 위한 잠정적 조치이며, 직위해제 사유가 존재하고 절차상 문제가 없다면 정당합니다. 또한, 직위해제 기간 중 개전의 정이 없는 경우 직권면직도 가능합니다.

#직위해제#직권면직#정당성#징계

형사판례

공무원의 실수, 무조건 직무유기일까?

단순히 직무를 성실히 하지 않았거나 실수로 잘못 처리한 것은 직무유기죄가 아니다. 고의로 직무를 방치하거나 포기해야 직무유기죄가 성립한다.

#공무원#직무유기죄#고의#방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