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상금

사건번호:

2018다277105

선고일자:

20190214

선고:

선고

법원명:

대법원

법원종류코드:

400201

사건종류명:

민사

사건종류코드:

400101

판결유형:

판결

판시사항

화재가 경과실로 발생하였다는 사정만으로 실화자가 책임을 면할 수 있는지 여부(소극) 및 이는 피용자의 실화로 인한 사용자의 손해배상책임을 판단할 때 실화가 피용자의 중대한 과실로 인한 것이 아닌 경우에도 마찬가지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참조조문

구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2009. 5. 8. 법률 제964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현행 제3조 참조),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 제3조, 민법 제750조, 제756조

참조판례

판례내용

【원고, 피상고인】 주식회사 케이비손해보험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청지 담당변호사 유동승 외 1인) 【피고, 상고인】 피고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삼송 담당변호사 권준상) 【원심판결】 서울중앙지법 2018. 9. 19. 선고 2018나1995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가 부담한다. 【이 유】 1. 구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2009. 5. 8. 법률 제9648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구 실화책임법’이라 한다)은 “민법 제750조의 규정은 실화의 경우에는 중대한 과실이 있을 때에 한하여 이를 적용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었는데, 헌법재판소는 2007. 8. 30. 선고 2004헌가25 전원재판부 결정에서 위 법률이 헌법에 합치되지 아니한다는 결정을 하였다. 그 후 2009. 5. 8. 법률 제9648호로 전부 개정된 현행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이하 ‘실화책임법’이라 한다)은 구 실화책임법과는 달리 실화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의 성립요건에 관하여 아무런 제한규정을 두지 아니한 채 “실화가 중대한 과실로 인한 것이 아닌 경우 그로 인한 손해의 배상의무자는 법원에 손해배상액의 경감을 청구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제3조 제1항), 위와 같은 경감청구가 있을 경우 법원이 고려할 사정으로 화재의 원인과 규모 등을 들고 있다(같은 조 제2항). 이러한 실화책임법의 개정 경위, 현행 실화책임법의 규정 내용 등에 비추어 보면, 화재가 경과실로 발생한 경우에도 실화자는 그러한 사정만으로 실화책임을 면할 수는 없고, 책임의 경감을 청구할 수 있을 뿐이다. 이는 피용자의 실화로 인한 사용자의 손해배상책임을 판단함에 있어 그 실화가 피용자의 중대한 과실로 인한 것이 아닌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2. 원심은 소외 1, 소외 2의 사용자인 피고로서는 이들이 경과실로 초래한 화재에 대하여도 사용자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다만 피고가 주장하는 사정들을 반영하여 피고의 책임을 원고가 입은 손해액의 50%로 제한하였다. 앞서 본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의 사용자책임을 인정한 것은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 주장과 같이 사용자책임, 실화책임법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피고가 상고이유로 들고 있는 대법원판결은 구 실화책임법이 적용된 사안에 관한 것이므로 이 사건에 원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3.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가 부담하도록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박상옥(재판장) 안철상 노정희(주심) 김상환

유사한 콘텐츠

민사판례

건물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건물에 화재 예방 시설이 미흡하여 화재가 확산된 경우, 건물주는 확산된 부분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도 져야 한다. 다만, 중대한 과실이 없다면 배상액이 줄어들 수 있다.

#건물 하자#화재 확산#건물주 책임#손해배상

민사판례

불이 났어요! 실화법, 어떤 걸 적용해야 할까요?

2007년 8월 30일 이전에 발생한 불 관련 사고라도, 재판이 진행 중이었다면 위헌 결정 이후 개정된 새로운 실화법을 적용해야 한다.

#실화법#위헌#소급적용#새 법 적용

민사판례

건물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어디까지 책임져야 할까?

건물에 설치·보존상 하자가 있어 발생한 화재가 다른 건물로 옮겨붙어 손해를 입혔다면, 건물주는 민법 제758조 제1항에 따라 배상 책임을 진다. 개정된 실화책임법은 손해배상 책임 자체를 제한하지 않고, 손해배상액의 경감만 규정하기 때문이다.

#건물하자#화재확산#손해배상#건물주책임

민사판례

우리 공장에 불이 났는데, 옆 공장 책임 물을 수 있을까? - 실화 책임에 대한 오해와 진실

화재가 발생했지만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다면, 단순히 화재가 시작된 공장의 주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인접 공장의 피해를 배상할 책임은 없다.

#공장 화재#원인 불명#인접 공장 피해#배상 책임 없음

민사판례

불 났을 때 누구 책임일까요? 건물주? 세입자?

이 판례는 건물 소유주가 화재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을 지는 경우와 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에서 말하는 '중대한 과실'의 의미, 그리고 해당 법률의 합헌성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실화책임#건물주 책임#중대한 과실#임차인

민사판례

2007년 이전 실화사건, 새로운 법 적용될까?

옛날 실화법(실화책임에 관한 법률)이 헌법에 어긋난다고 판단되어 새로운 법으로 바뀌기 전에 일어난 사건이라도, 법원에서 재판 중이었다면 새 법을 적용해야 한다는 판결.

#실화법#헌법불합치#소급적용#재판중 사건